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84(5); 2013 > Article
비만: 서론

Abstract

Obesity is defined as abnormal or excessive fat accumulation that presents a risk to a number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ancer. Therefore, obesity i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life expectancy. Also weight loss of 5-10% is associated with clinically significant health benefits. In Korea, a person with a body mass index of 25 kg/m2 or more is considered obese. In 2012,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 recommended screening all adults for obesity and USPSTF advised that clinicians offer or refer patients with obesity to intensive, multicomponent behavioral interventions. In Korea,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was published but there is no recommendation about screening for obesity. Because of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new recommendations on screening and efficient treatment for obesity and overweight are needed in Korea. (Korean J Med 2013;84:619-623)

서 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비만의 유병률이 1980년에 비해 2008년 전세계적으로 거의 두 배 증가하였고, 유럽 여성의 23%, 남성의 20%가 비만이라고 발표하였다[1].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에 의하면 성인의 비만 유병률이 1998년 26.0%에서 2011년 31.4%로 증가하였다[2].
세계보건기구는 아직 대부분 국가에서 간과하고 있으나 비만을 가장 뚜렷한 공중보건문제 중 하나라고 하였다. 비만은 독립적으로, 혹은 다른 질환과 연관되어 많은 건강관련 문제를 야기시킨다[3]. 특히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특정 암의 발생 증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호흡기 합병증, 관절염과 연관되어 있다[4]. 따라서 비만은 질병 위험의 증가와 연관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며[5,6], 40세 성인은 비만으로 인해 수명이 약 7년 단축된다고 보고되었다[7].
5-10%의 체중감소는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위험 요소의 감소를 포함하여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건강 이득과 연관되어 있다[8-10]. 따라서 비만을 선별하고 체중감소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비만관련 질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본문에서 일반적인 비만의 정의 및 역학, 비만과 연관되어 있는 질병 및 비만의 선별과 중재치료에 대한 권고안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비만의 기준

비만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는 것으로 정의된다[11]. 지방은 몸 속에 저장되어 있어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없고, 신체의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몸무게로 몸 속의 지방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없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 엉덩이 둘레비 등 체지방을 추정하는 지표들이 있으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지표가 체질량지수로서 비교적 측정하기 쉽고 대부분의 사람에서 체지방과 근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12].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기준(WHO, Asia-Pacific Perspective, 2000)은 성인 아시아인의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을 비만, 23 kg/m2 이상을 과체중으로 구분하였고 한국도 이기준을 적용하고 있다[13-15] (Table 1).
비만 관련 위험도를 결정하는 데는 지방의 양뿐만 아니라 지방의 분포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복부의 내장 비만은 대사 증후군의 심혈관 질환 위험 요소와 연관되어 있고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복부의 내장 비만을 반영하는 간편한 지표로 허리둘레와 허리 엉덩이 둘레비가 있으며 허리둘레가 더 선호되는 방법이다[13]. 한국은 복부 비만의 기준으로 국제 당뇨병 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의 기준인 남성 허리둘레 90 cm 이상, 여성 85 cm 이상을 적용하고 있다[14,16].

한국의 비만 유병률

사회경제적 상태의 개선으로 비만 유병률과 성별에 따른 비만의 양상이 변화되었다. 여성은 비만에 대해 사회적으로 강한 압박을 받게 되지만, 남성은 여성에 비해 비만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관대한 편이다[17]. 한국에서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남성 비만 인구는 25.1%에서 31.8%로 증가하였고 여성 비만 인구는 26.2%에서 27.4%로 증가하여, 남성의 비만 인구 증가 폭이 더 컸다. 2005년 이후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비만 유병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2,18] (Table 2).

비만과 질병

심혈관 질환

고혈압은 비만과 연관된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19]. 고혈압의 위험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비만에서 5배 더 높다. 고혈압 환자의 60%가 체중과다였고, 고혈압 환자의 85%이상이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이라고 보고되었다[20]. 비만에서 혈압이 상승되는 것은 부분적으로 비만세포에서 안지오텐시노겐이 분비되고 체질량지수 증가와 관련된 혈액량과 혈액 점도의 증가 때문이다[21].
비만에서 보이는 이상지질혈증은 작고 치밀한 LDL의 증가, HDL의 감소와 트리글리세리드의 증가이며 이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22]. 아시아 태평양 공동연구에서 300,000명의 성인을 7년간 추적관찰 했을 때, 체질량지수 1 kg/m2 증가는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 9% 증가, 고혈압성 사망과 허혈성 뇌졸중 8% 증가와 연관되었다[23,24].

당뇨병

비만은 공복 혈장 인슐린 농도 증가와 경구 당부하에 대한 인슐린 반응의 악화를 특징으로 한다[3].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90%가 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이었고 당뇨병의 위험은 소아시기에 체중 증가가 있을 때 더 높았다[25]. 체질량지수와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은 강한 선형의 관계가 있는데 비만은 당뇨병의 위험을 10배 증가시킨다[11].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체질량지수가 21 kg/m2 미만인 여성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25 kg/m2인 여성은 당뇨병의 위험이 5배 더 증가했고 체질량지수가 30 kg/m2인 여성은 당뇨병의 위험이 28배 더 증가했다[26].

비만은 예방 가능한 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암 유병률은 정상 체중인 성인에 비해, 비만 남성에서 1.33배, 비만 여성에서 1.55배 더 증가한다[27]. 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암연구 협회는 비만과 활동량 감소는 유방암, 대장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식도암의 위험을 높인다고 하였다[28]. 복부 비만으로 인한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암을 유발할 수 있고 대장암은 비만과 연관된 고인슐린혈증과 연관된다. 비만한 폐경기 여성은 유리 에스트로겐이 증가되고 이는 유방암 위험과 관련이 있다[29]. 비만한 성인은 정상 체중 성인에 비해 식도암, 대장암, 간암, 담낭암, 췌장암, 신장암, 비호즈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위암,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난소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더 높았고, 비만으로 인해 남성의 암 사망률은 14%, 여성의 암 사망률은 20% 증가하였다[30].

기타 질환

호흡기 질환 환자는 체중의 증가로 호흡곤란이 악화될 수 있고 흉부와 복부의 지방이 폐활량을 제한할 수 있다. 비만한 환자는 마취 후에 무기폐와 폐렴과 같은 호흡기 합병증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비만한 사람은 목 주위의 비대한 지방조직이 호흡 폐쇄를 유발하고 수면 무호흡을 야기시키며[31] 수면 무호흡은 폐동맥 고혈압, 우심실부전, 약물 저항성 고혈압, 뇌졸중, 부정맥과 관련되어 있다[32].
비만에 동반된 에스트로겐 과다는 생식기능의 이상을 가져오고 배란 주기를 불규칙하게 한다. 한 역학 연구에서 비만 여성의 30-47%에서 배란 주기가 불규칙했고, 비만의 정도가 심할수록 배란 주기가 더 불규칙했다[33]. 비만 관련 호르몬 농도의 변화는 임신에도 영향을 주며 정상 체중 여성에 비해 병원 입원율을 4-7배 증가시킨다. 비만한 임산부에서 임신중독증, 임신성 당뇨병, 난산, 제왕절개율이 3-6배 더 높았다[34].
비만은 고요산혈증, 통풍, 무릎과 고관절의 통증과 퇴행성 관절염을 증가시킨다[35]. 또한 비만은 비알코올성 지방 간염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절반 이상이 비만하다[36].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발병률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는 많은 선진국에서 말기 간부전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37]. 담석과 비만은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담즙의 콜레스테롤 과포화 때문이다. 담석증의 위험은 체질량지수 32 kg/m2 이상인 여성에서 3배 증가되고 45 kg/m2 이상 여성에서 7배 증가된다[38].

경제적 영향

체중과다는 건강 상태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담도 야기시킨다. 세계보건기구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비만이 의료 비용의 2-8%를 차지한다고 하였다[11]. 이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와 연관된 직접적인 비용과 질병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연관된 간접적인 비용을 포함한다[39]. 실제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산출’ 자료(2005)에서 한국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직접비용 1조 771억 원, 간접비용 7,152억 원 등 총 1조 7,923억 원으로 분석됐다[2].

비만의 선별과 치료에 관한 권고안

12년 미국에서는 성인 비만의 선별과 치료에 관한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 권고안이 발표되었으며 의사는 모든 성인의 진찰 시 체질량지수를 계산하여 비만을 선별하도록 하였다. USPSTF의 또 다른 중요한 권고 사항은 환자의 체질량지수가 비만에 해당하면 의사는 직접 진료하거나 다른 의사에게 의뢰하여 집중적인 행동치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USPSTF는 성인 비만에 대한 다각적인 요소의 행동중재요법이 평균 4-7 kg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과 내당능 상태를 개선시킴을 검증하였다. USPSTF는 성인 비만에 대한 선별은 중등도의 이점이 있다고 결론지었다[40-42].
영국의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와 유럽의 WHO Reginal Office는 성인 비만의 선별에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함께 적용하도록 하였고 체중감소와 유지 치료는 열량제한식이, 신체활동 증가 및 행동 치료를 병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체질량지수 28 kg/m2 이상이고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체중감소 약물을 고려할 수 있다고 하였다[43-45].
한국은 현재 대한내분비학회와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비만치료지침 2010 권고안을 따르고 있다[14]. 이에 따르면 체질량지수로 보는 비만 기준은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으로 하고 허리둘레로 본 복부 비만의 기준은 남자에서는 90 cm 이상, 여자에서는 85 cm 이상을 권고한다. 여기서는 비만의 행동지침, 식사치료 지침, 운동치료 지침, 약물치료 지침, 수술요법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나 선별에 대한 지침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결 론

세계보건기구가 비만을 ‘전세계적인 유행성 전염병’이라고 명명할 정도로 비만 인구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있으며 2030년에는 전세계 성인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46]. 또한 비만 및 이와 동반된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의 증가와 생산성 감소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체중감소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으로 관련 질환을 예방하여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47] 질병이 동반되기 전 비만에 대한 선별과 조기의 적극적인 중재치료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Obesity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2013 [cited 2013 Mar 30]. Avalable from:http://www.euro.who.int/en/what-we-do/healthtopics/noncommunicable-diseases/obesity/facts-and-figures


2.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tatistics of life table 2011 [Internet]. Daejeon: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2013 [cited 2013 Mar 30].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2705&bbs=INDX_001


3. Kopelman P.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Obes Rev 2007;8(Suppl 1):13–17.
crossref pmid

4.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404:635–643.
crossref pmid

5. Adams KF, Schatzkin A, Harris TB,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mortality in a large prospective cohort of persons 50 to 71 years old. N Engl J Med 2006;355:763–778.
crossref pmid

6. Stevens J, Cai J, Pamuk ER, Williamson DF, Thun MJ, Wood JL. The effect of age on the association between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N Engl J Med 1998;338:1–7.
crossref pmid

7. Peeters A, Barendregt JJ, Willekens F, Mackenbach JP, Al Mamun A, Bonneux L. Obesity in adulthood and its consequences for life expectancy: a life-table analysis. Ann Intern Med 2003;138:24–32.
crossref pmid

8. Klein S, Burke LE, Bray GA, et al. Clinical implications of obesity with specific focus on cardiovascular disease: a statement for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endorsed by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Circulation 2004;110:2952–2967.
crossref pmid

9. Knowler WC, Barrett-Connor E, Fowler SE, et al.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with lifestyle intervention or metformin. N Engl J Med 2002;346:393–403.
crossref pmid pmc

10. Franz MJ, VanWormer JJ, Crain AL, et al. Weight-loss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weightloss clinical trials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 J Am Diet Assoc 2007;107:1755–1767.
crossref pmid

11. Ogden CL, Yanovski SZ, Carroll MD, Flegal KM.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ogy 2007;132:2087–2102.
crossref pmid

12. Stein CJ, Colditz GA. The epidemic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2522–2525.
crossref pmid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n-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Geneva: WHO Western Pacific Region 2000.


14. Korean Endocrine Socie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 Metab 2010;25:301–304.
crossref

15. Oh SW, Shin SA, Yun YH, Yoo T, Huh BY. Cut-off point of BMI and obesity-related comorbidities and mortality in middle-aged Koreans. Obes Res 2004;12:2031–2040.
crossref pmid

16. Lee SY, Park HS, Kim D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75:72–80.
crossref pmid

17. Park HS, Park CY, Oh SW, Yoo HJ.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Obes Rev 2008;9:104–107.
crossref pmid

18. Oh SW.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Metab J 2011;35:561–566.
crossref pmid pmc

19. Haslam DW, James WP. Obesity. Lancet 2005;366:1197–1209.
crossref pmid

20. Kastarinen MJ, Nissinen AM, Vartiainen EA, et al. Blood pressure levels and obesity trends in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Finnish population from 1982 to 1997. J Hypertens 2000;18:255–262.
crossref pmid

21. Skurk T, Hauner H. Obesity and impaired fibrinolysis: role of adipose produc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28:1357–1364.
crossref pmid

22. Wannamethee SG, Shaper AG, Durrington PN, Perry IJ. Hypertension, serum insulin,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J Hum Hypertens 1998;12:735–741.
crossref pmid

23. Ezzati M, Lopez AD, Rodgers A, Murray CJL. Comparative Quantification of Health Risks: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 Facto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297–596.


24. Kenchaiah S, Gaziano JM, Vasan RS. Impact of obesity on the risk of heart failure and survival after the onset of heart failure. Med Clin North Am 2004;88:1273–1294.
crossref pmid

25. Stevens J, Couper D, Pankow J,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nthropometrics for the prediction of diabetes in a biracial cohort. Obes Res 2001;9:696–705.
crossref pmid

26. Colditz GA, Willett WC, Rotnitzky A, Manson JE. Weight gain as a risk factor for clinical diabetes mellitus in women. Ann Intern Med 1995;122:481–486.
crossref pmid

27. Lew EA, Garfinkel L. Variations in mortality by weight among 750,000 men and women. J Chronic Dis 1979;32:563–576.
crossref pmid

28. Vainio H, Bianchini F. International Agency for Cancer handbook of cancer prevention: vol 6.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ctivity. Lyon: IARC Press, 2002.


29. Kelsey JL. Breast cancer epidemiology: summary and future directions. Epidemiol Rev 1993;15:256–263.
crossref pmid

30. Calle EE, Rodriguez C, Walker-Thurmond K, Thun MJ. Overweight, obesity, and mortality from cancer in a prospectively studied cohort of U.S. adults. N Engl J Med 2003;348:1625–1638.
crossref pmid

31. Young T, Palta M, Dempsey J, Skatrud J, Weber S, Badr S.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crossref

32. Partinen M, Jamieson A, Guilleminault C. Long-term outcom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mortality. Chest 1988;94:1200–1204.
crossref pmid

33. Practice Committee of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Obesity and reproduction: an educational bulletin. Fertil Steril 2008;90(5 Suppl):S21–29.
crossref

34. Cedergren MI. Maternal morbid obesity and the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 Obstet Gynecol 2004;103:219–224.
crossref pmid

35. Cicuttini FM, Baker JR, Spector TD. The association of obesity with osteoarthritis of the hand and knee in women: a twin study. J Rheumatol 1996;23:1221–1226.
pmid

36. Sheth SG, Gordon FD, Chopra S.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n Intern Med 1997;126:137–145.
crossref pmid

37. Rafiq N, Younossi ZM. Effects of weight loss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emin Liver Dis 2008;28:427–433.
crossref pmid

38. Field AE, Coakley EH, Must A, et al. Impact of overweight on the risk of developing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a 10-year period. Arch Intern Med 2001;161:1581–1586.
crossref pmid

39. Thompson D, Edelsberg J, Colditz GA, Bird AP, Oster G. Lifetime health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obesity. Arch Intern Med 1999;159:2177–2183.
crossref pmid

40. McTigue KM, Harris R, Hemphill B, et al. Screening and interventions for obesity in adults: summary of the evidence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 Intern Med 2003;139:933–949.
crossref pmid

41. Moyer VA;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Screening for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Ann Intern Med 2012;157:373–378.


42. Leblanc ES, O'Connor E, Whitlock EP, Patnode CD, Kapka T. Effectiveness of primary care-relevant treatments for obesity in adults: a systematic evidence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 Intern Med 2011;155:434–447.
crossref pmid

43. Jolly K, Lewis A, Beach J, et al. Comparison of range of commercial or primary care led weight reduction programmes with minimal intervention control for weight loss in obesity: lighten up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11;343:d6500.
crossref pmid pmc

44. Jebb SA, Ahern AL, Olson AD, et al. Primary care referral to a commercial provider for weight loss treatment versus standard car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11;378:1485–1492.
crossref pmid pmc

45.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Obesity: guidance on the prevention,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nd children [Internet]. Londo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c2013 [cited 2013 Mar 30]. Available from: http://www.nice.org.uk/nicemedia/live/11000/30365/30365.pdf.


46. Rokholm B, Baker JL, Sørensen TI. The levelling off of the obesity epidemic since the year 1999: a review of evidence and perspectives. Obes Rev 2010;11:835–846.
crossref pmid

47. Finer N, James WP, Kopelman PG, Lean ME, Williams G. One-year treatment of obesit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re study of orlistat, a gastrointestinal lipase inhibitor.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306–313.
crossref pmid

Table 1.
Proposed classification of weight by BMI in adult Asians [13]
Classification Body mass index (kg/m2) Risk of co-morbidities
Underweight < 18.5 Low (but increased risk of other clinical problems)
Normal range 18.5-22.9 Average
Overweight ≥ 23
At risk 23-24.9 Increased
Obese I 25-29.9 Moderate
Obese II ≥ 30 Severe
Table 2.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Korean adults(≥ 19 years) [2]
1998 2001 2005 2007 2008 2009 2010 2011
Total (%) 26.0 29.2 31.3 31.7 30.7 31.3 30.9 31.4
Male (%) 25.1 31.8 34.7 36.2 35.3 35.8 36.4 35.1
Female (%) 26.2 27.4 27.3 26.3 25.2 26.0 24.8 27.1
TOOLS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0 Scopus
  • 11,393 View
  • 702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