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코마이신으로 발생한 선상 IgA 물집피부병

Vancomycin Induced Linear IgA Bullous Dermatosi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Med. 2011;80(2):162-16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1 February 1
1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Jeonju, Korea
2Departments of Dermat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Jeonju, Korea
3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Jeonju, Korea
김선희1, 황정환1, 이지현2, 이창섭1,3
1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2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피부과학교실
3임상의학연구소
독자 여러분의 임상화보 투고를 환영합니다.

72세 남자가 3~4일간 지속되는 고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5년 전 당뇨, 간암 진단 받았고, 간암에 대해서는 5차례의 간동맥 항암 화학 색전술을 시행 받았다. 2년 전 전립선 암 진단 받아 2달 전부터 호르몬 치료제로 bicalutamide (antiandrogen)를 투여 받고 있었다. 내원 당시 활력 징후는 혈압 70/50 mmHg, 체온 39.7℃, 심박동수 88회, 호흡수 22회였다.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6,120/mm3, 혈색소 10.3 g/dL, 혈소판 137.000/mm3이었고, 간기능 및 신기능은 정상 소견이었고, 적혈구 침강속도 74 mm/hr, C 반응성 단백질 24 mg/L 관찰되었다. 환자는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심부 목 부위 감염에 의해 패혈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피페라실린‐타조박탐과 반코마이신을 투여받았다. 환자의 생체리듬과 전신 상태는 점차적으로 안정화 되었으나, 항생제 투여 10일 후부터 수포성의 피부 발진(그림 1)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천포창 등 다른 수포성 질환들을 배제하기 위해 피부과와 상의하여 수포와 수포 주위 피부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Hematoxylin‐Eosin 염색(그림 2)에서는 표피 하 수포가 관찰되었고, 직접 면역 형광염색(그림 3)에서는 면역 글로불린 항체가 기저막대를 따라 선상으로 침착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반코마이신에 의한 선상 IgA 물집병으로 진단하고, 즉시 반코마이신을 끊고, dapsone 100mg과 steroid 30 mg을 투여하였다[1,2]. 반코마이신 중단 2일째부터 새로운 병변이 생기지 않았고, 7일째 피부병변이 거의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Figure 1.

Multiple tense bullaes with erythematous patches on the dorsum of hand.

Figure 2.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bullae shows subepidermal blister (A, ×100, H&E) filled with inflammatory infiltrates composed of neutrophils and lymphocytes (B, ×400, H&E).

Figure 3.

Direct immunofluorescence test of the specimen taken from perilesional skin shows linear deposits of IgA along the basement membrane zone (×200).

선상 IgA 물집병은 흔하지 않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원인 불명이거나 약물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다[3]. 많은 약제가 알려져 있는데 이 중 반코마이신이 가장 흔한 원인 약제로 알려져 있다[4]. 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수포성 피부 병변은 천포창이나 헤르페스성 피부염, 다형 홍반, 독성 박피성 괴사염 등과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5]. 이에 우리는 패혈증에서 반코마이신으로 발생한 선상 IgA 물집병 증례를 바탕으로 적절한 진단적 접근과 빠른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References

1. Nousari HC, Kimyai-Asadi A, Caeiro JP, Anhalt GJ. Clinical, demographic, and immunohistologic features of vancomycin-induced linear IgA bullous disease of the skin: report of 2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1999;78:1–8.
2. Neughebauer BI, Negron G, Pelton S, Plunkett RW, Beutner EH, Magnussen R. Bullous skin disease: an unusual allergic reaction to vancomycin. Am J Med Sci 2002;323:273–278.
3. Kuechle MK, Stegemeir E, Maynard B, Gibson LE, Leiferman KM, Peters MS. Drug-induced linear IgA bullous dermatosis: report of six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Am Acad Dermatol 1994;30:187–192.
4. Vidal C, González Quintela A, Fuente R. Toxic epidermal necrolysis due to vancomycin. Ann Allergy 1992;68:345–347.
5. Jones DH, Todd M, Craig TJ, et al. Early diagnosis in key in vancomycin-induced linear IgA bullous dermatosis and Steven-Johnson syndrome. J Am Osteopath Assoc 2004;104:157–16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Multiple tense bullaes with erythematous patches on the dorsum of hand.

Figure 2.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bullae shows subepidermal blister (A, ×100, H&E) filled with inflammatory infiltrates composed of neutrophils and lymphocytes (B, ×400, H&E).

Figure 3.

Direct immunofluorescence test of the specimen taken from perilesional skin shows linear deposits of IgA along the basement membrane zone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