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 남자가 우연히 발견된 혈청 크레아티닌(creatinine) 상승으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특이 과거력 및 가족력은 없었고, 특이 약제 사용력도 없었다. 처음 내원 당시 혈압 140/85 mmHg, 맥박수 68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7.3℃였다. 환자의 신장과 체중은 각각 171.4 cm, 59.2 kg이었고, Body Mass Index는 20.1 kg/m
2였다. 체계별 문진(review of system)에서 환자는 평소 잦은 설사가 있었고, 가끔 메스꺼움이 있었다. 의식은 명료하였고, 흉부 청진에서 호흡음이나 심음은 정상이었으며, 복부 진찰에서 정상 장음이 청진되었고, 특이 종괴 및 통증 부위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신생검 검사를 위해 입원하였고, 입원 시 시행한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0,090 cells/uL (분엽핵중성구 66.1%), 혈색소 11.7 g/dL, 적혈구용적률 36.9%, 혈소판 294,000 cells/uL였으며, 적혈구 침강속도는 17 mm/hour였다. 혈청생화학검사에서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28.2 mg/dL, 크레아티닌 2.68 mg/dL, 고감도 C반응단백질(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1.11 mg/dL였다. 그리고 전해질 및 간기능 검사, 지질 검사는 정상이었다. 임의뇨 단백질/크레아티닌 비(random urine protein to creatinine ratio)는 0.19 g/g이었다. B형간염 및 C형간염 등 바이러스 검사는 정상이었다. 신장 초음파 검사에서 우측 신장은 11.4 cm, 좌측 신장은 9.9 cm의 크기로 정상이었고, 혈관분포 및 실질음영도 모두 정상이었으며, 수신증(hydronephrosis) 등 특이 소견은 없었다. 환자는 특이 합병증 없이 조직 검사를 받았다. 신생검 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20개의 사구체(glomerulus)가 관찰되었는데, 이 중 4개(20%)의 사구체에서 전엽 사구체 경화(global glomerular sclerosis)가 관찰되었다. 세관사이질(tubulointerstitium)에서 단핵구(mononuclear cell)의 침윤 및 중성구(neutrophil) 침윤이 관찰되었고, 경도의 사이질 섬유화(interstitial fibrosis)가 세관 위축(tubular atrophy)과 함께 관찰되었다. 면역형광염색에서 immunoglobulin G (IgG), IgA, IgM, C3, C1q, fibrinogen, Kappa light chain, Lambda light chain 등 면역복합체의 침착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치즈육아종(noncaseating granuloma)이 관찰되었고, 칠-넬젠 염색(Ziehl-Neelson stain)은 음성이었다(
Fig. 1A,
B). 조직병리 검사에서 육아종성 세관사이질신염(granulomatous tubulointerstitial nephritis)이 진단되었다. 육아종성 세관사이질신염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약제유발 세관사이질신염, 유육종증(sarcoidosis), 세관사이질신염 포도막염(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d uveitis), 결핵, 크론병의 장관외 발현 등을 의심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환자의 정상 흉부 X-ray 및 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terferon gamma releasing assay 소견으로 유육종증 및 결핵을 배제하였으며, 신체 검사를 통해 세관사이질신염 포도막염을 배제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환자의 최근 잦은 설사 증상 등으로 크론병의 장관 외 증상 발현을 의심하여,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장내시경에서 혈관분포(vascularity)의 소실, 홍반(erythema) 및 경도의 과립(granularity)이 맹장부터 구불결장까지 관찰되는 결장염 소견이었고, 직장은 정상이었다. 말단회장(terminal ileum), 상행결장(A-colon), 횡행결장(T-colon), 구불결장(S-colon)에서 각각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로 각각 만성 염증 소견이었으며, 구불결장에서 움 뒤틀림(crypt distortion)이 관찰되었고, 말단회장 및 결장 조직에서 비치즈육아종이 관찰되었다 (
Fig. 1C). 함께 시행한 대변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은 > 300 mcg/g으로 상승되어 있었고,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ANCA) 및 anti-saccharomyces cerevisiae antibody (ASCA)는 음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는 크론병으로 진단되었으며, 크론병활성도지표(Crohn’s Disease Activity Index)는 143점으로 상승해 있었다. 치료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40 mg과 메살라진 좌약(mesalazine via suppository) 1 g으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증상 및 대변칼프로 텍틴(fecal calprotectin) 및 hs-CRP같은 검사 상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다음 치료로 아자싸이오프린(azathioprine)과 프레드니솔론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설사 증상은 지속되었고, hs-CRP의 호전도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인플릭시매브(infliximab) 치료로 변경하여 아자싸이오프린과 함께 치료를 하였다. 인플릭시매브 치료 후 환자는 배변 양상의 호전을 보였고, 증상 및 검사에서 전반적인 호전을 보였다. 현재 6회의 인플릭시매브 치료를 마쳤으며, 장관 증상 및 검사에서 호전을 보였으나, 신기능에서는 호전이나 악화없이 13개월 동안 현 상태 유지를 하고 있다(
Fig. 2).
Figure 1.
Microscopic characteristics. (A, B) Biopsied kidney specimen showing marked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some neutrophils with mild interstitial fibrosis and tubular atrophy, and a non-caseating granuloma (arrows). (A) Hematoxylin and eosin stain [H&E], ×100. (B) H&E, ×200. (C) Biopsied colon specimen showing a non-caseating granuloma (arrows; H&E, ×100).

Figure 2.
Chronology of hs-CRP and creatinine levels from diagnosis through treatment.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Cr, creatin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