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
Korean J Med. 2006;71(1):254-254.
- 소장내시경 검사로 진단한 공장 정맥류 1예
-
이보영*정인섭장재영고봉민김영석김진오조주영이준성이
-
.
- .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 Abstract
- 서론 : 간경변에 의한 문맥압 항진으로 발생하는 정맥류는 식도와 위가 가장 흔하고 이 외에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정맥류는
1∼3% 정도로 드물다. 특히 소장의 중간 부위인 공장에 발생한 정맥류는 췌장이나 담도나 장절제술 후에 이차적인 문맥압 항진으로
수술 접합부위에서 발생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간경변에 의한 문맥압 항진으로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공장에 발생한 정맥류의
진단은 접근이 어려운 공장의 특성상 진단이 매우 어려우나 최근 캡슐 내시경의 등장과 소장에 대해 직접적인 검사가 가능한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이 임상에 도입되어 정맥류 진단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연자 등은 수술 병력이 없는 간경변 환자에서 공장 정맥
류 출혈을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 50세 남자가 내원 6개월전 부터
시작된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년전 Budd-Chiari 증후군으로 인한 간경변 진단 받았던 분으로 내원 6개월 전부터
간헐적인 흑색변 및 빈혈 소견을 보여 타병원에서 위내시경, 장내시경, 캡슐내시경, 적혈구 스캔을 시행하였으나 출혈 원인을 찾을
수 없어 본원으로 전원 되었다.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 검사상 혈색소 8.1 g/dL, 혈소판 110,000/mm3으로 감소되었고 AST 49 IU/L,
ALT 13 IU/L, 알부민 2.4 g/dL 총 빌리루빈 1.6 mg/dL 알파 태아 단백 5.39 ng/ml로 측정 되었으며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에서 공장
정맥류와 출혈반이 관찰되었으나 활동성 출혈은 보이지 않았다. 환자는 베타차단제 등 내과적 치료에 잘 반응하여 출혈의 소견이
없이 퇴원하였으며 현재 간이식 수술 준비중이다.
Keyw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