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earch

Close

Case Report
Korean J Med. 2015;89(1):85-90. Published online July 1, 2015.
DOI: https://doi.org/10.3904/kjm.2015.89.1.85
심실중격결손에 의해 과다 폐색전증의 증상이 발현되지 않은 1예
이경용, 정우조, 김경중, 두영재, 최지욱, 윤영섭, 이재범
안양샘병원 순환기내과
A Case of Massive Pulmonary Embolism Masked by a Ventricular Septal Defect
Kyoung Yong Lee, Woo Cho Chung, Kyung Joong Kim, Young Jae Doo, Jiwook Choi, Yeong Seop Yun, Jae Beom Lee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yang Sam Hospital, Anya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e Beom Lee ,Tel: +82-31-467-9110, Fax: +82-31-449-0151, Email: Fa5754@gmail.com
Received: September 4, 2014; Revised: November 7, 2014   Accepted: December 22, 2014.
과다 폐색전증(mas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은 빠른 치료가 사망률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폐색전증 중에서도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환자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폐색전증은 다른 양상의 혈역학적 효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초기 진단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사망률을 높이게 될 수 있다. 저자 등은 72세 여자 환자에서 2개월 전부터 서서히 악화된 호흡곤란을 급성 관동맥 증후군으로 생각하여 검사를 진행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과다 폐색전증을 진단하였다. 폐색전증 환자에서 일반적 병태생리와 다른 경우에는 심실중격결손의 합병 유무에 대해서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자 등은 72세 여자 환자에서 심실중격결손에 의해 숨겨졌던 과다 폐색전증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ɾ :과다 폐색전증; 심실중격결손
Abstract
Patients with massive pulmonary embolism may present with severe dyspnea at rest, syncope, or cardiac arrest.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essential to reduce mortality; however, patient-specific factors can influence the hemodynamic effect of pulmonary embolism. Here, we present a case of massive pulmonary embolism masked by a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a 73-year-old female.

Keywords :Massive pulmonary embolism, Heart septal defects, Ventricular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