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Life Science, Postech Biotech Center,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
수술적절제가 불가능한 진행성 비소세포암 환자에서 첫치료로서 gemcitabine, cisplatin 그리고 UFT복합항암화학요법의 제2상 임상 시험 |
신수진※민영주김혁박재후 |
. |
|
|
Abstract |
서론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진행성 폐암에서 cisplatin을 근간으로 하는 복합화학요법들이 과거보다 반응률 및 생존 기간에서
향상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러 제재들과 cisplatin 병용요법 간에 비교 연구에서는 반응률 및 생존률에 있어서 큰 차이
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진행성 비소세포암의 첫 치료로 cisplatin, gemcitabine 그리고 UFT 복합화학요법을 2상연구
로 시행하였다. 방법 : 2005년 2월부터 등록을 시작하여 2006년 7월까지 항암치료를 시행받은 적 없는 진행성 비소세포암 환자 37명
의 등록을 완료하였으며 치료는 gemcitabine 1,250mg/m2를 제 1일과 8일째, cisplatin 75mg/m2 제1일째 그리고 UFT 400mg을 하루
두번 나눠 2주간 경구복용 하도록 하였고 병 진행 이나 심한 독성발생시 까지 3주 간격으로 재 시행하고, 최고 6차 까지 투여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연령은 60세(44-72) 였고 환자의 병기는 IIIa 1명, IIIb 9명, IV 27명 으로 평가 가능한 34명중 1명이 완전 관해,
22명이 부분 관해, 8명은 불변, 1명은 진행하여 반응률은 67.6%였다. 현재까지 사망은 12명으로 관찰기간 (중앙값 204.5일, 12-535일)
동안에 중앙 생존 기간은 아직 도달하지 않았으며 (Fig. 1) 무진행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3.9개월 (95% CI, 2.67 -5.13 ) 였다. 치료
중 3도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의 발생은 빈혈 3명, 백혈구 감소증 1명, 호중구 감소증 12명, 혈소판 감소증 2명에서 발생하였으며 발
열을 동반한 백혈구 감소증은 4명에서 발생하였다. 3도 이상의 비 혈액학적 독성으로 1건의 출혈이 있었으며 이외에서 경도의 탈모
와 피부 발진이 발생하였으나 치료와 관련된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cisplatin, gemcitabine, UFT 3제 화학요법이 진행성
비소세포암환자에서 효과적이며 부작용 또한 심하지 않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