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
Korean J Med. 2006;71(1):281-281.
- Proteomic analysis of serum from patients in myocardial infarction and transient left ventricular dysfunction(apical ballooning)
-
박승훈심윤숙박병원현민수김성구권영주
-
.
- Proteomic analysis of serum from patients in myocardial infarction and transient left ventricular dysfunction(apical ballooning)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 Abstract
- 목적 : 하나의 단백질이 지니고 있는 단백질 전체를 단백질체(proteome)라 부르는데 단백질체 분석은 이 단백질체를 광범위하게 단백질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여러 암을 비롯해 많은 질환에서 단백질체 분석으로 통해 질환의 발현 양상을 규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과성 좌심실 부전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급성 심근 경색증과 감별을 요하는 질환이다. 저자
들은 급성 심근 경색증과 일과성 좌심실 부전 환자에서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단백질의 발현 양상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
환자는 심근 경색증군(12명)과 일과성 좌심실 기능부전군(9명), 나이 및 성별 등이 비슷한 대조군(13명)이었으며 환자들의 혈액은 관상동맥
조영술 및 진단시에 채취하여 원심분리후에 혈청을 영하 45도 이상의 저온고에 저장하였다. 각 대상군의 혈청을 각각 하나의 튜브에 모은후
pH 3-10의 gel 을 이용하여 2 차원 전기영동(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2D PAGE)을 시행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
고 각군에서 차이를 보이는 spot 들의 질량 분석은 MALDI-TOF(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을 이용하였다.
질량 분석된 spot 중 세군간에 차이를 보이는 것들을 선택하여 이미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일과성 좌심실 기능부전군은 여자가 7명(78%),
남자가 2명(22%)이었으며 심근 경색증군과 대조군은 남자가 7명(58.3%, 53.8%)으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일과성 기능부전군이 여자가
많았다. 이외에 연령, 혈청 지질 검사 결과 등에는 차이가 없었다. Fibrinogen gamma 는 일과성 기능 부전군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Fibrin
beta 는 세개의 spot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각각 일과성 기능 부전군이 대조군과 심근경색증군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다. 결론 : 일과성 기능
부전군에서 fibrinogen gamma, fibrin beta 가 대조군, 심근경색증군에 비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Keyw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