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earch

Close

Review
Korean J Med. 2006;71(1):250-250.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으로 진단한 Epstein-Barr virus와 연관된 T세포 림프구 증식 질환
정준원&#;변정식&#;최기돈&#;최귀숙&#;김병규&#;명승재&#;양석균&#;김진호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Abstract
배경 : Ebstein-Barr virus (EBV) 연관 T 세포 림프증식질환은 다양한 임상상을 보이는 드문 질환으로 골수, 간, 비장, 림프절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하며 조직 생검을 통한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한다. 저자들은 소장에 국한해 발생하여 조직 생검이 어려웠던 EBV 연관 T 세포 림프증식질환에 대해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을 이용한 조직 생검으로 확진할 수 있었던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 고자 한다. 증례 : 48세 남자가 하루 20회 이상의 혈성 설사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5개월 전 혈성 설사가 발생하였으며 당시 외부 병원에서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단하고 steroid와 5-aminosalicylate 제제를 투약하였으나 증상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였다. 최근 2주전부터 혈성 설사의 횟수가 증가하여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최근 6 개월 동안 15 kg의 체중감소가 있었다. 신체 검진 소견 에서 특이 소견 없었다. 검사실 소견에서 혈색소 10.6 g/dL, 혈청 albumin은 2.6g/dL (3.3-5.2)로 감소되어 있었고 CRP는 0.5mg/dL (0-0.6), LDH는 215 IU/L (120-250)였다. 대변 잠혈 검사 양성이었으며, 대변 배양 결과에서 검출된 병원성 미생물은 없었다. 대장내 시경에서 경미한 비특이적 국소 발적이 대장 전반에 걸쳐 몇 군데 관찰되었으나 이들 부위 생검 및 무작위 생검에 대한 병리 검사에 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소장조영술에서 경도의 소장벽 비후 소견이 소장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다. 소장 점막 병변의 정밀 평가와 조직 생검을 위해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을 시행하였으며 소장 전반에 걸쳐 점막 융모 위축 및 쉽게 출혈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검 조직에 대한 현미경 관찰에서 CD3, CD4, CD5에 양성을 보이면서 CD20, CD56, Cyclin D1에는 음성을 보이는 림프구가 상피내에 증가한 소견을 보였으며 EBV in situ hybridization 양성 소견을 보였다. 말초 혈액 EBV 연쇄중합반응검사에서도 양성 소견을 보여 EBV 연관 T 세포 림프증식질환으로 확진하였다. 환자는 prednisolone, cyclophosphamide, vincristine을 포함한 항암화학요법을 시 행 받았고 혈성 설사는 5회 미만으로 감소하였으며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은 소장에 국한하여 발생해 조직학적 확진이 어려운 EBV 연관 T 세포 림프증식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