Korean J Med > Volume 95(6); 2020 > Article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 환자에 대한 임상적 접근

Abstract

Hypertriglyceridemia is an important cause of acute pancreatitis, and its symptoms are similar to those of pancreatitis of other causes. Moreover,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renders accurate diagnosis critical, and treatment, lifestyle modifications, and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treatment during the acute phase of the disease, insulin or plasmapheresis can be combined with modalities used for acute pancreatitis of other causes; fibrate administration is recommended. In addition, hypertriglyceridemia-induced acute pancreatitis requires daily management, such as continuous administration of lipid-lowering agents, and lifestyle modifications are needed even after completion of acute-phase treatment.

임상 증례

33세 여자가 명치 주변 복통 및 구토를 주소로 응급실에 방문하였다. 방문 9년 전 담낭 담석에 의한 급성 담낭염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였다. 흡연 및 음주는 하지 않았으며 평소 복용 중인 약물이나 가족력상 특이할 만한 점은 없었다. 식습관은 치즈 등 기름진 음식과 고기를 즐겨 먹었다고 하며 체중은 67.9 kg, 신장 159 cm, BMI는 26.86 kg/m2로 과체중이었다.

진단 단계

혈액 검사상 백혈구는 12,180개/µL, 혈색소가 13.7 g/dL, 혈소판은 419,000개/µL였다. Blood urea nitrogen과 creatinine은 각각 10.9 mg/dL, 0.6 mg/dL로 정상 범위였고 C-reactive protein도 0.19 mg/dL로 정상 범위였다. 혈청 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ipase)가 각각 543 IU/L, 864 IU/L로 상승되어 있었고, AST 및 ALT는 각각 5 IU/L 5 IU/L,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은 0.4 mg/dL로 정상 범위였다. 나트륨, 칼륨, chloride는 각각 130 mMol/L, 3.9 mMol/L, 94 mMol/L였다. 지질 검사(lipid profile)에서는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이 603 mg/dL,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가 2,699 mg/dL로 상승되어 있었고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은 97 mg/dL로 정상 범위였으며, 고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은 14 mg/dL로 다소 떨어져 있었다. 복부 조영증강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에서는 중등도의 지방간이 보였고 췌장 주변의 지방 침윤이 관찰되며, 체액의 저류가 관찰되어 췌장염 영상 검사 평가상 CT grade C로 평가되었다(Fig. 1). 복부 초음파 및 CT 검사에 담석이나 슬러지 등 담도계에 이상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최종 진단 및 치료 경과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hypertriglyceridemia induced acute pancreatitis)으로 진단 하에 입원 후 금식 및 수액을 하루 3 L 이상 공급하였고 발열도 동반되어 항생제(piperacillin/tazobactam)도 투약하였다. 이후 임상 증상 및 혈액 검사 수치 등이 호전되어 식습관 및 체중 조절이 필요한 점을 설명하고 퇴원하였으며, 이후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지 않아 더 이상 추적 관찰되지 않았다.
3년 후 환자는 동일한 증상으로 응급실로 다시 내원하였다. 그동안 식습관 교정이 되지 않은 상태로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603 mg/dL,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는 2,699 mg/dL로 상승되어 있었다.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의 재발로 진단하고 금식 및 수액 공급 후 증상은 호전되었다. 저지방식이 및 철저한 체중 조절의 필요성 교육 후 fibrate 및 오메가-3 지방산 처방 후 퇴원하였으나 퇴원 후 환자가 재차 임의로 약물 복용하지 않고 식이 조절도 하지 않아 증상 재발하여 수차례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였다. 경과 관찰 중 8년째에는 당뇨병도 발생하여 외래에서 경구 혈당 강하제를 투여하며 경과 추적 관찰 중이다.

서 론

급성 췌장염은 전형적인 복통과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의 췌장 효소의 증가 그리고 영상 검사에 특징적인 변화로 진단할 수 있는 췌장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1]. 대부분은 다른 장기에 미치는 손상이나 영향이 심하지 않아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합병증 없이 완전히 회복하는 질환이지만 5% 정도에서는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2]. 특히 감염을 동반한 괴사가 발생한 환자의 경우는 사망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3]. 급성 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음주 및 담석[2]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iceridemia) 역시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들 수 있다[4-6]. 임상적으로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을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질병의 악화를 예방하고 예후를 호전시키는 데 중요하다[4,5,7-9]. 본고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의 임상적인 특징과 치료에 관해 간략히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본 론

유병률, 위험인자 및 병태생리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은 전체 급성 췌장염의 1-14% 정도를 차지하고 임신 중에 발생하는 급성 췌장염의 56% 이상의 원인을 차지한다[4,6-8]. 400건 이상의 급성 췌장염 사례에 대한 연구에서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남자 환자가 더 많았고 비만, 당뇨병 환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혈당 조절이 불량한 당뇨 환자에서 중성지방의 혈중 농도가 상승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1]. 타 연구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당뇨병의 유병률이 42.3-72%로 보고되었다[4,12].
음주 또한 위험인자 중 하나로 생각할 수 있다. 음주는 혈 중 중성지방 농도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는 알코올 섭취량과 연관이 있다[13]. 또한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상승시키는 약물도 원인 중의 하나이다. 경구 피임약이나 tamoxifen 등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임신 시에는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에스트로겐은 간에서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ery-low-density lipoprotein, VLDL) 생성을 촉진하여 고중성 지방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9].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을 일으키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유력한 가설 중 하나는 과도한 중성지방이 유리지방산을 만들고 그 대사 산물들이 췌장의 허혈을 유발하여 췌장염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임상 증상 및 진단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의 임상 증상은 다른 원인에 의한 급성 췌장염과 유사하게[15-17] 심한 상복부 통증,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인다.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의 진단은 다른 원인에 의한 췌장염의 진단과 동일하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절대적인 진단 기준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높을수록 급성 췌장염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500 mg/dL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발생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고 1,000 mg/dL 이상으로 올라갈 때 위험도가 크게 증가한다[10,12,18]. 급성 췌장염의 발생률은 혈중 중성지방이 1,000 mg/dL 이상일 때 약 5%, 2,000 mg/dL 이상일 때 10-2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치료

급성 췌장염의 치료는 충분한 수액 공급 및 통증 조절, 영양공급 등이 기본적인 치료이다. 그와 더불어 인슐린(insulin) 투여 혹은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등이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의 치료 시 효과적일 것이라 보고[19-22]되고 있으나 아직 증례보고 수준으로, 잘 계획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다.

급성기 치료

수액요법

증상 발생 초기에 수액 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췌장괴사를 유발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후가 매우 불량해진다[23-26]. 따라서 유효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수액 공급을 할 필요가 있다. 수액을 선택함에 있어 lactated Ringer’s solution과 생리식염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2013년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ancreatology/American Pancreatic Association, 2018년 미국 소화기학회 등 대부분의 지침에서 비교우위가 확실한 수액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27].
수액 투여량은 3 mL/kg/hr로 수액을 급속 투여하는 것이 회복이 빨라졌다는 보고도 있지만 중증의 환자에서는 너무 빠른 혈액 희석은 사망률을 오히려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28,29]. 또한 과도한 수액 투여는 폐부종이나 전신부종을 유발할 수가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초기에 급속도로 수액을 투여한 후 유지용량으로 투여량을 줄이고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수액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30].

영양공급

전통적으로는 경장 영양을 할 경우 급성 췌장염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금식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경장 영양을 빨리 시작할 때 사망률이나 다발성 장기부전, 감염 등의 가능성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31]가 나오면서 2018년 미국 소화기학회 지침에서는 입원 24시간 이내에 경구 식이를 시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인슐린(insulin)

인슐린은 VLDL과 카일로마이크론의 대사를 촉진하고 지질단백질 지방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를 활성화시켜서 혈 중 중성지방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20].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한 고중성지방 혈증에 의한 췌장염의 경우에 인슐린을 병행투여 할 경우에는 혈당 조절과 고중성지방혈증에 대한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다.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은 혈중 카일로마이크론과 VLDL을 제거하고 췌장염을 유발하는 유리지방산 생성을 막을 수 있는 치료이다. 국내에서도 혈장교환술을 사용하여 치료한 증례가 보고되었다[21,22]. 하지만 치료 비용이 많이 들고 중심 정맥관 삽입이 필요하여 균혈증이나 출혈의 위험성이 있는데다 의료 기관 사정에 따라 기계 사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1차 치료로 권장하기는 어렵고 환자의 중증도 및 상황에 따라서 치료 시작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장기 치료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췌장염은 급성기 치료뿐 아니라 장기 치료 및 관리도 중요한 질환이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조절이 잘 되는 경우에는 재발 없이 지낼 수 있지만 본 증례에서와 같이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조기에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이다.

약물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500 mg/dL 미만으로 낮출 경우 임상적으로 재발률이나 기타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32]. 1차적으로 추천되는 약제는 지질 강하제 중에서도 fibrate 제제이다. Fibrate는 중성지방의 이화작용을 촉진하고 VLDL 분비 및 혈중중성지방을 40-60% 낮추고 고밀도 지방단백(HDL cholesterol) 수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Statin은 단독으로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는 크지 않기 때문에(10-18%) 단독요법으로는 추천되지 않는다. 하지만 fibrate 단독요법으로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statin 병행 요법을 고려한다[33].
오메가-3 지방산의 경우 비교적 안전한 약제로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50%가량 개선하였다는 보고[34]가 있으며 다른 지질 강하제와 병용투여 해볼 수 있다. 이외에도 niacin이 2차 치료제로 거론되지만 fibrate보다 효과가 약하고 안면홍조나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16,17].

생활습관 개선 및 교육

기본적인 조치로는 체중 감량, 지방이나 당류 섭취 제한, 금주 등의 생활습관 개선과 당뇨병과 같은 위험인자 조절, 고중성지방혈증을 유발하는 약물을 중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사량을 줄이고 단당류의 섭취를 제한해야 하고 체중 감량의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식사로 섭취하는 지방질은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일차적으로 상승시키지는 않지만 지방의 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식사는 지중해식 식단이나 채식, 저칼로리, 저트랜스지방 식이를 권유할 수 있다.

결 론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인한 췌장염은 급성 췌장염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이 질환은 다른 원인에 의한 췌장염과 증상은 유사하나 임상 경과가 재발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진단해야 하고, 그에 따라서 치료 및 생활 습관 개선이나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급성기 치료로는 일 반적인 췌장염에 대한 치료와 함께 인슐린(insulin) 투여,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등을 병행해 볼 수 있다. 약물 치료로는 fibrate 투여가 추천된다. 또한 급성기 치료가 끝나도 지속적으로 지질 강하제 복용, 생활 습관 개선 등 평소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REFERENCES

1. Whitcomb DC. Clinical practice. Acute pancreatitis. N Engl J Med 2006;354:2142–2150.
crossref pmid

2. Yadav D, Lowenfels AB. Trends in the epidemiology of the first attack of acute pancreatitis: a systematic review. Pancreas 2006;33:323–330.
crossref

3. Vege SS, DiMagno MJ, Forsmark CE, Martel M, Barkun AN. Initial medical treatment of acute pancreatitis: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Institute technical review. Gastroenterology 2018;154:1103–1139.
crossref pmid

4. Fortson MR, Freedman SN, Webster PD 3rd. Clinical assessment of hyperlipidemic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1995;90:2134–2139.
pmid

5. Toskes PP. Hyperlipidemic pancreatiti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1990;19:783–791.
crossref

6. Zhu Y, Pan X, Zeng H, et al. A study on the etiology, severity, and mortality of 3260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according to the revised Atlanta Classification in Jiangxi, China over an 8-year period. Pancreas 2017;46:504–509.
crossref pmid

7. Chang CC, Hsieh YY, Tsai HD, Yang TC, Yeh LS, Hsu TY. Acute pancreatitis in pregnancy. Zhonghua Yi Xue Za Zhi (Taipei) 1998;61:85–92.
pmid

8. Koutroumpakis E, Slivka A, Furlan A, et al. Management and outcomes of acute pancreatitis patients over the last decade: a US tertiary-center experience. Pancreatology 2017;17:32–40.
crossref pmid

9. Berglund L, Brunzell JD, Goldberg AC, et al.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ypertriglyceridemia: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2;97:2969–2989.
crossref pmid pmc

10. Lindkvist B, Appelros S, Regnér S, Manjer J. A prospective cohort study on risk of acute pancreatitis related to serum triglycerides, 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Pancreatology 2012;12:317–324.
crossref pmid

11. Rivellese AA, De Natale C, Di Marino L, et al. Exogenous and endogenous postprandial lipid abnormalitie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optimal blood glucose control and optimal fasting triglyceride levels.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2153–2159.
crossref

12. Lloret Linares C, Pelletier AL, Czernichow S, et al. Acute pancreatitis in a cohort of 129 patients referred for severe hypertriglyceridemia. Pancreas 2008;37:13–12.
crossref pmid

13. Whitfield JB, Hensley WJ, Bryden D, Gallagher H. Some laboratory correlates of drinking habits. Ann Clin Biochem 1978;15:297–303.
crossref pmid

14. Yang F, Wang Y, Sternfeld L, et al. The role of free fatty acids, pancreatic lipase and Ca+ signalling in injury of isolated acinar cells and pancreatitis model in lipoprotein lipase-deficient mice. Acta Physiol (Oxf) 2009;195:13–28.
crossref pmid

15. Valdivielso P, Ramírez-Bueno A, Ewald N. Current knowledge of hypertriglyceridemic pancreatitis. Eur J Intern Med 2014;25:689–694.
crossref pmid

16. Scherer J, Singh VP, Pitchumoni CS, Yadav D. Issues in hypertriglyceridemic pancreatitis: an update. J Clin Gastroenterol 2014;48:195–203.
crossref pmid pmc

17. Tsuang W, Navaneethan U, Ruiz L, Palascak JB, Gelrud A. Hypertriglyceridemic pancreatitis: presentation and management. Am J Gastroenterol 2009;104:984–991.
crossref pmid

18. Murphy MJ, Sheng X, MacDonald TM, Wei L. Hypertriglyceridemia and acute pancreatitis. JAMA Intern Med 2013;173:162–164.
crossref pmid

19. Eckel RH. Lipoprotein lipase. A multifunctional enzyme relevant to common metabolic diseases. N Engl J Med 1989;320:1060–1068.
crossref pmid

20. Goldberg IJ. Lipoprotein lipase and lipolysis: central roles in lipoprotein metabolism and atherogenesis. J Lipid Res 1996;37:693–707.
crossref pmid

21. Bae JH, Baek SH, Choi HS, et al. Acute pancreatitis due to hypertriglyceridemia: report of 2 cases.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475–480.
pmid

22. Lee YJ, Park DS, Kim TH, Cho JH. A case of hypertriglyceridemia induced gestational pancreatitis treated by plasma exchange. Korean J Blood Transfus 2011;22:70–75.


23. Baillargeon JD, Orav J, Ramagopal V, Tenner SM, Banks PA. Hemoconcentration as an early risk factor for necrotizing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1998;93:2130–2134.
crossref pmid

24. Wall I, Badalov N, Baradarian R, Iswara K, Li JJ, Tenner S. Decreased mortality in acute pancreatitis related to early aggressive hydration. Pancreas 2011;40:547–550.
crossref pmid

25. Warndorf MG, Kurtzman JT, Bartel MJ, et al. Early fluid resuscitation reduces morbidity among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1;9:705–709.
crossref

26. Gardner TB, Vege SS, Chari ST, et al. Faster rate of initial fluid resuscitation in severe acute pancreatitis diminishes in-hospital mortality. Pancreatology 2009;9:770–776.
crossref pmid

27. Akshintala VS, Kamal A, Singh VK. Uncomplicated acute pancreatitis: evidenced-based management decisions. Gastrointest Endosc Clin N Am 2018;28:425–438.
crossref pmid

28. Buxbaum JL, Quezada M, Da B, et al. Early aggressive hydration hastens clinical improvement in mild acute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2017;112:797–803.
crossref pmid

29. Mao EQ, Fei J, Peng YB, Huang J, Tang YQ, Zhang SD. Rapid hemodilu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psis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Chin Med J (Engl) 2010;123:1639–1644.
crossref pmid

30. Wu BU, Hwang JQ, Gardner TH, et al. Lactated Ringer's solution reduces systemic inflammation compared with saline in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1;9:710–717; e1.
crossref pmid

31. l-Omran M, Albalawi ZH, Tashkandi MF, Al-Ansary LA. Enteral versus parenteral nutrition for acute pancreatit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2010:CD002837.
pmc

32. Preiss D, Tikkanen MJ, Welsh P, et al. Lipid-modifying therapies and risk of pancreatitis: a meta-analysis. JAMA 2012;308:804–811.
crossref pmid

33.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001;285:2486–2497.
crossref pmid

34. Harris WS, Connor WE, Illingworth DR, Rothrock DW, Foster DM. Effects of fish oil on VLDL triglyceride kinetics in humans. J Lipid Res 1990;31:1549–1558.
crossref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howing homogeneous enhancement of the pancreatic parenchyma with infiltration of peripancreatic fat.
/upload/thumbnails/kjm-95-6-377f1.jpg
Figure 1.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3,692 View
  • 251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