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98(6); 2023 > Article
한국 기증제대혈은행의 현황 및 운영 방안

Abstract

Korean cord blood banks (CBBs) are stagnant, so we explore how to overcome this. For eligible CB units (CBUs), CBBs need to strengthen quality control and conduct innovative clinical trials to facilitate cord blood transplantation (CBT). For ineligible CBUs, it is necessary to promote domestic research and remove unnecessary regulations regarding foreign research. Establishing a Korean cord blood network will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related groups. Now cellular immunotherapy is the new horizon for CBBs. Thus, CBBs will shift the paradigm of our mission in diverse ways.

서 론

한국 기증제대혈 사업은 제대혈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 발효 후 공식적으로 운영되어 왔고, 2013년 국가 지정 한국기증제대혈협의회가 설립, 위임되었다. 2011년 이식용 적격 유닛은 제조 전 총 유핵세포 수 > 8 × 108에서 2021년 > 11 × 108로 상향되었다. 법률 발효 후 2022년 말까지 누적 적격 유닛은 28,271유닛이지만, 제대혈 이식 513건, 905유닛의 사용에 그쳤다. 그 원인은 2015년경 제대혈 이식 외 또 다른 대체 조혈모세포 이식인 혈연 반일치 이식의 세계적 증가에 있다. 미국의 국제혈액/골수이식연구센터(The Center for International Blood and Marrow Transplant Research, CIBMTR)의 최근 보고(2015-2021년)도 비슷한데, 이는 글로벌 추이를 반영하고 있다. 제대혈 법률 발효 후 연구용 부적격 유닛도 14,901유닛(연간 1,240유닛)으로 활용 정체 상태이다. 그러나 제대혈은 줄기세포의 재료원으로 국가 보건의 인프라 구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증제대혈 사업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활용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론

본 연구에서는 이식용 적격 유닛 활용을 위해 제대혈 이식이 가장 활성화된 일본과 국내 현황을 비교하고, 일본 모델을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Table 1).
일본과 한국의 현황을 비교할 때, 비혈연 간 이식 중 제대혈 이식이 일본은 선두 이식인 반면, 한국은 소수 이식에 불과하다. 보관 후 사용된 기간은 일본은 1년 내 70% 이상 이식되고, 대부분 5년 내 이식되어 누적 제대혈 1만여 유닛(고효율성)이나, 한국은 8년 이상 된 유닛도 이식되며 연간 900유닛이 축적되어 누적 제대혈 3만여 유닛(저효율성)이다. 또한 이식된 총 유핵세포 수/유닛은 일본이 한국보다 높다. 법률 제정은 한국이 선행되었으나 제대혈법 단독 제정인 반면, 일본은 전체 조혈모세포 이식법(5장 제대혈법)이 마련되어 이식 관리에서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일본은 유관기관들로 구성된 제대혈이사회가 있어 외/내부/정도 관리를 해마다 공식적으로 시행하며 그 질관리 결과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이사회가 있지 않아 외/내부/정도 관리가 어렵다[1]. 더욱이 일본은 제대혈 이식 후 결과를 나고야데이터센터에 의무적으로 등록하기 때문에 데이터 피드백(은행/이식센터)이 용이하고 임상 연구자들에게 데이터를 공식적으로 제공하여 글로벌 임상 연구 및 논문 등으로 이식 결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나, 한국은 이식 후 데이터 보고 시스템이 의무가 아니므로 데이터가 여러 곳에 산재되어 이식 후 데이터 피드백을 통한 결과 개선을 할 수 없다[2]. 이식 유닛 검색 역시 일본은 일반인도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유닛을 검색할 수 있으나, 한국은 이식센터의 코디네이터에게만 검색이 허용되어 있다(Table 1).
따라서 우리나라는 제대혈 채취 시 고세포 수, 조혈모세포 이식법, cord blood bank (CBB) 질관리 및 이식 후 데이터 피드백(CBB/이식센터), 제대혈이식데이터센터 및 검색 편의성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관기관(산모, 채취의[학회], 기증제대혈은행[협의회], 이식센터, 기초연구자[학회], 이식학회, 혈액학회, 보건복지부[정부], 통계학자, 코디네이터 등)으로 구성된 한국기증제대혈네트워크(Korean Cord Blood Network, KCBBN)를 설립하여 유관기관 간에 공식적 대화 및 입장 조율을 통해 향후 제대혈 이식의 결과 향상 및 활성화 도모를 제안한다(Fig. 1) [3].
그리고 반일치 제대혈 이식(combined cord/haplo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과 같은 새로운 이식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이는 특히 고령 및 재발 고위험군에 유익하며, 정부에서도 보험 급여를 허용하여 활성화를 도와야 한다[4].
마지막으로 연구용 유닛 활용을 위해 KCBBN 이외 국내 연구자를 위해서는 학회 차원에서 홍보 및 분양 루트를 공식화하여 교육을 시도하고, 국외 연구자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불필요한 법적 규제를 완화하고 유권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야 한다.

결 론

전통적인 기증제대혈은행은 적격 유닛(이식용)을 이식에, 부적격 유닛(연구용) 중 신선 제대혈 유닛을 기초 연구에 공급(분양)해 왔다.
향후 이식용보다 연구용 제대혈, 특히 제대혈 유래 단핵구나 CD34세포 유래 제조 제대혈제제가 더욱 활발히 공급되리라 본다. 암 치료의 대세인 면역 치료를 위해, 원료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기준 하에 기성품(off the self) 세포면역치료제(제대혈 유래 자연살상세포[CB-derived NK cells], 제대혈 유래 CAR-T세포 등)가 대량 제조될 것이며, 그 보편적 재료원으로 연구용 제조 제대혈제제가 활발히 공급되리라 본다. 현실에서는 이미 뇌성마비, 척수 손상 등의 재생 의료나 골관절 퇴행성 질환에서 세포 치료원으로 제대혈제제가 제공되고 있다(Fig. 2).
따라서 한국 기증제대혈은행은 현재 미션 전환기, 즉 이식과 세포면역치료제 임상 및 기초 연구 등의 동시 전략 및 다양한 가능성에 개방할 시기이다. 이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KCBBN 구축이 시급하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UNDING

None.

AUTHOR CONTRIBUTIONS

JL Lee contributed all aspects of the article.

Acknowledgements

I acknowledge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Cord Blood Banks which consists of Allcor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ublic Cord Blood Bank, Catholic Hematopoietic Stem Cell Bank, Dong-A University Hospital Cord Blood Bank, including my affiliation with Missionary Benedictine Sisters of Tutzing, Daegu Priory.

REFERENCES

1. Lee JL (Daegu Fatima Hospital). Revised standards of operation and evaluation regulation criteria for cord blood banks in Korea.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Organ, Tissue and Blood Management, 2020. 414 p


2. Byun JM, Hong J, Oh D, et al. Optimizing preparative regimen for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ation in adult acute leukemia patients: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requires myeloablative conditioning but not acute myeloid leukemia. J Clin Med 2020;9:2310.
crossref pmid pmc

3. Lee JL, Kim BS (Daegu Fatima Hospital).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ord blood network to facilitate cord blood transplant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 100 p


4. van Besien K, Artz A, Champlin RE, et al. Haploidentical vs haplo-cord transplant in adults under 60 years receiving fludarabine and melphalan conditioning. Blood Adv 2019;3:1858–1867.
crossref pmid pmc

Korean cord blood network (KCBBN). CBT, cord blood transplantation.
/upload/thumbnails/kjm-98-6-259f1.jpg
Figure 1.
The new horizons of the Korean public cord blood bank. CBU, cord blood unit; CB, cord blood; MNC, mononuclear cell;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upload/thumbnails/kjm-98-6-259f2.jpg
Figure 2.
Table 1.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for CBT/CBB between Japan and Korea
Category Item Japan, major portion Korea, major portion
CBT Allogeneic/stem cell sources UR-HC (major, among them, CB) UR-HC (major) to related HC, among them, Haplo-HC (2nd major)
HLA compatibility 2 antigen mismatched 1 antigen mismatched (larger pool)
TNC/unit for CBT (major) > 14 × 108 (single CBT) > 12-14 × 108 (double CBT)
CBB size Sustaining 10,000 units (2,500/year) Around 30,000 units (1,000/year, now) since 2011
Duration of being issued < 1 year 70%, < 5 years 96% Various aged but majority, < 5 years
CD34/unit for transplantation 3-5 × 106 > 7 × 106 (larger pool)
CBB Law 2014 (HCT, chapter 5 CBB) 2011 (CB only covers)
Council (related groups) Yes No
QC of CBBs Proficiency Yearly Once in 2015
Internal QC (recovery test) Yearly, > 1%, cryopreserved unit Monthly, 4-21%, ineligible unit
In vivo QC (post-transplantation data) Mandatory Optional
Data center CBB/CBT data center Tokyo/Nagoya No/scattered
Donor searching system Open publicly Coordinator alone

CBT, cord blood transplantation; UR-HC, unrelated-hematopoietic stem cell; CB, cord blood; HLA, human leukocyte antigen; CBB, cord blood bank; HC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QC, quality control.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1,049 View
  • 48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