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earch

Close

Review
Korean J Med. 2006;71(1):166-166.
일측요관폐쇄 생쥐에서 신사구체 경화 발생과 신사구체 경화에 대한 LAP의 역할
이원동&#;강선우&#;김양욱&#;김영훈&#;강미선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Abstract
목적(Objectives) : 족세포 수의 감소가 사구체 경화의 발생기전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요관페쇄 생쥐에 서 TGF-β1의 발현과 족세포의 apoptosis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TGF-β1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LAP(latency-associated peptide)가 사구체 경화와 간질 섬유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Methods) : 24 마리의 생쥐를 대상으로 좌측 요관에 일측요관결찰술(Left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을 시행하였고, 그 중 12마리와 대조 군 4마리에게 하루 4ng의 유전자 재조합 LAP를 매일 2회씩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수술 후 3, 7, 14, 21일째 각각 UUO군에서 6마리 (LAP투여군/비투여군 각 3마리), 대조군에서 2마리(LAP투여군/비투여군 각 1마리)의 생쥐를 희생시켜 좌측 신장을 적출하였다. 신 장 조직에 Masson trichrome 염색과 WT-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apoptosis는 TUNNEL법으로 관찰하였다. 신장 조직의 TGF-β1 mRNA 발현과 소변내 TGF-β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Results) : UUO군의 신장 조직은 대조군에 비해 3일 뒤 20배 이상의 TGF-β1발현 증가를 보였다. LAP를 투여한 경우, TGF-β1 mRNA는 술 후 14일째까지 감소하였으며, LAP를 투 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신우의 확장, 간질의 섬유화, 족세포의 세포자멸사, 단백뇨가 적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Conclusions) : 일측요관폐쇄 모델에서 LAP가 TGF-β1의 발현을 억제하여 간질의 섬유화 및 사구체 경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