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신세관산증이 선행한 전신홍반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receded by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Med. 2011;81(4):533-53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1 October 1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강진영, 강종완, 김지훈, 진미경, 임철현, 남언정, 강영모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Correspondence to Young Mo Kang,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 Dongdeok-ro, Jung-gu, Daegu 700-721, Korea   Tel: +82-53-420-5495, Fax: +82-53-426-2046, E-mail: ymkang@knu.ac.kr
Received 2010 August 23; Revised 2010 September 1; Accepted 2010 October 14.

Abstract

원위신세관산증은 세관내 산 분비의 저하로 소변의 산성화 장애와 전신적인 산혈증 및 저칼륨혈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루푸스를 비롯한 자가면역질환에 동반되는 원위신세관산증은 대부분 자가면역질환 발현 후에 나타나며 원위신세관산증이 먼저 발생하고 자가면역질환이 수개월에서 수년 후 발생하는 경우는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원위신세관산증으로 진단되고 21년 후에 전형적인 루푸스 임상 증상들이 나타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rans Abstract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RTA) is characterized by a decreased net H+ secretion in the collecting tubules, which results in a failure of urine acidification and results in metabolic acidosis, hypokalemia, and nephrocalcinosis. The acquired form of distal RTA is associated with tubulointerstitial involvement of immune-mediated disorders such as Sjogren’s syndrome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Only a few case reports have indicated that distal RTA precedes SLE by months to years. We present a 39-year-old woman who had manifestations of distal RTA for 21 years before the development of overt symptoms of SLE. (Korean J Med 2011;81:533-536)

서 론

원위신세관산증은 수소이온 배설 장애에 따른 요의 산성화 실패, 고염소혈증성 대사성산증, 저칼륨혈증, 그리고 신장석회증을 특징으로 한다. 원위신세관산증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분류되며 쇼그렌증후군 및 전신홍반루푸스(이하 루푸스)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은 이차성의 중요한 원인질환이다[1]. 루푸스에 원위신세관산증이 동반되는 경우는 흔치 않으며 대부분 루푸스 신장염에 의한 증상으로 나타난다[2]. 하지만 원위신세관산증이 발생한 후 수개월에서 수년 후 루푸스가 진단된 경우도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3-6]. 저자들은 21년 동안 원위신세관산증으로 인한 전해질 이상 소견을 나타낸 환자에서 루푸스의 전형적인 임상 증상이 확인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 자: 39세 여자

주 소: 전신 쇠약감과 14일간의 복통

가족력: 특이사항 없었다.

과거력 및 현병력: 18세부터 간헐적으로 갑자기 잘 걷지 못하다가 수 시간 후에 다시 걸을 수 있게 되는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21세 때 성장 부전 소견 및 양 하지 쇠약감이 지속되어 원위신세관산증 및 골연화증으로 진단받고 중탄산염 및 칼륨을 복용하며 지내왔다. 내원 2주 전부터 전신 쇠약감, 열감, 근육통 및 복통이 지속되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소견: 내원 당시 혈압은 113/69 mmHg, 맥박수는 138회/분, 호흡수는 24회/분, 체온은 38.2℃였다. 신장은 137 cm였고, 체중은 34 kg였다. 복부 진찰에 압통이 있었으며 경도의 복부 팽만과 이동둔탁음 소견이 있었다. 그 외 특이한 소견은 없었다.

검사실 소견: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15,070/mm3 (중성구 86.9% 및 림프구 9%), 혈색소 10.2 g/dL, 그리고 혈소판 435,000/ mm3이었으며, 적혈구침강속도 120 mm/hr, C-반응 단백 9.45 mg/dL이었다. 전해질 검사에 나트륨 129 mmol/L, 칼륨 1.9 mmol/L, 염소 160 mmol/L, 칼슘 9.8 mg/dL, 인 1.2 mg/dL, 그리고 요산 7.9 mg/dL였다. 생화학 검사에서 혈액요소질소 50.6 mg/dL, 크레아티닌 3.9 mg/dL, 총 단백 8.3 g/dL, 알부민 3.0 g/dL, AST 19 U/L, ALT 12 U/L, 젖산탈수소효소 652.5 IU/L, 아밀라아제 1,153 U/L, 리파제 5,354 U/L,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54 IU/L, 미오글로빈 422 ng/mL, 그리고 알돌라아제 5.3 U/L이었다. 동맥혈 가스 분석은 pH 7.28, pCO2 10.9 mmHg, pO2 128.3 mmHg, HCO3- 10.9 mmol/L, 음이온 차이 16.6 mmol/L, 그리고 산소포화도 99.1%이었다. 요검사에서 pH 8.0, 비중 1.015, 단백 2+, 적혈구 3-5/HPF, 백혈구 6-10/HPF이었다. 24시간 요검사에서 단백 1,207 mg, 칼슘 220 mg, 인 315 mg, 나트륨 83 mmol/L, 그리고 칼륨 13.2 mmol/L이었으며,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14.4 mL/min/1.73 m2이었다. 갑상선 기능검사는 정상이었다. 면역학적 검사에서 항핵항체 1:320 (homogenous pattern), 항이중가닥DNA 항체 24.3 IU/mL (정상범위: 0-7 IU/mL), 항Ro 항체 243.61 AAU/mL (정상범위: < 150 AAU/mL)로 상승되어 있었으나, 항La 항체, 류마티스인자, 항CCP 항체, 항중성구세포질 항체, 루푸스 항응고인자, 항cardiolipin 항체, 항RNP 항체, 그리고 항Sm 항체는 모두 음성이었다. 혈청 C3 48.6 mg/dL (정상범위: 90-180 mg/dL), C4 16.1 mg/dL (정상범위: 10-40 mg/dL)였다. 복수 천자 소견에서 세포수 7,200/μL (다형핵 호중구 80% 및 림프구 20%), 포도당 76 mg/dL, 단백 6 g/dL, 젖산탈수소효소 1,033.5 U/L (혈청/ 복수 비 0.63), 아데노신탈아미노효소 75.1 IU/L, 알부민 2.4 g/dL (혈청-복수 알부민 차이 0.6 g/dL)였다.

방사선학적 소견: 흉부 X-선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단순 복부 X-선상 마비성 장폐색증 소견이 보였다. 복부전산화단층촬영에 복강 내 중등도의 복수가 있었으며, 양측 신장 수질에 석회화 소견이 보였다(Fig. 1). 골밀도 검사상 1번 요추 부위에 T 점수는 -2.4이었다. 심전도 상 전해질 이상에 따른 변화나 심장막염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심초음파 상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

A simple radiograph (A) and a computed tomography scan (B) of the abdomen showing bilateral nephrocalcinosis (arrow), ascites (arrow head), and paralytic ileus (asterisks).

치료 및 경과: 루푸스에 동반된 신장염, 췌장염 및 복막염으로 진단되었으며, 금식 및 총정맥영양법과 함께 전해질을 교정하면서 메틸프레드니솔론(0.5 mg/kg)을 정맥투여하였다. 이후 열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고, 치료 시작 40일에는 적혈구침강속도 및 C-반응 단백이 정상화되었으며, 아밀라아제 24 U/L, 리파제 201 U/L, C3 107.4 mg/dL 및 C4 26 mg/dL로 호전되었다. 전해질도 나트륨 145 mmol/L, 칼륨 4.7 mmol/L, 염소 112.5 mmol/L, 칼슘 8.4 mg/dL, 그리고 인 2.9 mg/dL로 호전되었고, 동맥혈 가스 pH 7.309, 24시간 요단백 400 mg, 그리고 크레아티닌 청소율 29 mL/min/1.73 m2로 회복되었으며 퇴원 후 현재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원위신세관산증의 원인은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눌 수 있고, 속발성은 Marfan 증후군 및 Ehlers-Danlos 증후군과 같은 유전성 질환[7],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수질해면체신, 원발성 고칼슘뇨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 amphotericin B, toluene, lithium 등의 약물에 의해 발병하며 쇼그렌증후군, 류마티스관절염, 그리고 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질환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8]. 루푸스나 쇼그렌증후군에서는 요세관간질 신장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이 원위신세관산증의 중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2,9]. 본 증례에서는 항Ro 항체 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입 마름, 눈 마름 증상이 전혀 없어 쇼그렌증후군은 배제할 수 있었다. 원위신세관산증의 병인 기전은 신세관의 H+-ATPase, anion exchange 1 (AE1), carbonic anhydrase (CA) II의 돌연변이나 림프구의 세뇨관 주위조직 침윤, 세뇨관의 면역 복합체의 침윤과 고감마글로불린혈증 등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요세관간질에 있는 효소의 기능장애가 일어남으로써 적절한 요 산성화가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1,10].

루푸스에 있어 신장염은 비교적 흔한 증상으로써 사구체 신장염이 주요 소견이지만 요세관간질 침범도 빈번히 동반되는데[11] 신세관 장애를 가진 루푸스 환자의 약 50-70%에서 신세관 위축, 간질 침착 및 섬유화 등이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다[12]. 루푸스의 급성 악화시기에는 60%의 환자에서 원위신세관 기능장애가 관찰되었다[2]. 일부 보고에 따르면, 루푸스에서 신세관 기능장애가 신세관산증의 임상증상 없이도 동반될 수 있으며[13] 약 20-30% 정도에서는 산혈증을 동반한 완전 원위신세관산증을 나타낸다는 보고도 있다[14]. 원위신세관산증이 동반된 루푸스에서 요세관간질 질환의 활성도나 사구체 질환이 원위신세관산증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2,15]. 또한, 원위신세관산증은 루푸스의 특징적인 증상이 발생하기 수개월에서 수년 먼저 발생한 경우도 드물지만, 보고되어 왔다[3-6]. Ter Meulen 등[5]은 원위신세관산증에 의한 심한 저칼륨혈증 및 마비증이 발생한 후 6년 뒤에 루푸스가 동반된 증례를 보고하였다. 이들 보고에서는 원위신세관산증이 루푸스의 첫 번째 증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무증상 루푸스 기간에 먼저 신장에서 염증이 진행되어 원위신세관산증이 발생하였으며, 수개월에서 수년 지속 후 다른 특징적인 증상이 발생하면서 루푸스가 진단되었다고 추정하였다. 본 증례는 21년간 원위신세관산증 소견을 보이다가 루푸스의 다른 임상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원위신세관산증이 루푸스의 첫번째 증상이었다고 생각하기는 시간 간격이 너무 긴 편이나, 발병 당시 루푸스에 의한 요세관간질 염증으로 원위신세관산증이 발생한 후 적절한 치료가 없었기 때문에 루푸스가 호전된 후에도 비가역적인 손상이 지속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 공통의 발병기전에 의한 루푸스와 원위신세관산증이 발병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루푸스 발병에 Epstein-Barr virus (EBV)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으며, 루푸스 환자에서 EBV의 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6,17]. 뿐만 아니라, EBV 감염은 림프구 침윤을 동반한 간질성 신장염을 유발하기도 한다[17]. 이는 바이러스 감염이 루푸스와 원위신세관산증의 발병에 공통의 유발 인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 원위신세관산증이 지속됨으로써 이차적으로 루푸스가 발병하였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근거자료가 없어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증례에서는 루푸스가 발병하면서 원위신세관산증에 의한 기존의 전해질 이상이 악화되었다가 당질코르티코이드 치료 후 호전되어 루푸스 발병 이전 상태로 회복되었다. 이는 기존의 원위신세관산증에 더해 루프스 신장염이 발생하면서 원위신세관산증의 소견이 급격하게 악화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루푸스 활성도의 증가로 인해 신세관 기능장애가 악화되었고, 원위신세관산증에 의한 전해질 이상이 더 심해질 수 있었을 것이다[2]. 그리고 요세관간질 염증에 의한 세관의 손상이 원위신세관 기능을 악화시켰거나 루푸스에 의해 생산된 항CA II 항체가 원위신세관산증을 악화시켰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18,19]. PL/J 마우스에서 CA II에 대한 항체 형성을 유발시키면 침샘과 신장에서 림프구와 형질세포의 침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소변의 산성화 장애가 생겼다는 보고가 있어 이를 뒷받침한다[18]. 루푸스 환자에서 당질코르티코이드에 의해 원위신세관산증이 회복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으나[12], 오래 지속된 원위신세관산증의 경우 루푸스 진단 후 당질코르티코이드로 치료하였으나 원위신세관산증의 호전이 되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다[5]. 본 증례 경우에도 당질코르티코이드로 치료하였으나 요산성화 장애가 루푸스 발병이전 상태로만 회복되었으며, 이는 루푸스 활동성 증가로 인한 원위신세관산증의 악화는 회복되었지만 요세관간질의 미만성 비가역적인 손상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증례는 원위신세관산증이 시작된 후 루푸스의 발병까지의 기간이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보고된 증례 가운데 가장 긴 21년에 이르며 원위신세관산증과 루푸스간의 인과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Rodríguez Soriano J. Renal tubular acidosis: the clinical entity. J Am Soc Nephrol 2002;13:2160–2170.
2. Kozeny GA, Barr W, Bansal VK, et al. Occurrence of renal tubular dysfunction in lupus nephritis. Arch Intern Med 1987;147:891–895.
3. Fortenberry JD, Kenney RD.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as the initial manifestation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n adolescent. J Adolesc Health 1991;12:148–151.
4. Bagga A, Jain Y, Srivastava RN, Bhuyan UN. Renal tubular acidosis preced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ediatr Nephrol 1993;7:735–736.
5. Ter Meulen CG, Pieters GF, Huysmans FT. Flaccid paresis due to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preced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Neth J Med 2002;60:29–32.
6. Koul PA, Wahid A, Shah BA.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presenting as hypokalemic paralysis with respiratory failure. Saudi J Kidney Dis Transpl 2003;14:190–193.
7. Donckerwolcke RA.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nal tubular disorders in children. Pediatr Clin North Am 1982;29:895–906.
8. Caruana RJ, Buckalew VM Jr. The syndrome of distal (type 1) renal tubular acidosis.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in 58 cases. Medicine (Baltimore) 1998;67:84–99.
9. Siamopoulos KC, Mavridis AK, Elisaf M, Drosos AA, Moutsopoulos HM. Kidney involvement in primary Sjögren's syndrome. Scand J Rheumatol Suppl 1986;61:156–160.
10. Feest TG, Lockwood CM, Morley AR, Uff JS. Renal histology and immunopathology in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Clin Nephrol 1978;10:187–190.
11. Gur H, Kopolovic Y, Gross DJ. Chronic predominant interstitial nephritis in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follow up of three year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nn Rheum Dis 1987;46:617–623.
12. Fang JT, Chen YC.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resenting initially as hydrogen ATPase pump defects of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Ren Fail 2000;22:647–652.
13. Tu WH, Shearn MA.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latent renal tubular dysfunction. Ann Intern Med 1967;67:100–109.
14. Graninger WB, Steinberg AD, Meron G, Smolen JS. Interstitial nephritis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manifestation of concomitant Sjögren's syndrome? Clin Exp Rheumatol 1991;9:41–45.
15. Ratner M, Wstenberg P, Serov VV, et al. Tubular function disturbances in chronic glomerulonephritis and their significance for identifying tubulointerstitial lesions. Nephron 1985;39:117–121.
16. Rahman A, Isenberg DA.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N Engl J Med 2008;358:929–939.
17. Cataudella JA, Young ID, Iliescu EA. Epstein-Barr virusassociat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infection or immunologic phenomenon? Nephron 2002;92:437–439.
18. Takemoto F, Katori H, Sawa N, et al. Induction of anti-carbonic -anhydrase-II antibody causes renal tubular acidosis in a mouse model of Sjögren's syndrome. Nephron Physiol 2007;106:63–68. http://dx.doi.org/10.1159/000104873.
19. Ono M, Ono M, Watanabe K, Miyashita Y, Inagaki Y, Ueki H. A study of anti-carbonic anhydrase II antibodies in rheumatic autoimmune diseases. J Dermatol Sci 1999;21:183–18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A simple radiograph (A) and a computed tomography scan (B) of the abdomen showing bilateral nephrocalcinosis (arrow), ascites (arrow head), and paralytic ileus (asteri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