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
Korean J Med. 2006;71(1):161-161.
-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신부전의 진행에 대한 에리스로포이에틴(EPO)의 효과
-
이태우송영림오국환진호준주권욱나기영김연수안규리한진
-
.
- .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 Abstract
- 서론 : 에리스로포이에틴(이하 EPO)은 최근 조혈 작용과 더불어 뇌, 심장 등 여러 조직에서 허혈성 손상 예방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
고 있다. 본 연구는 EPO가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신부전 진행 속도의 지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EPO를 투여 받은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 81명에 대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신부전 진행 속도는 modified MDRD equation을 이용한 estimated GFR(eGFR)의 두 시점에서의 변화량을 EPO투여 전,후 기간의
개월 수(m)으로 나눈 값(delta eGFR/m)으로 구하여, EPO투여 전과 후 차이를 비교하였고, 신부전 진행 속도가 지연되지 않은 군(이
하 진행군)과 감소한 군(이하 진행 지연군)으로 나누어 각 군간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최종 혈색소 수치에 따라 분류한 군별 차이
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전체 대상 환자군에서 EPO투여 전,후 신부전 진행 속도는(delta eGFR/m)는 -1.84±
0.27(ml/min/1.73m2/month)에서 0.53±0.38(ml/min/1.73m2/month)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투여 전,후 혈색소의 상승이 9.13±
1.14g/dl 에서 11.56±1.88g/dl로 의미 있게 관찰되었으나 평균 동맥압, 요 단백량 및 다른 혈청학적 수치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2) 진행군(n=18명)에서의 EPO투여 후 신부전 진행 속도의 변화량은 -2.21±5.02(ml/min/1.73m2/month)이었고, 진행 지연군(n=63)
은 2.32±4.21(ml/min/1.73m2/month)이었다. 진행군은 진행 지연군에 비해 EPO투여에 따른 혈색소 증가가 의미 있게 적었으며(1.66
±1.75g/dl vs. 2.64±1.83g/dl), 혈압과 요단백량 등 다른 수치의 변화는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신부전의 진행과 관련된 인자들로
다변량 분석을 한 결과 혈색소의 변화만이 의미 있는 인자였다(p=0.039, exponential(B)= 1.975). 3) 대상 환자에서 EPO투여 후 최종
혈색소 수치가 11g/dl이상 증가한 환자에서만 신부전 진행 속도의 지연이 관찰되었다. 결론 :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EPO의
투여는 신부전 진행의 지연과 관련되며, 그 효과는 혈색소가 11 g/dl이상 상승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