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세 여자가 4개월 동안 지속된 피로감을 주소로 외부 병원을 방문하였고 4개월 동안 7 kg의 체중 감소 및 발열 증상이 동반되었다. 환자는 혈액검사상 Hb 4.7 g/dL로 확인되어 말초혈액 도말 검사 및 골수 검사까지 시행하였으나 만성 질병성 빈혈을 시사하는 소견 외에 빈혈을 유발할 만한 특이 소견은 없었고, 대증 치료에도 불구하고 빈혈이 호전되지 않아 원인을 찾기 위해 흉부 및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위에 종양이 관찰되었고,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내원 당시 활력 징후는 혈압 116/78 mmHg, 맥박 116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9℃이었고 과거력상 건강하였던 환자이며 복용 중인 약물은 없었다. 신체 검진에서 전신 상태는 만성으로 아파 보이고 의식은 명료하였으며 두경부, 흉부, 복부 진찰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9,100/mm
3, 혈색소 8.6 g/dL, 혈소판 615,000/mm
3이었고, 혈청 생화학 검사에서 총 단백 8.1 g/dL, 알부민 2.0 g/dL, 총 빌리루빈 1.1 mg/dL, AST 15 IU/L, ALT 20 IU/L, ALP 336 IU/L, C-Reactive Protein 25.5 mg/dL, 혈당 229 mg/dL, 당화 혈색소 5.9%이었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위 전정부에 6 cm 크기의 상피하 종양과 위 주변부 및 후복막 부위에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었다(
Fig. 1).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전신 양전자단층촬영에서 위 전정부에 대사가 증가된 종양이 관찰되어 악성 종양이 의심되고 위 주변부 및 후복막 부위에 다수의 전이성 림프절이 관찰되었다. 조직 검사 방법으로 피하 초음파 유도 세침 흡입술 및 침생검 그리고 내시경적 초음파 검사를 통해 세침 흡인술 및 침생검을 모두 시행하였다. 조직 검사에서 소원형세포 악성 종양이 관찰되었고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S-100단백, TLE1, SOX10, cytokeratin, CD56, CD99, FLi-1에 양성 소견 및 CD117, CD34, smooth muscle actin, desmin, synaptophysin, chromogranin, HMB45, melan A, LCA에 음성 소견 관찰되었다(
Fig. 2). 감별 진단을 위한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을 이용한 분자학적 검사를 계획하였으나, 조직이 충분하지 않았고 환자가 추가 조직 검사를 원하지 않아 시행하지 못하였다. 병리 검사를 종합한 결과 유잉 육종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진단되었다. 초기 전이성 림프절을 동반한 환자로서 vincristine, doxorubicin, cyclophosphamide 3제 병용과 ifosfamide, etoposide 2제 병용 교차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였으나, 2주기 및 4주기의 항암화학요법 후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종양 반응은 불변 상태였다. 항암화학요법 4주기 후에는 위 종양 내부에 공기 음영이 관찰되어 종양과 위 내강 사이에 누공 형성과 종양 내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3). 종양 내 감염과 임박한 위천공의 위험성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원위부 위절제술과 동시에 환자의 부종양 증후군인 발열, 빈혈, 고혈당 증상의 호전을 위해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모든 림프절인 위 주위 림프절부터 위 소만 및 대만, 위 유문, 총간동맥, 비장 문부 주변 림프절까지 제거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잔존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적 절제로 9.5 cm × 6.5 cm × 4.5 cm 크기의 위 종양 조직을 얻었으며 조직 검사에서 투명 세포질을 가진 원형 및 방추 세포가 관찰되었고, 파골세포 모양 거대세포도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S-100단백, b-catenin는 양성 소견을 보였고 HMB45, melan A, CD117는 음성 소견이었다(
Fig. 4). 분자학적 검사에서 EWS 전좌를 확인하였다(
Fig. 5). 저자들은 위에서 발생한 투명세포육종으로 진단하였고, 환자의 부종양 증후군은 수술 후에 호전되었다. 수술 후 본 증례 보고 시까지 5개월간 재발 소견 없이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Figure 1.
Abdominal and pelvic computed tomography at baseline, showing a large tumor (arrow) in the antrum of the stomach with metastasis to the perigastric, left gastric, celiac, paraaortic, and retroperitoneal lymph nodes (arrowheads).

Figure 2.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omach biopsy. (A) The tumor consisted of small round cells (hematoxylin and eosin, original magnification ×400).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B) CD99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CD99, original magnification ×400) and (C) FLi-1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FLi-1, original magnification ×400).

Figure 3.
Abdominal and pelvic computed tomography after four cycles of chemotherapy showing air density (arrow) in the stomach tumor with metastasis to the perigastric, left gastric, and celiac lymph nodes, sugges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umor and the stomach lumen.

Figure 4.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omach biopsy. (A) The tumor consisted of round and spindle cells with clear cytoplasm (hematoxylin and eosin, original magnification ×400). (B) The tumor also consisted of osteoclast-type giant cells (hematoxylin and eosin, original magnification ×400). (C)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S-100 protein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S-100 protein, original magnification ×400). (D) The tumor cells were negative for the conventional melanocytic marker, HMB-45 (original magnification ×400).

Figure 5.
FISH showing a translocation in the EWS gene. Split red and green signals (arrows) within a single nucleus indicate the presence of an EWS (22q12) gene rearrangement (original magnification ×1,000).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