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및 연조직 감염에서의 항생제 내성 및 최신 치료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reatment Update of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Med. 2011;81(6):699-70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1 December 1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김문석, 김남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Correspondence to Nam Joong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01 Daehok-ro, J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2072-0835, Fax: +82-2-762-9662, E-mail: molder@unitel.co.kr

Trans Abstract

Soft tissue infections are common, generally of mild to moderate severity. 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s of soft tissue infections are group A ß-hemolytic streptococci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of these causative organisms has not been changed recently, the present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infections remain the same. In this review, we have presented extensive information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diagnosis, and treatment of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We focused on two issues concerning antibiotic resistance; macrolide resistance of group A ß-hemolytic streptococci and the emergence of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Med 2011;81:699-707)

서 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은 지역사회 및 병원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질환이다.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은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는 피부 표층부의 감염증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부 조직 감염증까지 매우 다양하다.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의 치료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원인 미생물을 알아야 한다. 하지만, 여러 방식의 배양 검사를 동원하여도 원인 미생물을 밝히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결국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그 지역에서 흔한 원인 미생물과 내성 양상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지역사회획득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의 원인이 되지만, 가장 흔한 원인 미생물은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group A streptococcus)과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이다. 이들 주요 원인 미생물의 내성 양상이 과거와 비교하여 크게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의 치료법은 이전과 동일하다. 다만 베타용혈 사슬알균 감염증의 치료에서 macrolide의 유용성과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 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에 의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발생에 대해서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의 범위는 너무 넓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단독(erysipelas), 연조직염(cellulitis), 괴사근막염(necrotizing fasciitis)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언급하려 한다. 이들 감염증에서 원인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 양상의 변화, 이에 따른 치료에 있어서의 고려점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단독(erysipelas)

단독은 진피의 상층부를 침범하는 연조직 감염증이다. 단독과 연조직염은 통상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부위의 깊이에 따라 구분하며 연조직염은 진피의 심층부와 피하 지방층을 침범하는 연조직 감염증으로 정의된다. 단독과 연조직염을 동일 부류의 질환으로 여기거나 단독을 연조직염의 한 형태로 보는 경향도 있으나 임상적으로 단독은 병변이 솟아 있으며 이러한 병변의 경계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연조직염과 구분된다[1]. 단독에서도 연조직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종, 발적, 열감 등의 증상 외에 발열 및 오한, 림프관염, 주위 림프절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단독은 얼굴 부위를 흔히 침범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하지가 가장 주된 이환 부위로 알려져 있다. 이환 부위의 분포를 보면 하지가 전체 증례의 70-85%, 얼굴이 10-20%, 상지가 5-10%를 차지한다[2-4].

단독은 주로 영아나 소아 또는 고령층에서 발생한다. 연조직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부 손상에 의해 원인 미생물이 침투하는 것이 주된 기전이며,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피부의 손상(상처, 궤양, 백선증 등의 피부 질환), 림프 부종을 포함한 부종, 비만 등이 알려져 있다[5-8]. 그 외에 정맥절제술, 림프절제술 같은 수술적 처치도 단독 발생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9,10].

단독의 가장 흔한 원인 미생물은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이다. 자료마다 차이가 있지만 단독의 2/3 이상이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G군 베타용혈 사슬알균, 보다 드물게는 C군 및 B군 베타용혈 사슬알균, 황색포도알균이 단독을 일으킨다[11-13]. 일부 황색포도알균이 단독의 주요 원인 미생물이라고 보고한 연구도 있으나, 전형적인 단독의 경우 황색포도알균의 역할은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단, 관통상, 약물 중독 등의 선행 요인이 있거나 수포, 농양 등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황색포도알균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임상에서 실제 단독과 연조직염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흔히 있다.

단독의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임상 소견이다. 열감을 동반한 피부의 발적 소견이 있으면 단독 혹은 연조직염을 의심하며 병변이 주변 조직에 비해 약간 솟아있고 정상 조직과 경계가 명확하면 단독으로 진단할 수 있다. 원인 미생물의 증명을 위한 혈액배양 검사 및 병변 부위의 흡인 또는 조직 검사로 얻은 검체의 배양 검사는 양성률이 낮아 추천되지 않는다[3,13]. 더욱이 대부분의 경우 입원을 요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예후가 좋기 때문에 침습적 검사는 필요하지 않다.

단독 치료의 으뜸 치료제는 penicillin이다. 국내외 자료 모두에서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penicillin에 대한 내성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14-16], 단독 치료에 있어 cephalosporin 계열의 항생제가 penicillin에 비해 우월하다는 증거도 없다[17]. 단독 치료 시 penicillin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경구 또는 정맥주사가 있는데, 정맥주사 투여 방법의 효과가 경구투여 방법의 경우에 비해 더 우월한 것은 아니다[18]. 따라서 환자의 편의와 제반 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정맥주사로 투여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경구투여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경구투여 시 추천되는 약제는 penicillin V이지만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대안으로 amoxicillin을 사용할 수 있다. 정맥주사로 투여할 경우 penicillin G를 200만 단위씩 하루 4회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19]. 만약 황색포도알균 감염에 의한 단독이 의심된다면 nafcillin과 같은 penicillinase-resistant penicillin 또는 cefazolin, cephradine과 같은 1세대 cephalosporin을 투여한다.

단독 치료 시 β-lactam 계열 항생제에 대한 과민 반응 등의 병력 때문에 β-lactam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로는 macrolide 계열 항생제와 clindamycin, quinolone, vancomycin이 있다. Macrolide 계열 항생제의 경우 단독 치료에 대한 효과 자체는 penicillin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더 우월하다는 보고도 있다[17,20]. 문제는 macrolide 계열 항생제에 대한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내성이다. 2000년 이후 발표된 자료를 살펴보면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macrolide에 대한 내성률은 유럽의 경우 10.4-19.2% [21,22], 북미 지역의 경우 5.2-14.9% [21,23-28]로 보고되고 있다.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1990년대 시행된 연구들과 비교하여 내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나라 자료에서도 2000년 초까지는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macrolide에 대한 내성률이 30-50%로 알려졌으나, 2000년 중반 이후 시행된 연구들에서는 일부를 제외하면 내성률이 4.6-11.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9-33]. 이들 연구의 상당수가 인두(pharynx)에서 채취한 검체로 시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겠으나,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macrolide는 penicillin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Macrolide에 비하면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clindamycin에 대한 내성률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25,26,28], 국내 자료에서도 대부분 10%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다[29-33]. Quinolone의 경우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 내성은 지역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흔하지 않다[15,34]. 단, 단독 또는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 치료에 있어 clindamycin과 quinolone 투여의 자료 및 경험이 macrolide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할 수 있다.

β-lactam 계열 항생제에 대한 과민 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단독이 발생하였고 원인균이 밝혀졌으며 macrolide에 감수성이 있다면, macrolide 투여를 추천한다. 하지만 β-lactam 계열 항생제에 대한 과민 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단독이 발생하였고 원인균을 모른다면 적절한 약제가 무엇인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국내 자료에서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macrolide 내성률은 최근 감소하였으나, 단독 원인균의 일부를 차지하는 G군, C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의 macrolide 내성률 자료가 부족하다. 또 단독이나 연조직염의 원인균인 황색포도알균의 macrolide 내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단독이나 연조직염 환자에서 모은 황색포도알균의 감수성 결과는 보고된 바 없으나 감염부위에 상관없이 수집한 황색포도알균을 대상으로 한 국내 자료에서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occus aureus, MSSA)의 macrolide 내성률은 26.6%였다[35]. 반면 국내 자료에서 MSSA의 quinolone 내성률은 5%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다[35-37]. 결론적으로, β-lactam 계열 항생제에 대한 과민 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단독이 발생한 경우 경험적 항균제로 어떤 약제를 추천할 것인가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겠으나, 비경구 치료제로는 vancomycin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며, 경구 치료제로는 clindamycin 또는 quinolone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Macrolide 역시 치료 성공률이 높다고 생각하며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반응하지 않을 때는 vancomycin, clindamycin 또는 quinolone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항생제 치료 외에 피부 궤양, 백선증 등 연관된 피부 질환이 있으면 이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 또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항생제와 병행하여 투여하면 재발률의 차이 없이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추가 검증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것은 아니다[38,39].

연조직염(cellulitis)

연조직염은 단독에 비해 좀 더 깊은 피부 및 연부 조직을 침범하는 감염 질환으로 진피의 심층부와 피하 지방층을 침범하는 감염증으로 정의된다. 연조직염에는 이환 부위의 부종, 발적, 열감 등 국소 염증 반응의 징후 외에 림프관염, 국소 림프절염, 수포, 점상출혈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흔하지는 않지만 발열 및 오한 등의 전신 증상과 백혈구 증가가 동반될 수 있다. 병변이 넓고 심한 전신 증상을 동반할 경우 괴사근막염과 같이 좀 더 깊은 조직의 염증을 고려해야 한다.

역시 피부 손상이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부 손상은 이미 갖고 있던 피부의 궤양, 습진이나 백선증 등의 피부 질환, 그리고 관통상 등의 외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피부 손상이 너무 작고 임상적으로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연조직염 발생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단독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하지의 궤양, 백선증 등의 피부 질환, 림프관, 하지 정맥의 폐색 또는 절제로 인한 부종, 비만[5,6,40],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유방암 수술 및 여성생식기 암 수술 등이 있다[41-43].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단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지에 호발한다.

연조직염의 가장 흔한 원인 미생물은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과 황색포도알균이며 단독의 경우와 가장 큰 차이점은 전체 원인 미생물 중 황색포도알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이다[12,44-46]. 둘 중 어느 것이 더 흔한 원인 미생물인지는 연구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Chira 등[47]은 흡인 또는 생검으로 얻은 검체로 시행한 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에서 연조직염의 가장 흔한 원인 미생물은 황색포도알균이며, 두번째로 흔한 원인 미생물은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임을 보여주었다.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에서도 황색포도알균은 베타용혈 사슬알균과 함께 연조직염의 주요 원인 미생물로 지적되고 있다[48]. 그 외 연조직염의 원인 미생물로는 기타 사슬알균, 대장균, 녹농균, 비브리오 등의 그람 음성균들이 있다. 원인 미생물을 밝히기 위해 혈액배양, 병변 부위의 흡인 또는 생검 조직 배양을 시행할 수 있으나, 세 방법 모두 임상적 유용성이 높다고 하기는 어렵다. 특히 혈액배양의 양성률은 기존 연구들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5%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용-효과 측면에서도 유용성이 떨어져 연조직염 환자에서 혈액배양 검사는 일반적으로 추천되지 않는다[44,45,49]. 그 외에 병변 부위의 흡인물로 시행한 배양 검사의 양성률은 보고마다 다소 차이가 크며 대략 10-3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44,46,50]. 생검 조직을 이용한 배양 검사의 양성률은 기존 연구에서 대략 2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44,51].

연조직염의 치료가 단독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황색포도알균 감염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조직염의 치료에 추천하는 1차 선택 약제는 베타용혈 사슬알균 및 황색포도알균 모두에 효과가 있는 cefazolin 또는 nafcillin과 같은 penicillinase 내성 penicillin이다. Cefazolin의 경우 1-1.5g씩 하루 3회 또는 4회, nafcillin의 경우 1-2g씩 하루 4회 또는 6회 투여하는 것이 추천된다[19]. 합병증이 없는 연조직염 또는 정맥주사 투여 후 호전중인 연조직염에서는 cephradine, cephalexin이나 cefadroxil과 같은 경구 1세대 cephalosporin을 투여할 수 있다[19,52]. 전신 증상이 심한 경우, 호중구감소를 포함한 면역 저하, 림프부종, 간기능부전, 심기능부전 등을 동반한 경우라면 정맥주사 치료를 권장한다. 치료 기간은 정립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합병증이 없는 연조직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연구에서 5일 치료군과 10일 치료군의 성적은 동등하였다[53].

치료의 효과만을 놓고 볼 때, 어떤 항생제가 연조직염 치료에 가장 적절한 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Ceftriaxone과 같은 3세대 cephalosporin과 cefazolin을 비교한 연구들에서 두 항생제의 치료 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며[17,54], quinolone 계열 약제와 1세대 cephalosporin의 효과도 차이가 없었다[55-57]. 하지만 3세대 cephalosporin이나 quinolone 계열의 약제는 광범위항균력을 가지고 있어 내성유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연조직염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β-lactam 계열 항생제에 대한 과민 반응의 병력이 있는 연조직염 환자의 경험적 치료에 대한 추천은 단독에서 언급한 사항과 동일하다.

연조직염 치료에 있어 고민해야 할 문제 중 한 가지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감염증의 치료시 CA-MRSA를 고려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CA-MRSA에 대한 연구 및 이에 대한 논의는 주로 북미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국에서 2005년 발표된 감시체계 자료에 따르면 임상 검체에서 CA-MRSA는 전체 MRSA의 8-20%를 차지하였다[58,59]. CA- MRSA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원인균의 15-84%를 차지하며[60-62], 한 지역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인균으로서 CA-MRSA의 비중이 더욱 커지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다[63]. 이런 자료들에 근거하여 미국에서는 전신 증상을 동반하거나 입원을 요하는 화농성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에 대해서는 CA-MRSA에 효과가 있는 항생제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64]. 이에 해당하는 약제로는 정맥주사제로 vancomycin, linezolid, daptomycin이 있고, 경구약제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doxycycline, clindamycin, linezolid 등이 있다[64]. 하지만 국내에 이러한 미국의 지침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국내 병원 환경에서 황색포도알균 중 MRSA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크지만, 지역사회 감염에 있어 MRSA의 역할이나 그 비중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과 연관된 자료는 흔하지 않다. Kim 등[65]이 2007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다양한 임상 검체로부터 얻은 MRSA 중 CA-MRSA의 비율은 5.9%로 미국에서 발표된 자료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그 외 피부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Park 등[66]이 시행한 연구에서 전체 피부 감염증의 원인균 중 MRSA의 비율은 1996년, 2001년, 2006년에 각각 0%, 7.5%, 10.2%였다. 이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지 않은 질환이었고 메티실린 내성의 정도도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 증가 추이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기타 피부 및 연조직 감염에 대한 연구에서 원인균으로 MRSA가 보고된 바 있으나 지역사회 감염을 대상으로 한 것도 아니고 또 그 빈도도 높지 않았다[67,68]. 결론적으로 자료가 제한적이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CA-MRSA의 분포가 항생제의 선택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 향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괴사근막염

괴사근막염은 근막을 따라 진행하는 피부, 피하 지방층 및 근막을 포함한 피하 연부조직의 급성 괴사성 감염 질환이다. 단독이나 연조직염 등과 비교하여 압통 및 부종이 심하고 이환 부위의 감각이 사라지기도 한다. 피부의 색이 변하고 궤양, 물집이나 수포, 출혈반이 형성되는 경우가 더 흔하다. 전신 증상도 더 뚜렷하여 고열과 쇼크가 동반되며 항생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진행한다. 보다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수술적 치료를 병행하면서 괴사근막염의 사망률은 과거에 비하여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15-25% 정도의 사망률이 보고되고 있다[69-72]. 괴사근막염의 호발 부위는 하지, 상지, 회음부이며, 하지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73-75]. 괴사근막염이 발생한 환자들의 기저 질환으로는 당뇨병이 가장 흔하며, 만성 신부전, 간경화, 알코올 중독, 악성 종양 등이 알려져있다[71,74,76,77].

괴사근막염을 일으키는 균은 다양하며, 원인균의 종류에 따라 괴사근막염을 두 가지 또는 세 가지로 분류한다. 혐기성 세균을 포함한 여러 종류 미생물의 혼합 감염에 의한 제1형,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 단독 또는 포도알균 동반 감염에 의한 제2형으로 나누는 분류법[78]이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분류에 더하여 비브리오와 연관된 경우를 제3형으로 지칭하여 괴사근막염을 세 가지로 나누기도 한다[74,79,80]. 여러 종류 미생물의 혼합감염에 의한 괴사근막염은 괴사근막염의 50-70%를 차지하며[75,76,81,82], 복부의 관통상, 위장관을 포함하는 수술, 욕창 등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혼합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들은 대부분 위장관 정상균총의 일원이며 평균 5개 정도의 세균이 동시 감염을 일으킨다[76,83]. 대표적인 균들로는 대장균, 폐렴막대균 등과 혐기균인 클로스트리디움, 펩토사슬알균 등이 있다[67,68]. 한 종류 미생물이 일으키는 괴사근막염은 주로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 및 황색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하며, 선행하는 피부 질환이나 피부 상처 등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한 종류 미생물이 일으키는 괴사근막염은 또한 Vibro vulnificus, Aeromonas hydrophila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74,82].

고열과 쇼크 등 뚜렷한 전신 증상이 동반되어 있고 환자의 증상 외에 비교적 넓은 범위의 피부 변색, 피부 괴사 및 출혈반, 수포 등이 동반되어 있다면 괴사근막염을 의심해야 한다. 조기에 괴사조직을 제거하는 것이 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69,81,82,84] 빨리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상적으로 괴사근막염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자기 공명 영상 또는 전산화 단층 촬영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그 유용성에 대해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고, 민감도에 비해 특이도는 낮다는 문제가 있지만, 대체로 감별 진단 및 수술 범위 결정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5-87]. 그 외에 CRP 등의 혈액 검사 결과를 지표로 점수를 매겨 감별 진단에 이용하고자 한 시도도 있었다[88]. 하지만 이러한 진단 기법들은 보조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역시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임상적 판단이다.

괴사근막염의 치료에서는 단독이나 연조직염 치료와 다르게 항생제 치료 이외에 수술적 치료, 즉 괴사 조직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의 시행 여부가 환자의 사망률과 높은 연관성을 가진다는 점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이 일관되게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69,81,82,84]. Bilton 등이 발표한 괴사근막염 환자 68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자료에서는 적극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사망률은 4.2% vs. 38%로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69]. 수술적 치료는 단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수술적으로 괴사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19,89].

괴사근막염 치료에서 빠르고 적극적이며 광범위한 수술적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항생제 치료가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급성 감염 질환으로서 항생제 치료 역시 치료의 큰 줄기의 하나이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괴사근막염에 대한 항생제의 선택은 여러 가지 가능한 원인균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원인 미생물을 예측하기 어려운 일반적인 상황에서 추천하는 경험적 항생제 치료는 ampicillin-sulbactam과 clindamycin의 병합 요법이다. Ampicillin- sulbactam은 괴사근막염의 흔한 원인균인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과 여러 장내 산소성균 및 혐기균에 효과가 있고, clindamycin은 사슬알균 감염과 연관된 독성쇼크증후군에 대해서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90-92]. 내성 그람 음성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라면 piperacillin-tazobactam, clindamycin, ciprofloxacin의 병합 요법 또는 imipenem/cilastatin, meropenem과 같은 carbapenem 단독 요법을 고려한다. 사슬알균이 증명된 경우에는 penicillin과 clindamycin의 병합 용법이 추천된다. Vibrio vulnificus 감염일 경우 cefotaxime 또는 ceftazidime과 같은 3세대 cephalosporin과 doxycycline 또는 tetracycline의 병합 요법이 추천된다[93-95]. 이때 cephalosporin을 사용할 수 없다면 quinolone이 대안이 될 수 있다[96].

그 외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 고압 산소 치료가 있다. 고압 산소 치료가 상처의 치유와 사망률의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97,98]가 있기는 하지만, 아직 근거가 부족하고 무엇보다 시설 및 장비 문제로 널리 이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면역 글로뷸린은 사슬알균에 의한 독성 쇼크 증후군에서 외독소를 중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 연구에서 기대되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으나[99,100] 이 역시 아직까지 잘 고안된 연구에서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다.

결 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의 흔한 원인균은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과 황색포도알균이다. 이들 주요 원인 미생물의 항균제 내성 양상은 과거와 비교하여 크게 바뀌지 않았으며, 따라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의 치료법 역시 이전과 비교하여 크게 바뀌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현시점에서 추천하는 항생제를 포함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의 치료 전반을 정리하였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지 않으나 북미에서 확산되고 있는 CA-MRSA에 의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References

1. Bisno AL, Stevens DL. Streptococcal infections of skin and soft tissues. N Engl J Med 1996;334:240–245.
2. Chartier C, Grosshans E. Erysipelas: an update. Int J Dermatol 1996;35:779–781.
3. Bonnetblanc JM, Bédane C. Erysipel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Am J Clin Dermatol 2003;4:157–163.
4. Krasagakis K, Valachis A, Maniatakis P, Krüger-Krasagakis S, Samonis G, Tosca AD. Analysis of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erysipelas. Int J Dermatol 2010;49:1012–1017.
5. Dupuy A, Benchikhi H, Roujeau JC, et al. Risk factors for erysipelas of the leg (cellulitis): case-control study. BMJ 1999;318:1591–1594.
6. Cox NH. Oedema as a risk factor for multiple episodes of cellulitis/erysipelas of the lower leg: a series with community follow-up. Br J Dermatol 2006;155:947–950.
7. Mokni M, Dupuy A, Denguezli M, et al. Risk factors for erysipelas of the leg in Tunisia: a multicenter case-control study. Dermatology 2006;212:108–112.
8. Bartholomeeusen S, Vandenbroucke J, Truyers C, Buntinx F. Epidemiology and comorbidity of erysipelas in primary care. Dermatology 2007;215:118–122.
9. Dan M, Heller K, Shapira I, Vidne B, Shibolet S. Incidence of erysipelas following venectomy fo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nfection 1987;15:107–108.
10. Hinten F, van den Einden LC, Hendriks JC, et al. Risk factors for short- and long-term complications after groin surgery in vulvar cancer. Br J Cancer 2011;105:1279–1287.
11. Chartier C, Grosshans E. Erysipelas. Int J Dermatol 1990;29:459–467.
12. Bernard P, Bedane C, Mounier M, Denis F, Catanzano G, Bonnetblanc JM. Streptococcal cause of erysipelas and cellulitis in adults: a microbiologic study using a direct immunofluorescence technique. Arch Dermatol 1989;125:779–782.
13. Eriksson B, Jorup-Rönström C, Karkkonen K, Sjöblom AC, Holm SE. Erysipelas: clinical and bacteriologic spectrum and serological aspects. Clin Infect Dis 1996;23:1091–1098.
14. Jung HS, Park SE, Lee HJ, Kim EC, Kim JH. Clinical features of infections caused by streptococcus pyogenes in children and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Korean J Infect Dis 1998;30:419–425.
15. Gracia M, Díaz C, Coronel P, et al.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reptococcus pyogenes in Central, Eastern, and Baltic European Countries, 2005 to 2006: the cefditoren surveillance program.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09;64:52–56.
16. Torres RS, Torres RP, Smeesters PR, Palmeiro JK, de Messias-Reason IJ, Dalla-Costa LM. Group a streptococcus antibiotic resistance in southern Brazil: a 17-year surveillance study. Microb Drug Resist 2011;17:313–319.
17. Kilburn SA, Featherstone P, Higgins B, Brindle R. Interventions for cellulitis and erysipela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CD004299.
18. Jorup-Rönström C, Britton S, Gavlevik A, Gunnarsson K, Redman AC. The course, costs and complications of oral versus intravenous penicillin therapy of erysipelas. Infection 1984;12:390–394.
19. Stevens DL, Bisno AL, Chambers HF, et 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kin and soft-tissue infections. Clin Infect Dis 2005;41:1373–1406.
20. Bernard P, Plantin P, Roger H. Roxithromycin versus penicillin in the treatment of erysipelas in adults: a comparative study. Br J Dermatol 1992;127:155–159.
21. Jones ME, Karlowsky JA, Draghi DC, Thornsberry C, Sahm DF, Nathwani D. Epidemiolog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teria causing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in the USA and Europe: a guide to appropriate antimicrobial therapy. Int J Antimicrob Agents 2003;22:406–419.
22. Richter SS, Heilmann KP, Dohrn CL, et al. Increasing telithromycin resistance among Streptococcus pyogenes in Europe. J Antimicrob Chemother 2008;61:603–611.
23. Critchley IA, Sahm DF, Thornsberry C, Blosser-Middleton RS, Jones ME, Karlowsky JA.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Streptococcus pyogenes isolated from respiratory an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United States LIBRA surveillance data from 1999.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02;42:129–135.
24. Katz KC, McGeer AJ, Duncan CL, et al. Emergence of macrolide resistance in throat culture isolates of group a streptococci in Ontario, Canada, in 2001.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3;47:2370–2372.
25. Green M, Martin JM, Barbadora KA, Beall B, Wald ER. Reemergence of macrolide resistance in pharyngeal isolates of group a streptococci in southwestern Pennsylvani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4;48:473–476.
26. Richter SS, Heilmann KP, Beekmann SE, et al. Macrolideresistant Streptococcus pyogenes in the United States, 2002-2003. Clin Infect Dis 2005;41:599–608.
27. Green MD, Beall B, Marcon MJ, et al. Multicentre surveillance of the prevalence and molecular epidemiology of macrolide resistance among pharyngeal isolates of group A streptococci in the USA. J Antimicrob Chemother 2006;57:1240–1243.
28. Michos AG, Bakoula CG, Braoudaki M, et al. Macrolide resistance in Streptococcus pyogenes: prevalence, resistance determinants, and emm types.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09;64:295–299.
29. Koh EH, Maeng KY, Kim S, Jeong HJ, Lee NY. A decrease in erythromycin resistance rate of Streptococcus pyogenes in 2004 in Jinju. Korean J Clin Microbiol 2006;9:51–57.
30. Uh Y, Hwang GY, Jang IH, et al. Macrolide resistance trends in beta-hemolytic streptococci in a tertiary Korean hospital. Yonsei Med J 2007;48:773–778.
31. Koh EH, Kim IS, Kim S. T types, emm genotyp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reptococcus pyogenes isolated from school children in Jinju, 2006. Korean J Clin Microbiol 2009;12:6–10.
32. Koh E, Kim S. Decline in erythromycin resistance in group A Streptococci from acute pharyngitis due to changes in the emm genotypes rather than restriction of antibiotic use. Korean J Lab Med 2010;30:485–490.
33. Kim EC, Koh EH, Kim S, et al. Multicenter study of molecular epidemiology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group a streptococci in 2008-2009 in Korea. Korean J Clin Microbiol 2011;14:85–90.
34. Biedenbach DJ, Toleman MA, Walsh TR, Jones RN. Characterization of fluoroquinolone-resistant beta-hemolytic Streptococcus spp. isolat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including the first report of fluoroquinolone-resistant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 equisimilis: report from the SENTRY antimicrobial surveillance program (1997-2004).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06;55:119-127. 2006;55:119–127.
35. Kim JS, Kim HS, Song W, Cho HC, Lee KM, Kim EC. Antimicrobial resistance profile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in 13 Korean hospitals. Korean J Lab Med 2004;24:223–229.
36. Hong HJ, Lee CH, Park JO, et al. A clinical study on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Korean J Med 1997;53:359–370.
37. Park JY, Kim HO, Jeong YG, Kim S, Bae IG.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comparison of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fect Chemother 2006;38:109–115.
38. Bergkvist PI, Sjöbeck K. Relapse of erysipelas following treatment with prednisolone or placebo in addition to antibiotics: a 1-year follow-up. Scand J Infect Dis 1998;30:206–207.
39. Bergkvist PI, Sjöbeck K. Antibiotic and prednisolone therapy of erysipelas: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Scand J Infect Dis 1997;29:377–382.
40. Baddour LM, Bisno AL. Recurrent cellulitis after saphenous venectomy for coronary bypass surgery. Ann Intern Med 1982;97:493–496.
41. Baddour LM. Breast cellulitis complicating breast conservation therapy. J Intern Med 1999;245:5–9.
42. Bouma J, Dankert J. Recurrent acute leg cellulitis in patients after radical vulvectomy. Gynecol Oncol 1988;29:50–57.
43. Brewer VH, Hahn KA, Rohrbach BW, Bell JL, Baddour LM. Risk factor analysis for breast cellulitis complicating breast conservation therapy. Clin Infect Dis 2000;31:654–659.
44. Hook EW 3rd, Hooton TM, Horton CA, Coyle MB, Ramsey PG, Turck M. Microbiologic evaluation of cutaneous cellulitis in adults. Arch Intern Med 1986;146:295–297.
45. Perl B, Gottehrer NP, Raveh D, Schlesinger Y, Rudensky B, Yinnon AM. Cost-effectiveness of blood cultures for adult patients with cellulitis. Clin Infect Dis 1999;29:1483–1488.
46. Sigurdsson AF, Gudmundsson S. The etiology of bacterial cellulitis as determined by fine-needle aspiration. Scand J Infect Dis 1989;21:537–542.
47. Chira S, Miller LG.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ost common identified cause of cellulitis: a systematic review. Epidemiol Infect 2010;138:313–317.
48. Lee JY, Park SD. A study for improvement of the positive culture rate using skin biopsy specimens in patients with cellulitis. Korean J Dermatol 2007;45:134–139.
49. Sadow KB, Chamberlain JM. Blood cultures in the evaluation of children with cellulitis. Pediatrics 1998;101:E4.
50. Newell PM, Norden CW. Value of needle aspiration in bacteriologic diagnosis of cellulitis in adults. J Clin Microbiol 1988;26:401–404.
51. Duvanel T, Auckenthaler R, Rohner P, Harms M, Saurat JH. Quantitative cultures of biopsy specimens from cutaneous cellulitis. Arch Intern Med 1989;149:293–296.
52. Giordano PA, Elston D, Akinlade BK, et al. Cefdinir vs. cephalexin for mild to moderate uncomplicated skin and skin structure infections in adolescents and adults. Curr Med Res Opin 2006;22:2419–2428.
53. Hepburn MJ, Dooley DP, Skidmore PJ, Ellis MW, Starnes WF, Hasewinkle WC. Comparison of short-course (5 days) and standard (10 days) treatment for uncomplicated cellulitis. Arch Intern Med 2004;164:1669–1674.
54. Grayson ML, McDonald M, Gibson K, et al. Once-daily intravenous cefazolin plus oral probenecid is equivalent to once-daily intravenous ceftriaxone plus oral placebo for the treatment of moderate-to-severe cellulitis in adults. Clin Infect Dis 2002;34:1440–1448.
55. Muijsers RB, Jarvis B. Moxifloxacin in uncomplicated skin and skin structure infections. Drugs 2002;62:967–973.
56. Parish LC, Routh HB, Miskin B, et al. Moxifloxacin versus cephalexin in the treatment of uncomplicated skin infections. Int J Clin Pract 2000;54:497–503.
57. Ramirez-Ronda CH, Saavedra S, Rivera-Vázquez CR. Comparative, double-blind study of oral ciprofloxacin and intravenous cefotaxime in skin and skin structure infections. Am J Med 1987;82:220–223.
58. Fridkin SK, Hageman JC, Morrison M, et al.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isease in three communities. N Engl J Med 2005;352:1436–1444.
59. Klevens RM, Morrison MA, Nadle J, et al. Invasiv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JAMA 2007;298:1763–1771.
60. Hasty MB, Klasner A, Kness S, et al. Cutaneous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all skin and soft-tissue infections in two geographically distant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s. Acad Emerg Med 2007;14:35–40.
61. Moran GJ, Krishnadasan A, Gorwitz RJ, et al.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infections among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N Engl J Med 2006;355:666–674.
62. Talan DA, Krishnadasan A, Gorwitz RJ, et al. Comparison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skin and soft-tissue infections in US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2004 and 2008. Clin Infect Dis 2011;53:144–149.
63. Moran GJ, Amii RN, Abrahamian FM, Talan D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communityacquired skin infections. Emerg infect Dis 2005;11:928–930.
64. Liu C, Bayer A, Cosgrove SE,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for the treat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adults and children. Clin Infect Dis 2011;52:e18–e55.
65. Kim ES, Song JS, Lee HJ, et al. A survey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J Antimicrob Chemother 2007;60:1108–1114.
66. Park JH, Byun JY, Lee DY, Lee JH, Yang JM, Lee ES. Trends of the bacterial skin infections of dermatology outpatients in 1996, 2001 and 2006. Korean J Dermatol 2009;47:690–695.
67. Lee MW, Kim TH, Choo EJ, et al. Characteristics of necrotizing fasciitis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Korean J Med 2006;70:681–687.
68. Song SJ, Lee IS, Chung JH. Type I, II acute necrotizing fasciitis of the low extremity. J Korean Orthop Assoc 2007;42:636–643.
69. Bilton BD, Zibari GB, McMillan RW, Aultman DF, Dunn G, McDonald JC. Aggressive surgical management of necrotizing fasciitis serves to decrease mortality: a retrospective study. Am Surg 1998;64:397–400.
70. Dworkin MS, Westercamp MD, Park L, McIntyre A. The epidemiology of necrotizing fasciitis including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nd amputation. Epidemiol Infect 2009;137:1609–1614.
71. Khanna AK, Tiwary SK, Kumar P, Khanna R, Khanna A. A case series describing 118 patients with lower limb necrotizing fasciitis. Int J Low Extrem Wounds 2009;8:112–116.
72. Luca-Harari B, Ekelund K, van der Linden M, Staum-Kaltoft M, Hammerum AM, Jasir A.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spects of invasive Streptococcus pyogenes infections in Denmark during 2003 and 2004. J Clin Microbiol 2008;46:79–86.
73. Chelsom J, Halstensen A, Haga T, Høiby EA. Necrotising fasciitis due to group A streptococci in western Norway: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Lancet 1994;344:1111–1115.
74. Lee CY, Kuo LT, Peng KT, Hsu WH, Huang TW, Chou YC. Prognostic factors and monomicrobial necrotizing fasciitis: gram-positive versus gram-negative pathogens. BMC Infect Dis 2011;11:5.
75. Childers BJ, Potyondy LD, Nachreiner R, et al. Necrotizing fasciitis: a fourteen-year retrospective study of 163 consecutive patients. Am Surg 2002;68:109–116.
76. Brook I, Frazier EH.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features of necrotizing fasciitis. J Clin Microbiol 1995;33:2382–2387.
77. Ward RG, Walsh MS. Necrotizing fasciitis: 10 years' experience in a district general hospital. Br J Surg 1991;78:488–489.
78. Giuliano A, Lewis F Jr, Hadley K, Blaisdell FW. Bacteriology of necrotizing fasciitis. Am J Surg 1977;134:52–57.
79. Salcido RS. Necrotizing fasciitis: reviewing the causes and treatment strategies. Adv Skin Wound Care 2007;20:288–293.
80. Sarani B, Strong M, Pascual J, Schwab CW. Necrotizing fasciitis: current concep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Am Coll Surg 2009;208:279–288.
81. McHenry CR, Piotrowski JJ, Petrinic D, Malangoni MA. Determinants of mortality for necrotizing soft-tissue infections. Ann Surg 1995;221:558–563.
82. Wong CH, Chang HC, Pasupathy S, Khin LW, Tan JL, Low CO. Necrotizing fasciitis: clinical presentation, microbiology, and determinants of mortality. J Bone Joint Surg Am 2003;85-A:1454–1460.
83. Elliott D, Kufera JA, Myers RA. The microbiology of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s. Am J Surg 2000;179:361–366.
84. Liu YM, Chi CY, Ho MW, et al. Microbiology and factors affecting mortality in necrotizing fasciitis. J Microbiol Immunol Infect 2005;38:430–435.
85. Brothers TE, Tagge DU, Stutley JE, Conway WF, Del Schutte H Jr, Byrne TK.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fferentiates between necrotizing and non-necrotizing fasciitis of the lower extremity. J Am Coll Surg 1998;187:416–421.
86. Kim KT, Kim YJ, Lee JW, et al. Can necrotizing infectious fasciitis be differentiated from nonnecrotizing infectious fasciitis with MR imaging? Radiology 2011;259:816–824.
87. Zacharias N, Velmahos GC, Salama A, et al. Diagnosis of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s by computed tomography. Arch Surg 2010;145:452–455.
88. Wong CH, Khin LW, Heng KS, Tan KC, Low CO. The LRINEC (laboratory risk indicator for necrotizing fasciitis) score: a tool for distinguishing necrotizing fasciitis from other soft tissue infections. Crit Care Med 2004;32:1535–1541.
89. Anaya DA, Dellinger EP. Necrotizing soft-tissue infec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Clin Infect Dis 2007;44:705–710.
90. Mulla ZD, Leaverton PE, Wiersma ST. Invasive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s in Florida. South Med J 2003;96:968–973.
91. Stevens DL, Bryant AE, Hackett SP. Antibiotic effects on bacterial viability, toxin production, and host response. Clin Infect Dis 1995;20(Suppl 2):S154–S157.
92. Zimbelman J, Palmer A, Todd J. Improved outcome of clindamycin compared with beta-lactam antibiotic treatment for invasive Streptococcus pyogenes infection. Pediatr Infect Dis J 1999;18:1096–1100.
93. Chuang YC, Ko WC, Wang ST, et al. Minocycline and cefotaxime in the treatment of experimental murine Vibrio vulnificus infectio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8;42:1319–1322.
94. Chuang YC, Liu JW, Ko WC, Lin KY, Wu JJ, Huang KY. In vitro synergism between cefotaxime and minocycline against Vibrio vulnificu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7;41:2214–2217.
95. Liu JW, Lee IK, Tang HJ, et al. Prognostic factors and antibiotics in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Arch Intern Med 2006;166:2117–2123.
96. Tang HJ, Chang MC, Ko WC, Huang KY, Lee CL, Chuang YC. In vitro and in vivo activities of newer fluoroquinolones against Vibrio vulnificu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2;46:3580–3584.
97. Jallali N, Withey S, Butler PE. Hyperbaric oxygen as adjuvant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necrotizing fasciitis. Am J Surg 2005;189:462–466.
98. Riseman JA, Zamboni WA, Curtis A, Graham DR, Konrad HR, Ross DS. Hyperbaric oxygen therapy for necrotizing fasciitis reduces mortality and the need for debridements. Surgery 1990;108:847–850.
99. Darenberg J, Ihendyane N, Sjölin J, et al. Intravenous immunoglobulin G therapy in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a European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Clin Infect Dis 2003;37:333–340.
100. Kaul R, McGeer A, Norrby-Teglund A, et al.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for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a comparative observational study: the Canadian Streptococcal Study Group. Clin Infect Dis 1999;28:800–80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