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84(3); 2013 > Article
단일관상동맥: 좌회선지 원위부에서 기원하는 우관상동맥

요약

본 증례는 우관상동맥이 좌회선지의 원위부에서 기시하는 단일관상동맥 기형으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2예, 전 세계적으로는 18예에서만 보고된 드문 증례이다. 단일관상동맥 기형은 흉통, 심근허혈, 급성 심장사를 일으킬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관상동맥 조영술 및 MDCT로 단일관상동맥을 진단할 수 있다. 저자들은 유의한 관상동맥의 협착이 없이 운동성 흉통과 운동부하 심전도 양성을 보이는 미세혈관 협심증의 단일관상동맥 기형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single coronary artery (SCA)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myocardial ischemia. We report a SCA consisting of an anomalous right coronary artery originating from the distal left circumflex artery diagnosed by coronary angiography an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Korean J Med 2013;84:411-413)

서 론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발견한 관상동맥 기형의 유병률은 0.2-1.3%이다[1].
이 중 단일 관상동맥 유병률은 0.024-0.066%로 매우 희귀하며, 협심증을 유발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2]. 저자들은 흉통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과 다중열검출기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우관상동맥이 좌회선지 원위부에서 기시하는 드문 관상동맥 기형을 발견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 자: 김○○, 남자, 56세
주 소: 운동성 흉통
현병력: 내원 이틀 전 운동 시 약 10분간 흉부의 조이는 듯한 통증이 있어 정밀검진 위하여 본원 외래 내원하였다.
과거력: 당뇨, 고혈압으로 개인병원 약물 복용 중이었다.
가족력 및 사회력: 특이사항 없었다.
이학적 소견: 내원 시 혈압 130/80 mm/Hg, 맥박 88회/분, 호흡수 16회/분, 체온 36.8℃였다. 흉부 청진에서 호흡음은 정상이었으며, 심음은 규칙적이었고 잡음은 들리지 않았다.
검사실 소견: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8,600/mm3, 혈색소 13.0 g/dL, 헤마토크리트 39.4%, 혈소판 198,000/mm3이었다.
혈청생화학적검사, 심근효소검사 검사에서도 이상소견은 없었다.
흉부 방사선 소견: 이상소견 없었다.
심전도 소견: 정상 동율동이었으며 ST 분절 상승 및 하강은 없었고, T파의 역위도 관찰되지 않았다.
운동부하 심전도 소견: Stage III에서 V4-V6에 걸쳐 1 mm의 ST분절 하강이 관찰되었고, 운동 종료 직후 회복되었다.
심초음파 소견: 좌실실 구혈률은 61.4%였으며, 국소 벽 운동의 장애는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 좌주간지와 좌전하행지 및 좌회선지에 협착은 관찰되지 않았고, 우관상동맥은 좌회선지 원위부에서 기시하여 우측 대동맥동 근처까지 뻗어 있었다(Fig. 1).다중열검출기 전산화 단층촬영: 좌회선지 원위부에서 우관상동맥이 기시하는 단일관상동맥이었고, 우측 대동맥동의 관상동맥 개구부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
임상경과: 관상동맥 조영술 및 다중열검출기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은 보이지 않아 심혈관 중재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단일관상동맥과 미세혈관 협심증으로 진단 후 아스피린,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치료하며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선천성 관상동맥 기형은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0.2-1.3%, 부검을 하는 경우 0.3%에서 볼 수 있다[1]. 선천성 관상동맥 기형 중 단일관상동맥의 유병률은 0.024-0.066%로 매우 희귀하다[2]. Lipton 등 분류에 의하면 우관상동맥이 좌회선지 원위부에서 기시하는 본 증례의 경우 L-I형이며 국내에는 2예, 전 세계적으로 18예에서만 보고된 극히 드문 경우이다.
과거 관상동맥 기형의 진단은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서 발견되었지만, 최근 비침습적인 검사인 다중열검출기 전산화 단층촬영(MDCT)을 통해 관상동맥 기시부의 형태, 주행, 동반된 심장기형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관상동맥 조영술과 더불어 매우 유용한 관상동맥기형 검사 방법이 되었다[3]. 본 증례의 경우 환자가 내원 시 이학적 소견, 검사실 소견, 심전도, 심초음파에 이상소견이 없었지만 당뇨, 고혈압의 과거력과 운동부하 심전도 양성으로 흉통의 원인 감별을 위하여 MDCT 및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유의한 협착이 없는 단일관상동맥을 진단할 수 있었다.
단일관상동맥은 대부분 무증상이나 관상동맥의 주행 및 분지 각도,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에 따라 흉통, 심근허혈, 급사 등과 중요한 연관이 있을 수 있다[4]. 따라서 흉통으로 내원한 환자의 정밀한 평가를 위해 관상동맥 조영술, MDCT 등을 시행하고, 이를 통해 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뿐만 아니라 단일관상동맥과 같은 관상동맥기형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Yildiz A, Okcun B, Peker T, Arslan C, Olcay A, Bulent Vatan M. Prevalence of coronary artery anomalies in 12,457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Clin Cardiol 2010;33:E60–64.
crossref pmid

2. Lipton MJ, Barry WH, Obrez I, Silverman JF, Wexler L. Isolated single coronary artery: diagnosis, angiographic classificat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Radiology 1979;30:39–47.
crossref pmid

3. Celik T, Kursaklioglu H, Iyisoy A, Bozlar U. Single coronary artery but dual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anomaly. Cardiovasc Revasc Med 2011;12:65–66.
crossref pmid

4. Rapp AH, Hillis LD. Clinical consequences of anomalous coronary arteries. Coron Artery Dis 2001;12:617–620.
crossref pmid

On coronary angiography, no stenosis was seen in the left circumflex (LCX) or left anterior descending (LAD) arteries and the right coronary artery (RCA) originated from the distal LCX in the anteroposterior (AP) and left anterior oblique (LAO) cranial views (A, B).
/upload/thumbnails/kjm-84-3-411-15f1.gif
Figure 1.
A single coronary artery arose from the left coronary sinus and connected the distal left circumflex artery (LCX) to the right coronary artery (RCA) via epicardial vessels on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giography (A, B).
/upload/thumbnails/kjm-84-3-411-15f2.gif
Figure 2.
TOOLS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0 Scopus
  • 6,950 View
  • 120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