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
Korean J Med. 2006;71(1):257-257.
- 대장내시경으로 인해 유발된 대장 천공에서 비수술적 치료의 유용성
-
이승현강민경신요식장용석전상훈장병국정우진조광범박경
-
.
- .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 Abstract
- 목적 : 최근 대장내시경 시술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합병증도 증가하고 있다. 대장내시경으로 인한 천공은 드물지만 중대한
합병증이다. 이에 대장내시경으로 인한 대장천공의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2003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
지 본원 내과에서 실시한 대장내시경 및 에스결장내시경 15,322예 중에서 발생한 대장천공 2예와 대장천공이 의심되어 본원으로 전
원된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총 7예 중 천공의 위치는 에스결장 4예, 직장-에스결장 접합부 2예, 간만곡부 1예였으며, 천공의
직경은 5㎜미만 1예, 5-10㎜ 3예, 10-20㎜ 2예, 20㎜이상 1예였다. 동반질환은 고혈압 1예, 뇌경색, 고혈압, 만성신부전이 1예에서 있
었다. 진단적 대장내시경시 4예, 치료적 대장내시경시 3예가 발생하였으며, 4예는 내시경 삽입 중 내시경 말단에 의해, 3예는 용종절
제술시 발생하였다. 천공 전 점막상태는 6예는 정상 점막이었고, 1예는 게실이었다. 6예에서 시술 중 천공을 즉시 발견하였고, 1예는
1일후 발견하였다. 모든 예에서 금식, 수액공급 및 항생제 정주를 하면서 대장내시경을 이용하여 clipping을 시술하였다. 대장 정결
이 불량했던 1예는 동반질환 및 고령을 이유로 수술을 거부하여 보존적 치료 중 사망하였다. 결론 : 대장내시경으로 인한 장천공은
내시경을 이용한 clipping등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장 정결상태, 동반질환이 중요한 예후인자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연구가 좀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