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95(1); 2020 > Article
간세포암의 진단과 치료에서 종양표지자의 역할

Abstract

There are a wide variety of tumor marke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Studies are ongoing regarding the roles of tumor markers in screening,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tic prediction of HCC. Serum alpha-fetoprotein (AFP) can be very useful for HCC surveillance, prognostic prediction, and treatment response evaluation in high-risk patients with HCC. Other tumor markers such as PIVKA-II and AFP-L3% have also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HCC diagnosis, follow-up, and prognostic prediction; these markers are increasingly used with serum AFP in clinical trials. However, the roles of tumor markers in surveillance are poorly understood and still controversial, requiring further research. HCC surveillance in at-risk population is a critical issue in management of HCC. Further data regarding the predictive value and cost-effectiveness of tumor markers could facilitate their uses in HCC surveillance.

서 론

원발성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6번째로 흔한 암이며, 암 관련 사망률 4위를 차지하는 중대한 질병으로[1], 간세포암은 원발성 간암의 75-9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이다[2]. 간세포암에서 종양표지자는 다른 암종에서와 마찬가지로 진단 및 치료 반응평가, 치료 후 추적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간세포암은 정기적인 선별 검사가 암을 조기에 진단하여 완치적 목적의 치료 기회를 높임으로써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입증되어 있어[3,4], 간세포암의 종양표지자는 이러한 선별 검사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5,6]. 본고에서는 간세포암의 다양한 종양표지자를 소개하고 간세포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본 론

Alpha-fetoprotein (AFP)

Alpha-fetoprotein (AFP)은 간세포암의 대표적인 종양표지자로 쉽게 측정이 가능하고, 비싸지 않아 가장 흔히 사용 중이며 연구도 가장 많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지속적으로 AFP가 높은 경우, 간세포암 발생의 위험인자로 입증되어 있어 간세포암의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7]. 간 초음파 검사와 AFP 측정은 간세포암 선별 검사 단독으로 적용하였을 때 예측력이 다소 미흡하여 불완전한 검사이지만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 있다. AFP 측정과 간 초음파 검사를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로 시행하였을 때 간세포암 발견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64.3%, 91.4%로 간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71.4%), 특이도(93.8%)에 비해 다소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8], 간 초음파 검사 단독으로 시행하였을 때(63%)에 비해 간 초음파 검사와 AFP 측정을 함께 시행하였을 때 간세포암 발견의 민감도가 7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 특히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간 초음파 검사 단독의 민감도는 45%였지만 AFP 측정을 병행하였을 때 63%로 더 우수한 민감도를 보였다[10]. AFP와 같은 종양표지자를 이용한 종양 감시 검사법의 효율은 기준치를 어떻게 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인구집단 내 간세포암 유병률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로 AFP 측정을 적용할지에 대해서는 유병률 및 발생률에 근거하여 국가별로 다르게 권고되고 있다.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유럽에서는 고위험군에서 간세포암 선별 검사로 간 초음파 검사만을 권고하며 AFP를 비롯한 종양표지자의 측정은 비용 대비 효율성 측면에서 권고하지 않지만 간세포암의 유병률이 높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고위험군에서 간 초음파 검사와 함께 AFP 측정을 통해 간세포암 선별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5,6,11].
간세포암 예측을 위한 적절한 AFP의 한계값(cutoff value)에 대해서는 연구마다 다르게 보고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20 ng/mL로 제시되고 있으며, AFP의 한계값을 20 ng/mL로 설정하였을 때 민감도 41%에서 60%, 특이도 80%에서 94%로 보고되고 있다[12,13]. AFP의 한계값을 200 mg/mL까지 높이면 특이도는 매우 높아지지만 민감도가 22%까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13]. 또한, AFP값은 간세포암뿐 아니라 HBV나 HCV의 활성도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로 바이러스가 효과적으로 억제된 상황에서는 AFP 한계값을 6-13 ng/mL로 낮추어도 민감도가 높은 동시에 위양성 사례도 적기 때문에 예측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4,15]. 같은 맥락에서 간질환의 원인에 따라 다른 한계값을 설정하여 AFP의 예측력을 높이는 모델이 제시된 바 있고[16], 최근에는 AFP를 일정 시점에서 20 ng/mL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민감도와 특이도를 높인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7]. 이처럼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로서 AFP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진단 기술과 병용하여 사용한다면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와는 달리 진단에 있어서는 AFP의 역할에 제한이 있다. 초기 단계의 간세포암에서는 AFP가 정상인 경우가 드물지 않고[18], 간세포암 이외에도 간염 바이러스의 활성화 혹은 간세포의 활발한 재생과 같은 상황에서도 AFP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19,20] 임상적 판단이 필수적이며, AFP만으로 간세포암을 진단할 수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 가이드라인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서도 간세포암의 진단 기준으로서는 AFP가 제시되지 않는다. 다만 진단시의 AFP는 간세포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FP의 상승은 수술 후 재발[21,22], 이식 후 생존 및 재발[23-25], 국소 치료에의 반응[26,27] 그리고 진행성 간암에서 생존[28,29]을 예측하는 중요한 예측인자로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치료 후 추적 관찰 시에도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영상의학적 검사와 함께 AFP를 비롯한 종양표지자의 추적 검사가 추천된다. 치료 전 AFP가 상승되어 있었던 경우, 치료 후 추적에서 치료 반응 및 재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30].

AFP 이외의 기타 종양표지자

AFP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혈청 표지자들이 간세포암의 종양표지자로서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prothromb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II (PIVKA-II)-혹은 dex gamma carboxy prothrombin (DCP)- 그리고 AFP 중 lens culinaris lectin에 결합하는 특정 AFP만 측정한 AFP-L3%가 있고, alpha-fucosidase, glypican-3도 연구 중이다[31-34].
한 체계적 고찰 연구에 따르면 5 cm 미만의 간세포암에 대한 PIVKA-II의 예측력은 PIVKA-II의 한계값을 40 mAu/mL로 설정 시 민감도 14-54%, 특이도 95-99%였고, 한계값을 100 mAu/mL로 설정 시 민감도 7-56%, 특이도 72-100%로 한계값 40 mAu가 더 좋은 예측력을 보였다[35]. 최근 조기 간세포암 진단에 대한 PIVKA-II와 AFP의 예측력을 비교한 메타분석에서는 AUROC 0.84 vs. 0.68로 PIVKA-II의 예측력이 더 우수하다고 보고하였으나 funnel plot 분석 결과 출판편향의 가능성이 있고[36], 다른 대규모 연구에서는 3 cm 미만의 간세포암에 대해서는 AFP가 우수하였으나 5 cm 이상의 간세포암에 대해서는 PIVKA-II의 예측력이 AFP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37].
AFP-L3%는 lens culinaris agglutinin A에 결합하는 특정 AFP의 비율로 양성 간질환 환자에 비해 간세포암 환자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간세포암의 종양표지자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32,38-40]. 한 체계적 고찰 연구에서는 5 cm 미만의 간세포암에 대한 AFP-L3의 예측력을 한계값 10%에서 민감도 22-33%, 특이도 93-94%, 한계값 15%에서 민감도 21-49%, 특이도 94-100%로 한계값 15%가 더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다[35]. 총 AFP 10 ng/mL 미만에서는 AFP-L3%를 측정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으나, 최근 총 AFP 10 ng/mL 미만에서도 AFP-L3%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이 개발되었다[41].
이들 종양표지자는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로서보다는 진단과 예후 예측을 위한 도구로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PIVKA-II는 간세포암의 문맥 침범, 미세전이 및 진행병기와 관련이 있고[42], AFP-L3%는 간세포암의 빠른 증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40], 이 두 종양표지자는 간세포암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검사로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 종양표지자는 AFP와는 달리 선별 검사 목적의 연구보다는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에서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고위험군에서 시행하는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 혹은 진단 목적으로는 근거가 아직 미약하여 권고되지 않는다.

결 론

간세포암은 상당히 다양한 종양표지자가 있으며, 간세포암의 선별 검사와 진단, 치료, 예후 예측에 있어 종양표지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혈청 AFP는 간세포암의 고위험군에서 선별 검사와 예후 예측, 치료 반응 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PIVKA-II와 AFP-L3%도 최근 간세포암의 진단 및 추적, 예후 예측에 대하여 효용성이 입증되고 있는 종양표지자로서 AFP와 함께 임상에서 점차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선별 검사로서 역할에 대해서는 근거가 미약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간세포암의 진료에 있어 고위험군의 선별 검사는 매우 중요한 이슈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예측력이 높은 동시에 비용대비 효과가 뛰어난 선별 검사로서 종양표지자가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Bray F, Ferlay J, Soerjomataram I, Siegel RL, Torre LA, Jemal A.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Cancer J Clin 2018;68:394–424.
crossref pmid

2. Kanwal F, Singal AG. Surveillan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current best practice and future direction. Gastroenterology 2019;157:54–64.
crossref pmid

3. van Meer S, de Man RA, Coenraad MJ, et al. Surveillan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urvival: results from a large cohort in the Netherlands. J Hepatol 2015;63:1156–1163.
crossref pmid

4. Mittal S, Kanwal F, Ying J, et al. Effectiveness of surveillan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 clinical practice: a United States cohort. J Hepatol 2016;65:1148–1154.
crossref pmid pmc

5. Omata M, Cheng AL, Kokudo N, et al. Asia-Pacif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 2017 update. Hepatol Int 2017;11:317–370.
crossref pmid pmc

6. Kokudo N, Takemura N, Hasegawa 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Japan Society of Hepatology 2017 (4th JSH-HCC guidelines) 2019 update. Hepatol Res 2019;49:1109–1113.
crossref pmid

7. Tsukuma H, Hiyama T, Tanaka S, et al. Risk facto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mong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N Engl J Med 1993;328:1797–1801.
crossref pmid

8. Aghoram R, Cai P, Dickinson JA, et al. Alpha-foetoprotein and/or liver ultrasonography for screening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9):CD002799.
crossref

9. Singal A, Volk ML, Waljee A, et al. Meta-analysis: surveillance with ultrasound for early-stage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irrhosis. Aliment Pharmacol Ther 2009;30:37–47.
crossref pmid pmc

10. Tzartzeva K, Obi J, Rich NE, et al. Surveillance imaging and alpha fetoprotein for early det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irrhosis: a meta-analysis. Gastroenterology 2018;154:1706–1718.
crossref pmid pmc

11.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2018;69:182–236.
crossref pmid

12. Gupta S, Bent S, Kohlwes J. Test characteristics of alpha-fetoprotein for detec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hepatitis C.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analysis. Ann Intern Med 2003;139:46–50.
crossref pmid

13. Trevisani F, D'Intino PE, Morselli-Labate AM, et al. Serum alpha-fetoprotein for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fluence of HBsAg and anti-HCV status. J Hepatol 2001;34:570–575.
crossref pmid

14. Wong GL, Chan HL, Tse YK, et al. On-treatment alphafetoprotein is a specific tumor 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receiving entecavir. Hepatology 2014;59:986–995.
crossref pmid

15. Kim GA, Seock CH, Park JW, et al. Reappraisal of serum alpha-foetoprotein as a surveillance test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during entecavir treatment. Liver Int 2015;35:232–239.
crossref pmid

16. White DL, Richardson P, Tayoub N, Davila JA, Kanwal F, El-Serag HB. The updated model: an adjusted serum alpha-fetoprotein-based algorithm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detection with hepatitis C virus-related cirrhosis. Gastroenterology 2015;149:1986–1987.
crossref pmid pmc

17. Tayob N, Lok AS, Do KA, Feng Z. Improved det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y using a longitudinal alphafetoprotein screening algorithm.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6;14:469–475.
crossref pmid

18. Colli A, Fraquelli M, Casazza G, et al. Accuracy of ultrasonography, spiral CT, magnetic resonance, and alpha-fetoprotein in diagnosing hepatocellular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m J Gastroenterol 2006;101:513–523.
crossref pmid

19. Di Bisceglie AM, Sterling RK, Chung RT, et al. Serum alpha-fetoprotein levels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itis C: results from the HALT-C Trial. J Hepatol 2005;43:434–441.
crossref pmid

20. Wong RJ, Ahmed A, Gish RG. Elevated alpha-fetoprotein: differential diagnosis -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other disorders. Clin Liver Dis 2015;19:309–323.
crossref pmid

21. Imamura H, Matsuyama Y, Tanaka E, et al.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early and late phase intrahepatic recurr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epatectomy. J Hepatol 2003;38:200–207.
crossref pmid

22. Ikai I, Arii S, Kojiro M, et al. Reevaluation of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 Japanese nationwide survey. Cancer 2004;101:796–802.
crossref pmid

23. Duvoux C, Roudot-Thoraval F, Decaens T, et al. Liver transplant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 model including α-fetoprotei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Milan criteria. Gastroenterology 2012;143:986–994; e3; quiz e14-e15.
crossref pmid

24. Notarpaolo A, Layese R, Magistri P, et al. Validation of the AFP model as a predictor of HCC recurrence in patients with viral hepatitis-related cirrhosis who had received a liver transplant for HCC. J Hepatol 2017;66:552–559.
crossref pmid

25. Mazzaferro V, Sposito C, Zhou J, et al. Metroticket 2.0 Model for analysis of competing risks of death after liver transplant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18;154:128–139.
crossref pmid

26. N'Kontchou G, Mahamoudi A, Aout M, et al. Radiofrequency abl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long-term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235 Western patients with cirrhosis. Hepatology 2009;50:1475–1483.
crossref pmid

27. Takayasu K, Arii S, Kudo M, et al. Superselectiv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Validation of treatment algorithm proposed by Japanese guidelines. J Hepatol 2012;56:886–892.
crossref pmid

28. Llovet JM, Peña CE, Lathia CD, Shan M, Meinhardt G; Bruix J; SHARP Investigators Study Group. Plasma biomarkers as predictors of outcome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Clin Cancer Res 2012;18:2290–2300.
crossref pmid

29. Zhu AX, Park JO, Ryoo BY, et al. Ramucirumab versus placebo as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following first-line therapy with sorafenib (REACH): a randomised, double-blind, multicentre, phase 3 trial. Lancet Oncol 2015;16:859–870.
crossref pmid

30. Kim YI, Kim HS, Park JW. Higher ratio of serum alpha-fetoprotein could predict outcomes in patients with hepatitis B virus-associ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normal alanine aminotransferase. PLoS One 2016;11:e0157299.
crossref pmid pmc

31. Liebman HA, Furie BC, Tong MJ, et al. Des-gamma-carboxy (abnormal) prothrombin as a serum marker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N Engl J Med 1984;310:1427–1431.
crossref pmid

32. Leerapun A, Suravarapu SV, Bida JP, et al. The utility of Lens culinaris agglutinin-reactive alpha-fetoprotein in the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evaluation in a United States referral population.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7;5:394–402.
crossref pmid pmc

33. Capurro M, Wanless IR, Sherman M, et al. Glypican-3: a novel serum and histochemical 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03;125:89–97.
crossref pmid

34. Marrero JA, Feng Z, Wang Y, et al. Alpha-fetoprotein, des-gamma carboxyprothrombin, and lectin-bound alpha-fetoprotein in early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09;137:110–118.
crossref pmid pmc

35. Tateishi R, Yoshida H, Matsuyama Y, Mine N, Kondo Y, Omata M. Diagnostic accuracy of tumor marke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Hepatol Int 2008;2:17–30.
crossref pmid

36. Li C, Zhang Z, Zhang P, Liu J. Diagnostic accuracy of des-gamma-carboxy prothrombin versus α-fetoprotei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Hepatol Res 2014;44:E11–E25.
crossref pmid

37. Nakamura S, Nouso K, Sakaguchi K,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es-gamma-carboxy prothrombin for diagnosis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s varies according to tumor size. Am J Gastroenterol 2006;101:2038–2043.
crossref pmid

38. Sato Y, Nakata K, Kato Y, et al. Early recogni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ased on altered profiles of alphafetoprotein. N Engl J Med 1993;328:1802–1806.
crossref pmid

39. Taketa K, Endo Y, Sekiya C, et al. A collaborative study for the evaluation of lectin-reactive alpha-fetoproteins in early det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 Res 1993;53:5419–5423.
pmid

40. Kumada T, Nakano S, Takeda I, et al. Clinical utility of lens culinaris agglutinin-reactive alpha-fetoprotein in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 special reference to imaging diagnosis. J Hepatol 1999;30:125–130.
crossref pmid

41. Kagebayashi C, Yamaguchi I, Akinaga A, et al. Automated immunoassay system for AFP-L3% using on-chip electrokinetic reaction and separation by affinity electrophoresis. Anal Biochem 2009;388:306–311.
crossref pmid

42. Koike Y, Shiratori Y, Sato S, et al. Des-gamma-carboxy prothrombin as a useful predisposing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portal venous invasion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 prospective analysis of 227 patients. Cancer 2001;91:561–569.
crossref pmid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6,589 View
  • 446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