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70(1); 2006 > Articl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6;70(1):117-118.
Ho Cheol Kang, Dong Jin Chung, Min Young Chung
포천중문의대 내과
(Images in Medicine : Paradoxical intracranial calcification in chronic profound hypocalcemia)
강호철, 정동진, 정민영
Abstract
전신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53세 남자 환자의 뇌전산화단층촬영술 소견이다. 뇌의 전반적인 위축 소견과 함께 양측 에 대칭적인 치아핵(dentate nucleus, A, 화살표), 기저핵 (B, 화살표) 및 심부 뇌백색질(C, 화살표)을 침범하는 광범위 한 석회화 음영이 관찰되었다. 내원시 혈청 칼슘 3.0 mg/dL (정상: 8.4-10.2), 이온화칼슘 2.0 mg/dL (정상 4.0-4.8), 무기인 5.6 mg/dL (정상: 2.5-5.5), 마그네슘 1.2 mg/dL (정상 1.6-2.1)였으며 혈청 알부민은 2.6 g/dL였다. 혈청 부갑 상샘호르몬 1.0 pg/mL (정상: 9-55)으로 매우 감소되어 있었으며 마그네슘 보충 후에도 정상화되지 않아 특발성 부갑 상샘저하증에 의한 뇌기저핵의 심한 석회화증으로 진단하였다. 뇌기저핵의 석회화를 초래하는 질환들은 부갑상샘저하증, 가성부갑상샘저하증, 사립체세포병증(mitochondria cytopathy)을 들 수 있으나 대부분 특발성이며,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Fahr's syndrome이라 한다1) . 저칼슘혈 증과 역설적인 뇌기저핵 석회화의 관련성은 Eaton 등에 의해 1939년 처음 기술되었으나2) 그 병리기전은 명확하지 않 다. 기저핵의 석회화에 관련된 직접적인 증상은 없는 경우가 흔하며 파킨슨병과 유사한 임상상을 보일 수도 있다3). Key Words : Hypocalcemia, Calcification, Basal ganglia
Key Words: Hypocalcemia, Calcification, Basal ganglia


TOOLS
METRICS Graph View
  • 1,410 View
  • 7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5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