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earch

Close

Review
Korean J Med. 2006;71(1):218-218.
소화성궤양 출혈에서 재출혈의 위험인자 및 PPI 용법에 따른 재출혈률 비교
최진우&#;김나영&#;강형민&#;유지연&#;이동훈&#;최창규&#;박영수&#;황진혁&#;김진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Abstract
목적 소화성궤양 출혈은 내시경적 지혈술의 도입 이후 응급 수술 및 사망률이 감소하였으나 아직도 약 15-20%의 환자에서 재출혈 이 발생한다. Proton pump inhibitor (PPI) 추가 사용으로 재출혈 감소가 인정되고 있으나 그 용법에 대해서는 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에서 PPI 용법 등 재출혈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 3-2006. 2월까지 토혈, 흑색변, 혈변으로 응급실을 방문하여 내시경상 소화성궤양 출혈로 진단된 191예를 대상으로, 재출혈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징, 검사 실 소견, 내시경 소견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시경 검사 후 혈변 또는 토혈의 재발, 쇼크의 재발생, 24시간 이내 2 g/dL 이상의 혈색소치 감소를 재출혈로 판정하였다. 결과 소화성궤양 출혈로 진단된 191예 중 9예(4.7%)에서 재출혈이 발생 하였는데 9명의 재출혈군과 182명의 지혈군으로 나누어, 성별, 연령, 동반질환의 유무, 소화성 궤양 및 궤양 출혈의 과거력, 비스테로 이드성 소염제, 항응고제 또는 아스피린 복용력, 흡연, 음주, 토혈 유무, 내원시 혈색소치, 출혈의 위치, 출혈 양상(활동성 출혈, 노출 혈관, 출혈 반점), H. pylori, Proton pump inhibitor (PPI) 용법(지속적, 간헐적 주사) 등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다만 5 unit 이상 의 수혈이 필요한 경우(p=0.016)와 내원시 쇽 상태(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소화성궤양 출혈 환자에서는 내원시 대 량의 수혈이 필요하거나 쇽 상태인 경우 재출혈 위험성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내시경적 치료 및 추적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연구 에서의 소화성궤양 재출혈이 4.7%로 기존 보고보다 낮은 이유를 24시간 이내의 내시경적 치료와 PPI 투여라고 볼 때 PPI의 용량, 용법 등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소화성 궤양, 궤양 출혈, 재출혈, 프로톤 펌프 억제제.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