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84(5); 2013 > Article
대장 용종에 국한되어 발생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요약

저자들은 무증상의 환자에서 시행한 검진 대장내시경에서 무경성 용종을 용종 절제술을 통해 제거하고 이에 대한 조직 검사에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의 침윤이 관찰되고 면역 화학 염색에서 S-100 protein과 CD1a 항원 양성 소견을 보여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진단하였으며 타장기 침범 소견이 없어 경과관찰 중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 56-year-old male underwent a screening colonoscopy. An 8-mm sessile polyp was removed from the descending colon using snare polypectomy. Histology showed Langerhans cells and eosinophil infiltration of the submucos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ositive for S-100 protein and CD1a antigen, which confirmed the diagnosis of Langerhans-cell histiocytosis. On further workup, there was no evidence of involvement of any other organs. Here,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colonic Langerhans-cell histiocytosis presenting as an isolated polyp. (Korean J Med 2013;84:704-707)

서 론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Langerhans-cell histiocytosis)은 비교적 드문 클론증식병으로, 단일 혹은 다기관을 침윤하는 질환이다. 현재까지 병인은 명확하지 않으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1-3세의 소아에서 가장 호발한다. 발생 빈도는 소아에서 100만 명당 3-5명 꼴로 발생하며[1] 성인에서는 100만 명당 1-2명으로 더 드물게 발생한다[2]. 발생부위는 주로 뼈, 피부, 림프절, 폐, 흉선, 간, 비장, 골수, 뇌하수체, 시상하부 및 위장관 등으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 가능하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위장관 침범은 드물게 발생하며, 성인에서 대장에만 국한되어 발생한 경우는 더욱 드물다[3-5]. 저자들은 최근에 대장에만 국한되어 발생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 례

환 자: 56세, 남자
주소 및 현병력: 내원 4년 전 건강검진을 위해 시행한 대장내시경에서 6개의 무경성 용종이 발견되어 조직 생검으로 제거 후 조직검사상 관상선종으로 진단받은 56세 남자 환자가 검진 목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받기 위해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였다.
과거력: 고혈압으로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이학적 소견: 내원 시 혈압 110/80 mmHg, 분당 맥박수 68회, 분당 호흡수 18회, 체온은 36.2℃였다. 복부 이학적 소견을 포함하여 신체 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검사실 소견: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6,800/mm3, 혈색소 13.0 g/dL, 혈소판 221,000/mm3이었고, 혈청생화학 검사에서 BUN 10.3 mg/dL, 크레아티닌 0.8 mg/dL, 총 단백 7.1 g/dL, 알부민 4.3 g/dL, 총 콜레스테롤 162 mg/dL, AST 21 IU/L, ALT 7 IU/L, ALP 245 IU/L, r-GT 91 IU/L, 총 빌리루빈 0.8 mg/dL이었다.
내시경 및 조직 검사: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5개의 무경성 용종이 발견되어 4개는 조직 생검으로 제거하였고 하행결장에 중심부 미란을 동반한 8 mm 크기의 용종은 올가미를 사용하여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였다(Fig. 1). 조직 검사에서 조직 생검으로 제거한 용종은 모두 관상 선종으로 진단되었으나, 하행결장의 병변은 H&E 염색에서 점막하층에 랑게르한스 세포와 호산구의 침윤이 관찰되었고(Fig. 2A and 2B), 면역 화학 염색에서 S-100 protein과 CD1a 항원 양성 소견을 보여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진단하였다(Fig. 3A and 3B).
방사선학적 소견 및 기타 검사: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타장기 침범 여부 확인을 위해 복부 및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전신 골주사 검사를 시행하였다. 복부 및 흉부 전산화단층 촬영, 전신 골주사 검사에서 타장기 침범을 의심할 만한 특이 소견은 없었다.
임상경과: 환자는 특이 증상이 없었으며 추가 검사에서 타장기 침범을 의심할 만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경과관찰하며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높은 빈도의 자연 관해율과 조직학적 특징 때문에 반응성 질환으로 생각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클론의 증식에 의한 종양성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6].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환자 1,741명을 분석한 연구에서 55%의 환자에서는 단일 기관을 침범하였으며 나머지는 다기관을 침범하였다. 또한 각각의 침범 부위별 빈도는 뼈 77%, 피부 39%, 림프절 19%, 간 16%, 비장 13%, 구강 점막 13%, 폐 10%, 중추신경계 6%, 위장관 4% 순이었다[7].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위장관 침범은 드물게 발생하며 위, 소장, 대장 각각의 장기에 국한되어 발생한 경우는 더욱 드물다. 위에 국한되어 발생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30-40대 성인 6명에서 보고되었고 소장에 국한되어 발생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소아에서 3명, 성인에서는 1명의 증례만이 보고되었다[5]. 본 증례처럼 성인에서 대장에만 국한되어 발생한 경우는 최근까지 세 증례만이 보고되었으며[3-5]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진단은 병리학적 검사로 하게 되며 비전형적인 랑게르한스 세포가 증식하여 임파구, 다핵구, 호산구 등과 함께 육아종을 형성하고 면역 화학 염색에서 S-100 protein과 CD1a 항원이 양성이면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현미경에서 이들 세포 내에 특징적인 라켓 모양의 Birbeck granule이 보이면 확진이 가능하다[8]. 본 증례에서도 대장 용종에 대한 조직 검사 결과 H&E 염색에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의 침윤이 관찰되었고, 면역 화학 염색에서 S-100 protein과 CD1a 항원 양성 소견이 보여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확진할 수 있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대장 침범 시 나타나는 증상은 22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13명(59%)에서 혈변, 4명(18%)에서 혈변을 동반하지 않은 설사, 1명(4%)에서 항문 주위의 치루, 2명(9%)에서 변비 증상이 있었으며, 17명(77%)에서는 저단백혈증이 있었다[9]. 하지만 본 증례의 환자에서는 특별한 증상이 없었으며 저단백혈증과 같은 혈액학적 이상 소견도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까지 보고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대장내시경 소견은 발적과 부종, 중심부 미란을 동반한 결절 등 비특이적 소견을 보였다[6]. 하지만 성인에서 대장에 국한되어 발생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본 증례를 포함하여 대개 무경성 용종의 형태를 보였다. 최근 건강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대장내시경 시행 중 용종의 발견 및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장 용종의 드문 원인으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대장 침범이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치료는 단일 기관을 침범한 경우 prednisone 단독 또는 vinblastine과 prednisone의 병합 요법을 사용해 볼 수 있으며, 단일 병변에 대한 수술적 절제나 방사선 치료와 같은 국소 치료를 시행해 볼 수도 있다. 다기관을 침범한 경우에는 전신적인 항암 치료가 필요하며 소아에서는 vinblastine 또는 etoposide를 권고하고 있으나 성인에서는 기준 치료 요법이 없어 소아의 항암 치료를 따르고 있다[10]. 본 증례에서는 단일 병변에 대해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타장기 침범을 의심할 만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추적관찰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REFERENCES

1. Abla O, Egeler RM, Weitzman S.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current concepts and treatments. Cancer Treat Rev 2010;36:354–359.
crossref pmid

2. Ng-Cheng-Hin B, O'Hanlon-Brown C, Alifrangis C, Waxman J.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ld disease new treatment. QJM 2011;104:89–96.
crossref pmid

3. Sharma S, Gupta M. A colonic polyp due to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 lesion not to be confused with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Histopathology 2006;49:438–439.
crossref pmid

4. Kibria R, Gibbs PM, Novick DM. Adult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a rare cause of colon polyp. Endoscopy 2009;41(Suppl 2):E160–161.
crossref pmid

5. Shankar U, Prasad M, Chaurasia OP. A rare case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orld J Gastroenterol 2012;18:1410–1413.
crossref pmid pmc

6. Lee SJ, Kim KJ, Yoon SM, et al. A case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at involved the col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9;38:166–170.


7. Grois N, Pötschger U, Prosch H, et al. Risk factors for diabetes insipidus in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Pediatr Blood Cancer 2006;46:228–233.
crossref pmid

8. Howarth DM, Gilchrist GS, Mullan BP, Wiseman GA, Edmonson JH, Schomberg PJ.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diagnosis, natural history, management, and outcome. Cancer 1999;85:2278–2290.
crossref pmid

9. Hait E, Liang M, Degar B, Glickman J, Fox VL. Gastrointestinal tract involvement in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Pediatrics 2006;118:e1593–1599.
crossref pmid

10. Gadner H, Grois N, Arico M, et al. A randomized trial of treatment for multisystem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J Pediatr 2001;138:728–734; Erratum in: J Pediatr 2001;139:170.
crossref pmid

At colonoscopy, an 8-mm sessile polyp with central erosion was seen in the descending colon.
/upload/thumbnails/kjm-84-5-704-12f1.gif
Figure 1.
Microscopically, (A) Langerhans cell infiltration is seen mainly in the submucosa (H&E stain, × 40). (B) Higher magnification shows histiocytic cells with abundant eosinophilic cytoplasm and smudged vesicular nuclei associated with a crushing artifact due to the polypectomy (H&E stain, × 200).
/upload/thumbnails/kjm-84-5-704-12f2.gif
Figure 2.
Microscopically, (A-B) Langerhans cells are positive for S-100 protein and CD1a antigen (immunohistochemistry, × 200).
/upload/thumbnails/kjm-84-5-704-12f3.gif
Figure 3.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8,609 View
  • 97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