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
Korean J Med. 2006;71(1):212-212.
- 그물과 구역 반사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제거된 위장관으로의 장난감 자석 흡인 1례
-
정기욱정훈용최귀숙김병규정준원송호준최기돈이진혁김진
-
.
- .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 Abstract
- 배경 : 위장관으로 흡인된 이물질 중 2.5cm를 넘어가는 것은 유문륜을 넘어가지 못하고 5-10cm보다 긴 이물질은 십이지장을 통과
하지 못하고 천공이나 장폐쇄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물질 중에서도 자석류의 물질은 특히 소아에서 잘 흡인되며 자석
특유의 자성으로 인하여 장폐쇄나 천공을 유발할 수도 있고 자석 자체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도 널리 알려져 있다. 또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둥근 형태의 자석일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제대로 잡기도 힘들며 설사 잡는다 하더라고 대부분의 환자인
소아의 경우 상부 식도 괄약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거한다는 것이 무척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원에서는 둥근 형태의 자석을
실수로 삼켜서 응급실로 내원하여 내시경 적으로 성공적으로 제거했던 증례를 이에 소개하는 바이다. 증례 : 5세 여아가 장난감으로
가지고 놀던 둥근 타원형 모양의 자석(일명 "매미 자석", 4.3x1.5cm)을 실수로 삼켜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소아과에서 이물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고 그 다음날 소화기 내과에 의뢰되었다. 여전히 복부 엑스선 사진에서는 위장관 내에 그대로
머물러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물질이 둥근 모양을 띄고 있어 일반적으로 쓰이는 겸자 및 바스켓 등으로는 수차례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잡지 못하였으며 대신 수은 전지등을 제거할 때 이용하는 Roth retrieval net을 이용하여 겨우 잡을 수 있었다. 하지만 5세
의 소아임을 감안할 때 상부식도 괄약근을 무사히 통과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쓰는 overtube등은 식도 천공의 위험
성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였고 glucagon등의 약물은 주로 하부 식도의 이완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국 환자에게 구역 반사를 유도하였고 순간적으로 상부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는 시점을 틈타서 성공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다. 제거 후 흉부 엑스선 촬영에서는 이상 소견 등이 발견되지 않았고 현재까지 건강하게 살고 있다. 결론 : 소아에서
의 둥근 형태의 이물질 흡인시 내시경적 제거에는 Roth retrieval net이 유용하며 식도 상부 괄약근을 이완시키는 데 환자의 협조에
의한 구역 반사가 효과적이다.
Keyw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