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earch

Close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

최홍상1,2, 배은희1,2

Recent Updates on the Renoprotective Effects of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Hong Sang Choi1,2, Eun Hui Bae1,2
Received January 13, 2025;       Revised January 25, 2025;       Accepted March 8, 2025;
Abstract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GLP-1RA)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whether GLP-1RA improves clinically important renal outcomes is still unclear. In cardiovascular outcome trials of GLP-1RA, renal outcomes have been evaluated as secondary outcomes; however, their benefits have not been clarified, except for the effect of reducing albuminuria. Recently, the FLOW trial evaluated the renal benefits of GLP-1RA as a primary outcome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and showed a significant renoprotective effect.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renoprotective effects of GLP-1RA, summarize recently published research results, and describe the known mechanism of renal benefit and outlook.
서 론
서 론
Glucagon-like peptide 1 (GLP-1)수용체작용제가 최근 수년 사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약제 중 하나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GLP-1수용체작용제는 처음에는 2형 당뇨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탁월한 체중 감소 효과로 현재는 당뇨가 없는 사람에서도 비만 치료제로써 승인을 받아 널리 사용 중이다. GLP-1수용체작용제는 혈당 조절, 체중 감소 효과뿐 아니라 혈압 강하, 지질 개선 등의 효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을 개선시켜 대규모 무작위 임상 연구에서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입증하였다[1-4].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한당뇨병학회뿐만 아니라 미국당뇨병학회와 유럽당뇨병학회 등의 진료지침에는 죽상경화심혈관질환을 동반한 성인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 이익이 입증된 GLP-1수용체작용제 사용을 우선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5,6].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입증한 무작위 임상 연구들 중 일부에서 알부민뇨 및 사구체여과율 감소와 같은 신장 사건을 이차 결과(secondary outcome)로 평가하였고 유의한 신장 보호 효과를 보고하였다. 특히 최근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신장 사건을 일차 결과(primary outcome)로 평가한 FLOW 연구에서 신장 사건 및 심혈관 사건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GLP-1수용체 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1,2,4,7]. 본 논문에서는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들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알려진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전망 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론
본 론
심혈관 종말점 연구를 통해 본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
심혈관 종말점 연구를 통해 본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
GLP-1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 결과(cardiovascular outcome)를 평가한 대규모 임상 연구 중 이차 종말점으로 신장 보호 효과를 수집한 연구들은 ELIXA [8], LEADER [1], SUSTAIN-6 [2], EXSCEL [9], REWIND [4], AMPLITUDE-O [10] 등이 대표적이다(Table 1). LEADER 연구는 심혈관계 고위험군인 2형 당뇨병 환자 9,340명을 대상으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와 위약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이다[1]. 복합 신장 종말점(새롭게 발생한 알부민뇨, 혈청 크레아티닌의 2배 증가, 말기 신장병 또는 신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리라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발생하였다(268/4,668 vs. 337/4,672 patients; hazard ratio [HR], 0.78; 95% confidence interval [CI], 0.67-0.92; p= 0.003) [11]. 그러나 이와 같은 신장 종말점의 이익은 대부분 알부민뇨 발생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161 vs. 215 patients; HR, 0.74; 95% CI, 0.60-0.91; p= 0.004) 신기능 감소를 포함하는 신장 종말점의 나머지 요소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못하였다. 하위군 분석에서는 사구체여과율 60 mL/min/1.73 m2 이상인 군과 알부민뇨가 있는 군에서 유의한 이익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WIND 연구는 심혈관질환의 기왕력이 있거나 고위험군인 50세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 9,901명을 대상으로 둘라글루타이드(dulaglutide) 주 1회 주사 요법과 위약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이다[4]. 5.4년의 추적 기간 동안 둘라글루타이드군은 위약군에 비해 신장 종말점(새롭게 발생한 알부민뇨, 기저 사구체여과율의 30% 이상 감소 또는 신대체 치료)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HR, 0.85; 95% CI, 0.77-0.93; p= 0.0004) [12]. 복합 신장 종말점의 유의한 결과는 알부민뇨의 발생에 의존하고 있으며(HR, 0.77; 95% CI, 0.68-0.87; p< 0.0001) 사구체여과율 감소와 신대체 치료의 발생에 대해서는 각각 유의한 이익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그 밖의 GLP-1 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 보호 효과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도 신장 종말점의 이익이 대부분 알부민뇨의 감소에 기인하는 양상을 보이며 신기능 감소나 신대체 치료와 같은 신장 사건에 대해서는 유의한 이익을 보이지 못하였다[13]. 이는 위 임상 연구들을 메타 분석한 연구 결과에서도 잘 나타난다[14]. 그러나 상기 연구들은 신장 사건을 일차 종말점으로 본 연구들이 아니었고 실제 신기능이 많이 저하된 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한 새로운 무작위 임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FLOW 연구를 통해 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의 신장 보호 효과
FLOW 연구를 통해 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의 신장 보호 효과
FLOW 연구는 2형 당뇨병과 고위험군 만성 콩팥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세마글루타이드 1.0 mg 주 1회 피하 주사 요법의 효과를 평가한 글로벌 이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임상시험이다[7]. 최대 내약 용량의 레닌-안지오텐신시스템저해제를 복용 중인 사구체여과율 25-75 mL/min/1.73 m2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사구체여과율 25-50 mL/min/1.73 m2,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300-5,000 mg/g인 경우 또는 사구체여과율 25-50 mL/min/1.73 m2,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100-5,000 mg/g인 경우가 포함되었다. FLOW 연구는 세계적으로 3,533명이 모집되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일차 종말점 발생 건수에 의하여 미리 계획된 중간 분석에서 연구의 조기 완료가 결정되어 평균 추적 기간은 3.4년이었다. 일차 종말점인 주요 신질환 사건(major kidney disease events; 신부전[투석, 이식 또는 사구체여과율 < 15 mL/min/1.73 m2], 기저 사구체여과율 50% 이상 감소, 신장 연관 또는 심혈관계 원인의 사망의 복합)의 상대 위험도가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보다 24% 낮게 나타났다(HR, 0.76; 95% CI, 0.66-0.88; p= 0.0003). 신장 특이 사건만을 복합한 일차 종말점(kidney-specific components of the primary outcome; 기저 사구체여과율 50% 이상 감소, 사구체여과율 < 15 mL/min/1.73 m2, 신대체 치료 시작, 신장 연관 원인의 사망)도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HR, 0.79; 95% CI, 0.66-0.94) 심혈관 원인의 사망 역시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보다 낮았다(HR, 0.71; 95% CI, 0.56-0.89). 이와 같은 결과들은 광범위한 민감도 분석 및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차 종말점으로서 분석된 사구체여과율 감소 속도는 세마글루타이드군이 위약군에 비해 덜 가파른 양상이었고(-2.19 vs. -3.36 mL/min/1.73 m2/year; between-group difference, 1.16; 95% CI, 0.86-1.47; p< 0.001) 주요 심혈관 사건의 상대 위험도도 세마글루타이드군이 위약군보다 약 18% 낮게 나타났다(212 vs. 254 events; HR, 0.82; 95% CI, 0.68-0.98; p= 0.029).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 역시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보다 20% 낮게 보고되었다(227 vs. 279 events; HR, 0.80; 95% CI, 0.67-0.95, p= 0.01). 기타 효과 종말점으로서 평가된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은 104주차 시점에서 위약군은 12% 감소한데 반해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40% 감소를 보였다. 체중 감소 효과는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4.1 kg 더 컸으며 당화혈색소는 0.81%, 수축기 혈압은 2.23 mmHg 더 낮게 나타나 강력한 체중 감소 및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냈다. FLOW 연구는 기존 GLP-1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 종말점을 평가한 연구들과 달리 GLP-1수용체작용제가 당뇨병과 만성 콩팥병을 가진 환자에서 신부전 및 사구체여과율 감소와 같은 신장 사건의 발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을 뿐 아니라 심혈관계 사건과 사망 역시 감소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다양한 범위의 사구체여과율과 알부민뇨를 보이는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및 심장 사건에 대한 이익을 보임으로써 만성 콩팥병 환자에서의 GLP-1수용체작용제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SELECT 연구를 통해 본 비당뇨병 환자에서의 GLP-1 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
SELECT 연구를 통해 본 비당뇨병 환자에서의 GLP-1 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
SELECT 연구는 당뇨가 없는 45세 이상의 심혈관계 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 17,604명을 대상으로 세마글루타이드 2.4 mg 주 1회 피하 주사 요법의 효과를 평가한 임상 연구이다[15]. 일차 종말점은 복합 심혈관계 사건이었지만 미리 특정된 이차 복합 신장 종말점으로서 사구체여과율 < 15 mL/min/1.73 m2, 신대체 치료, 신질환에 의한 사망, 기저 사구체여과율 50% 이상 감소, 신장 연관 또는 심혈관계 원인의 사망 부전(투석, 이식 또는 거대알부민뇨의 발생,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 300 mg/g)을 평가하였다. 전체 환자의 21.3%가 만성 콩팥병 환자였으며 74.5%는 레닌-안지오텐신차단제를 복용 중이었다. 약 39.8개월의 추적 기간 동안 일차 종말점인 복합 심혈관 사건의 상대 위험도가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20%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HR, 0.80; 95% CI, 0.72-0.90; p< 0.001) [15]. 이차 종말점인 복합 신장 사건의 상대 위험도는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22%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HR, 0.78; 95% CI 0.63-0.96; p= 0.02) 이 결과는 이차 종말점의 요소 중 기저 사구체여과율의 50% 이상 감소 및 거대알부민뇨의 발생에 의하여 주도되었다[16]. 사구체여과율의 감소 속도 역시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완화된 것을 보고하였다(-0.78 vs. -1.17 mL/min/year, p<0.001). 이와 같은 신장 이득은 사구체여과율이나 알부민뇨의 양에 따른 하위군 분석에서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104주 시점에서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은 위약군에서 기저치에 비해 12.3% 증가한 반면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0.3%로 적게 증가하였다. 기타 종말점으로서 체중 감소는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8.51% 더 감량되었고 당화혈색소는 0.32%, 수축기 혈압은 3.31mmHg 더 낮게 나타났다.
SELECT 연구는 애초에 당뇨가 없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세마글루타이드의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보고자 하였던 연구이기 때문에 FLOW 연구에 비해 높은 평균 body mass index를 보였다(SELECT, 33.3±5.0 vs. FLOW, 32.0±6.3). 또한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FLOW 연구에 비해 SELECT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의 평균 사구체여과율은 훨씬 높았으며 알부민뇨를 가진 환자의 비율도 더 적었다(Table 1). 그러나 SELECT 연구는 신장 이익을 이차 종말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시작 시점에서 만성 콩팥병 환자가 약 20% 정도만 포함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 최초로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이득을 보고한 연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향후에 당뇨가 없는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이익을 일차 종말점으로 평가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 기전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 기전
GLP-1수용체작용제의 혈당 강하 및 체중 감소 효과는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17,18]. 이를 바탕으로 항고혈압, 항알부민뇨 효과 및 지질 강하를 일으키며 이들은 모두 신장 보호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접적 신장 보호 효과 이외에도 직접적인 신장 보호 효과를 나타냄이 일부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GLP-1수용체는 췌장을 비롯한 다양한 신체 장기에 발현됨이 알려져 있으며 신장에서는 내피세포, 대식세포, 토리곁세포 및 근위세뇨관 등에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이를 통해 직접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19]. GLP-1수용체작용제의 항염증, 항섬유화 효과는 여러 동물 연구 및 임상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래트 모델에서 리라글루타이드를 주사하였을 때 소변에서 산화스트레스의 지표인 8-OHdG, malondialdehyde의 배설이 감소하며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TGF-β1), fibronectin과 같은 섬유화 지표의 mRNA 발현량이 감소됨이 보고되었다[20].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하였을 때 염증성 대식세포 분자인 soluble CD163의 혈중 농도 및 interleukin (IL)-1β,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혈중 농도가 감소함이 확인되었다[21]. 대규모 임상 연구인 AWARD-7 연구에서도 둘라글루타이드 사용군에서 인슐린 사용군에 비해 섬유화 지표인 혈청 PRO-6와 소변 C3M의 농도가 유의하게 낮음을 보인 바 있다[22].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의 또다른 기전으로 나트륨 배설 증가(natriuresis) 효과가 자주 언급된다. GLP-1을 투여한 래트에서 나트륨 배설 분획 및 중탄산염 배설 분획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근위세뇨관의 sodium-hydrogen exchanger 3 (NHE3)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임이 보고되었다[23].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GLP-1을 투여하였을 때도 나트륨 배설 분획 및 리튬 배설 분획의 유의한 증가를 통해 근위세뇨관에서의 나트륨 이뇨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24]. 이와 같은 나트륨 이뇨 효과는 요세관사구체되먹임(tubuloglomerular feedback) 작용을 통해 사구체 압력을 낮추고 알부민뇨를 줄여 신장 보호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25]. 최근에 발표된 연구는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보호 효과의 기전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GLP-1수용체가 결여된 생쥐에서 자연적으로 만성 신장 손상이 발생함이 관찰되었고 이 생쥐 모델에서 당뇨병의 병발이 당뇨병신병증의 발병을 가속화함을 보였으며 GLP-1수용체와 최종당화산물수용체(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RAGE)를 동시에 결여시키는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완화되는 결과를 보였다[26]. 또한 당뇨병 생쥐 모델과 비당뇨병 신장 손상 래트 모델 모두에서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하면 신장에서 RAGE의 발현이 감소하고 신장 손상을 완화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GLP-1수용체작용제의 포도당-비의존적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26].
최근 가이드라인을 통해 본 GLP-1수용체작용제 사용의 현재
최근 가이드라인을 통해 본 GLP-1수용체작용제 사용의 현재
현재 신장질환 분야의 주요 진료지침 중 하나인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가이드라인에서는 2형 당뇨병과 만성 콩팥병이 있는 환자 중 메트포민과 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SGLT2)억제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목표 혈당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해당 약제를 복용할 수 없는 경우 장기 지속형 GLP-1수용체작용제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죽상경화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높거나 체중 감량이 필요한 경우 metformin과 SGLT2억제제에 이어 우선적으로 추천하는 약제로 제시하고 있다[27]. 이와 같은 권고사항의 배경이 된 연구 결과는 앞서 제시한 GLP-1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 종말점을 평가한 연구들에서 보고된 심혈관계 사건 및 이차 종말점인 신장 사건에 대한 이익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특히 리라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주사형)와 같은 지속형 GLP-1수용체작용제의 사용을 권하고 있는데 릭시세나타이드(lixisenatide), 엑세나타이드(exenatide)와 같은 엑센딘-4 (exendin-4) 기반의 단시간 작용 GLP-1수용체작용제를 사용한 ELIXA, EXSCEL 연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심혈관계 이익을 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8,9]. FLOW 연구 결과가 발표된 이후 출판된 2025년 미국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서도 당뇨병과 만성 콩팥병이 있는 환자에서 GLP-1수용체작용제 사용에 대한 근거 수준은 상승하였지만 권고하는 내용은 KDIGO 가이드라인과 큰 차이는 없다[28]. 그 밖에 사구체여과율 15 mL/min/1.73 m2 미만의 중증 만성 콩팥병 환자, 투석 환자 그리고 신장 이식을 받은 환자에서는 아직 연구 결과가 부족하며 현재 가이드라인들에서는 GLP-1수용체작용제의 사용이 권고되지는 않는다. 5년 이상의 장기 사용의 효과와 안정성, 비용-효과 측면 그리고 1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GLP-1수용체작용제의 사용에 대해서도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GLP-1수용체작용제의 미래
GLP-1수용체작용제의 미래
경구 세마글루타이드는 첫 번째로 개발된 경구 GLP-1수용체작용제이다. 기존의 주사제들과 달리 경구 복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주사제를 기피하는 환자나 의료진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하루 1회 투여하는 경구 세마글루타이드는 주 1회 세마글루타이드 주사와 비교하여 체내 흡수 패턴이 다르지만 약물이 흡수되면 세마글루타이드의 약동학적 특성과 효과는 투여 경로에 관계없이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29,30]. 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구 세마글루타이드의 심혈관계 안정성을 평가한 PIONEER 6 연구에서는 위약군에 비해 심혈관계 종말점에 대하여 열등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31]. 현재 심혈관 질환 또는 만성 콩팥병을 가진 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구 세마글루타이드의 심혈관계 이익을 증명하기 위한 다기관 3상 임상 연구인 SOUL 연구가 진행 중으로 그 결과가 주목된다[32].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 (GIP)/GLP-1이 중작용제 역시 최근 각광받는 치료제이다. GIP 역시 인크레틴 효과를 보이는 호르몬이나 글루카곤의 증가 때문에 단독으로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지만 GLP-1수용체작용제와 함께 사용 시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33].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GIP/GLP-1이중작용제인 tirzepatide와 세마글루타이드 주사를 사용한 SURPASS-2 연구에서 tirzepatide군이 당화혈색소 감소 및 체중 감량 측면에서 세마글루타이드군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34]. 2형 당뇨병 환자에서 tirzepatide와 인슐린글라진의 신장 이익을 비교한 SURPASS-4 연구에서도 tirzepatide군이 인슐린글라진군보다 기저 신기능에 관계없이 사구체여과율 감소를 완화하는 결과를 보여 향후 만성 콩팥병 환자에서의 사용에 가능성을 보여주었다[35]. 그 밖에 GIP/GLP-1/glucagon삼중작용제 또는 GLP-1수용체작용제와 SGLT2억제제의 조합 역시 현재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향후 만성 콩팥병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한 선택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36,37].
결 론
결 론
GLP-1수용체작용제는 2형 당뇨병 치료에 있어 저혈당 위험은 적으면서도 우수한 혈당 강하 및 체중 감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특히 지속형 GLP-1수용체작용제인 리라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주사형)는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이익을 증명하였으며 신장 사건에 대해서도 유익한 효과를 보여 현재 가이드라인에서 당뇨병이 있는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사용이 권고된다. 특히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높거나 체중 감량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세마글루타이드의 신장 보호 효과를 일차 종말점으로 본 FLOW 연구를 통해 그간 일부 논란이 있어 왔던 GLP-1수용체작용제의 신장 이익을 명확히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당뇨병이 없는 비만 환자에서 세마글루타이드의 효과를 본 SELECT 연구에서 신장 보호 효과를 보인 점은 비당뇨병 환자에서도 GLP-1수용체작용제를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으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경구 GLP-1수용체 작용제 및 GIP/GLP-1이중작용제를 포함한 현재 연구 중이거나 개발 중인 새로운 약제의 도입이 기대된다.
Conflicts of Interest
Conflicts of Interest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Notes
Notes

FUND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grand (BCRI-24032)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Notes
Notes

AUTHOR CONTRIBUTIONS

Hong Sang Choi: conceptualization, investigation, writing-original draft, writing-review & editing.

Eun Hui Bae: concept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supervision.

Notes
Notes

ACKNOWLEDGEMENTS

None.

Table 1.
Summarized renal outcome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with glucacon-like peptide 1 agonists
ELIXA [1] LEADER [2,3] SUSTAIN 6 [4] EXSCEL [5] REWIND [6] AMPLITUDE-O [7] SELECT [8,9] FLOW [10]
Year 2015 2016 2016 2017 2019 2021 2023 2024
Drug Lixisenatide Liraglutide Semaglutide Exenatide Dulaglutide Efpeglenide Semaglutide Semaglutide
Number of patients 6,068 9,340 3,297 14,752 9,901 4,076 17,604 3,533
Baseline eGFR < 60 mL/min/1.73 m2 (%) 23.2 23.1 28.5 21.6 22.2 31.6 10.8 79.6
Baseline eGFR (mL/min/1.73 m2) 76.0 80.4 76.1 76.8 76.9 72.4 82.4 47.0
Albuminuria (%) 25.3 11.0 NA 22.0 34.5 48.5 13.4 96.9
ACEi or ARB (%) 85.0 82.8 83.5 79.9 81.5 80.0 74.5 95.3
Composite renal outcomes NA 0.78 (0.67-0.92) 0.64 (0.46-0.88) 0.88 (0.76-1.01) 0.85 (0.77-0.93) 0.68 (0.57-0.79) 0.78 (0.63-0.96) 0.76 (0.66-0.88)
Macroalbuminuriaa 0.81 (0.66-0.99) 0.74 (0.60-0.91) 0.54 (0.37-0.77) 0.87 (0.70-1.07) 0.77 (0.68-0.87) 0.68 (0.58-0.80) 0.80 (0.64-1.00) 0.68 (0.62-0.75)
Worsening eGFRa 1.16 (0.74-1.83) 0.89 (0.67-1.19) 1.28 (0.64-2.58) NA 0.89 (0.78-1.01) 0.35 (0.10-1.27) 0.57 (0.27-1.14) 0.73 (0.59-0.89)
Need for renal-replacement therapya NA 0.87 (0.61-1.24) 0.91 (0.40-2.07) NA 0.75 (0.39-1.44) NA 0.66 (0.17-2.32) 0.84 (0.63-1.12)
Death due to renal diseasea NA 1.59 (0.52-4.87) NA NA NA NA NA 0.97 (0.27-3.49)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ACEi,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NA, not available.

a Hazard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References
References

REFERENCES

1. Marso SP, Daniels GH, Brown-Frandsen K, et al. Lir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6;375:311–322.
[Article] [PubMed] [PMC]
2. Marso SP, Bain SC, Consoli A, et al. Sem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6;375:1834–1844.
[Article] [PubMed]
3. Hernandez AF, Green JB, Janmohamed S, et al. Albi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harmony outcomes):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2018;392:1519–1529.
[PubMed]
4. Gerstein HC, Colhoun HM, Dagenais GR, et al. Dul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REWIND):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2019;394:121–130.
[PubMed]
5. Choi JH, Lee KA, Moon JH, et al. 2023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betes mellitus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Metab J 2023;47:575–594.
[Article] [PubMed] [PMC]
6. Davies MJ, Aroda VR, Collins BS, et al. 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ype 2 diabetes, 2022. A consensus repor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EASD). Diabetes Care 2022;45:2753–2786.
[Article] [PubMed] [PMC]
7. Perkovic V, Tuttle KR, Rossing P, et al. Effects of semaglutide on chronic kidney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24;391:109–121.
[Article] [PubMed]
8. Pfeffer MA, Claggett B, Diaz R, et al. Lixisenatid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acute coronary syndrome. N Engl J Med 2015;373:2247–2257.
[Article] [PubMed]
9. Holman RR, Bethel MA, Mentz RJ, et al. Effects of once-weekly exenatide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7;377:1228–1239.
[Article] [PubMed] [PMC]
10. Gerstein HC, Sattar N, Rosenstock J, et al. Cardiovascular and renal outcomes with efpeglenatide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21;385:896–907.
[Article] [PubMed]
11. Mann JFE, Ørsted DD, Brown-Frandsen K, et al. Liraglutide and renal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7;377:839–848.
[Article] [PubMed]
12. Gerstein HC, Colhoun HM, Dagenais GR, et al. Dulaglutide and renal outcomes in type 2 diabetes: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REW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2019;394:131–138.
[PubMed]
13. Rossing P, Baeres FMM, Bakris G, et al. The rationale, design and baseline data of FLOW, a kidney outcomes trial with once-weekly semaglutide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Nephrol Dial Transplant 2023;38:2041–2051.
[Article] [PubMed] [PMC]
14. Sattar N, Lee MMY, Kristensen SL, et al.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kidney outcomes with GLP-1 receptor agonis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1;9:653–662.
[Article] [PubMed]
15. Lincoff AM, Brown-Frandsen K, Colhoun HM, et al. Sem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obesity without diabetes. N Engl J Med 2023;389:2221–2232.
[Article] [PubMed]
16. Colhoun HM, Lingvay I, Brown PM, et al. Long-term kidney outcomes of semaglutide in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SELECT trial. Nat Med 2024;30:2058–2066.
[Article] [PubMed] [PMC]
17. Meier JJ, Menge BA, Schenker N, et al. Effects of sequential treatment with lixisenatide, insulin glargine, or their combination on meal-related glycaemic excursions, insulin and glucagon secretion, and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Obes Metab 2020;22:599–611.
[PubMed]
18. Baggio LL, Drucker DJ.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s in the brain: controlling food intake and body weight. J Clin Invest 2014;124:4223–4226.
[Article] [PubMed] [PMC]
19. Alicic RZ, Cox EJ, Neumiller JJ, Tuttle KR. Incretin drugs in diabetic kidney disease: biological mechanisms and clinical evidence. Nat Rev Nephrol 2021;17:227–244.
[Article] [PubMed]
20. Hendarto H, Inoguchi T, Maeda Y, et al. GLP-1 analog liraglutide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albuminur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via protein kinase A-mediated inhibition of renal NAD(P)H oxidases. Metabolism 2012;61:1422–1434.
[Article] [PubMed]
21. Hogan AE, Gaoatswe G, Lynch L, et al. Glucagon-like peptide 1 analogue therapy directly modulates innate immune-mediated inflammation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ologia 2014;57:781–784.
[Article] [PubMed]
22. Tuttle KR, Wilson JM, Lin Y, et al. Indicators of kidney fibrosi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treated with dulaglutide. Am J Nephrol 2023;54:74–82.
[Article] [PubMed]
23. Crajoinas RO, Oricchio FT, Pessoa TD, et al. Mechanisms mediating the diuretic and natriuretic actions of the incretin hormone glucagon-like peptide-1. Am J Physiol Renal Physiol 2011;301:F355–F363.
[Article] [PubMed]
24. Skov J, Dejgaard A, Frøkiær J, et al. Glucagon-like peptide-1 (GLP-1): effect on kidney hemodynamics and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in healthy 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13;98:E664–E671.
[Article] [PubMed]
25. Hviid AVR, Sørensen CM.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s in the kidney: impact on renal autoregulation. Am J Physiol Renal Physiol 2020;318:F443–F454.
[Article] [PubMed]
26. Sourris KC, Ding Y, Maxwell SS, et al.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signaling modifies the extent of diabetic kidney disease through dampening the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induced inflammation. Kidney Int 2024;105:132–149.
[Article] [PubMed]
27.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Diabetes Work Group. KDIGO 2022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betes management in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2022;102 Suppl 5:S1–S127.

2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Professional Practice Committee. 11. Chronic kidney disease and risk management: standards of care in diabetes-2025. Diabetes Care 2025;48 Suppl 1:S239–S251.

29. Davies M, Pieber TR, Hartoft-Nielsen ML, Hansen OKH, Jabbour S, Rosenstock J. Effect of oral semaglutide compared with placebo and subcutaneous semaglutide on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7;318:1460–1470.
[Article] [PubMed] [PMC]
30. Granhall C, Donsmark M, Blicher TM, et al.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single and multiple ascending doses of the novel oral human GLP-1 analogue, oral semaglutide, in healthy subjects and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Clin Pharmacokinet 2019;58:781–791.
[Article] [PubMed]
31. Husain M, Birkenfeld AL, Donsmark M, et al. Oral sem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9;381:841–851.
[Article] [PubMed]
32. McGuire DK, Busui RP, Deanfield J, et al. Effects of oral semaglutide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and establishe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nd/or chronic kidney disease: design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OUL, a randomized trial. Diabetes Obes Metab 2023;25:1932–1941.
[PubMed]
33. Bailey CJ. Tirzepatide: a new low for bodyweight and blood glucose.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1;9:646–648.
[Article] [PubMed]
34. Frías JP, Davies MJ, Rosenstock J, et al. Tirzepatide versus semaglutide once weekl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21;385:503–515.
[Article] [PubMed]
35. Heerspink HJL, Sattar N, Pavo I, et al. Effects of tirzepatide versus insulin glargine on kidney outcomes in type 2 diabetes in the SURPASS-4 trial: posthoc analysis of an open-label, randomised, phase 3 trial.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2;10:774–785.
[Article] [PubMed]
36. Gourdy P, Darmon P, Dievart F, Halimi JM, Guerci B. Combining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GLP-1RAs) and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s (SGLT2i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Cardiovasc Diabetol 2023;22:79.
[Article] [PubMed] [PMC]
37. Jastreboff AM, Kaplan LM, Frías JP, et al. Triple-hormone-receptor agonist retatrutide for obesity - a phase 2 trial. N Engl J Med 2023;389:514–526.
[Article] [PubMed]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