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81(3); 2011 > Article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

요약

목적:

만성 신장 질환에서 원발성 갑상선 질환(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결절, 갑상선종, 갑상선암) 빈도가 정상인보다 높다는 사실은 여러 역학 조사에서 이미 밝혀진 바 있다. 하지만 아이오딘 과다 섭취국 중 하나인 한국에서 신장 기능과 원발성 갑상선 질환 빈도의 정확한 관계는 아직까지 연구된 바 없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국립중앙의료원 건강증진센터를 통해 검진 받은 2201명, 2008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외래에서 진료를 보았던 투석을 요하지 않는 만성 신질환 환자 54명, 2010년 국립중앙의료원 인공 신장실에서 투석을 받고 있는 64명을 대상으로 하여 추정 사구체 여과율(MDRD-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에 따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를 구하였다.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신기능의 정확한 관계는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하여 구하였다.

결과: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는 GFR > 90 mL/min/1.73 m2 환자에서 0.5%, 투석을 요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6.3%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또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9.002의 오즈비를 보였다.

결론: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는 투석을 요하는 신부전 환자에서 흔하며 신기능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

Abstract

Background/Aims:

Primary thyroid disease is prevalent in chronic renal disease, especially in patients requiring chronic dialysis.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kidney function and the prevalence of primary thyroid disease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 anation where the dietary iodine intake is excessive.

Methods:

Retrospective data from 2201 consecutive adult patien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ver the last 5 years wereanalyzed; specifically, 54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not requiring hemodialysis and 64 adults treated with hemodialysis.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was estimated using the abbreviated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equation.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primaryhypothyroidism and estimated GFR.

Results:

The prevalence of overt hypothyroidism increased from 0.5% at an estimated GFR > 90 mL/min/1.73 m2 to 6.3% inend-stage renal disease requiring chronic dialysis (p< 0.001 for trend). Compared with participants with an estimated GFR > 60mL/min/1.73 m2, those with an estimated GFR < 60 mL/min per 1.73 m2 had an increased odds of overt hypothyroidism afteradjusting for age, gender, fasting blood glucose (FBS), and the total cholesterol (TC) and triglyceride (TG) concentration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vert primary hypothyroidism is relatively common (6.3%) among persons with chronickidney disease requiring chronic dialysis, and it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ly lower estimated GFR. (Korean J Med 2011;81:334-339)

서 론

만성 신부전은 점진적인 신장 기능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삶의 질, 경제적 비용이라는 측면에서 주목 받고 있다[1]. 미국에서는 이미 2005년 투석 또는 신이식을 받은 환자가 500,000명으로 보고되었으며 2020년에는 800,000명으로 증가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2]. 또한 이러한 추세는 영국, 유럽 각국에서도 보고되고 있는 바이다[3].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는 신장 기능 상실로 인한 여러 대사산물들이 체내에 축적되어 요독증을 일으키며 요독증으로 인해 이차적인 생리 변화 및 체내 기관 장애가 일어난다.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의 호로몬 축 이상 및 말초 갑상선 호로몬 대사 장애도 요독증의 일부로 볼 수 있으며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보이는 이차적인 적응성 기능 저하증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흔히 발견되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의 이차적인 적응성 기능 저하증(sick euthyroid syndrome)은 혈청 T4, T3, free T4, free T3의 감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차적인 갑상선 기능 변화는 과도한 기아 상태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고 단백질 대사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인체의 적절한 반응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4].
이차적인 적응성 기능 저하증(sick euthyroid syndrome) 외에도 만성 신질환에서는 원발성 갑상선 질환(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결절, 갑상선종, 갑상선암)의 빈도가 정상인보다 높다는 사실은 여러 역학 조사에서 이미 밝혀진 바이다[5]. 최근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가 신기능 저하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6]. 아이오딘 과다 섭취국으로 알려진 한국에서도 투석 환자에서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7] 및 신이식, 투석 후의 갑상선 기능 변화에[8]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신기능 저하에 따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중앙의료원 내원 중 갑상선 검사와 신기능 검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갑상선 호로몬 변화 및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2006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국립중앙의료원 종합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환자 2201명, 최근 3년간 신장 내과 외래에서 갑상선 검사를 받은 투석이 요구되지 않는 만성 신부전 환자 54명, 인공신장실에서 투석 치료를 받고 최근 2개월 내 입원이 요구되는 급성 또는 만성 질환 및 악성 종양의 증거가 없는 만성 신부전 환자 64명, 총 2,3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

대상 환자는 6시간 동안의 공복상태를 유지한 후 정맥혈을 채혈하였고, 채혈 즉시 혈청을 분리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청 T3, Free T4, TSH, creatinin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glucose 기저치를 측정하였고, 투석 환자는 투석 직전에 채혈하였다. 혈청 T3, Free T4, TSH (T3-CTK, fT4-CTK, TSH-CTK, DiaSorin, Saluggia, Italy)치는 각각 방사선면역측정법(radioimmuno assay, RIA), 면역방사계수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 IRMA)으로 검사하였으며 creatinine,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 triglyceride치는 UniCel DxC 800 synchron clinical System (BECKMAN COULTER, Brea, California, USA)를 이용하여 enzymatic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신장 기능과 갑상선 질환의 분류

신장 기능은 추정 사구체 여과율(MDRD-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수치에 따라서 분류하였다[GFR (mL/min/1.73 m2) = 186 × (serum creatinine [mg/dL])−1.154 × (age [years])−0.203 × (0.742 if female) × (1.21 if African American)].
추정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90 mL/min/1.73 m2 이상을 I군, 60 mL/min/1.73 m2 이상 90 mL/min/1.73 m2 미만을 II군, 60 mL/min/1.73 m2 미만을 III군, 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 IV군으로 분류하였다.
갑상선 기능 검사 참고치는 T3 80-200 ng/dL, Free T4 7.8-19.4 pg/mL, TSH 0.3-4 mL/u이었다. 갑상선 기능 검사 수치에 따라 TSH ≥ 4 mL/u, 7.8 pg/mL ≤ free T4 < 19.4 pg/mL를 만족시키는 환자를 불현성 갑상선 저하증(subclinical hypothyroidism)[10,11], TSH ≥ 4 mL/u, free T4 < 7.8 pg/mL를 만족시키는 환자를 명백한 갑상선 저하증(overt hypothyroidism)으로 정하였다[9].

통계

통계 분석은 SPSS 18.0.0을 이용하였다. 연속형 자료는 평균±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범주형 자료는 빈도(백분율)를 이용하여 요약하였다. 연속 변수의 비교는 ANOVA test를 이용하였고, 범주 변수의 비교는 chi-sqaure test를 이용하였으며 odd ratio는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값은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정의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9.45 ± 13.16세(19-84세)였으며 이 중 여성이 1,008명(43.4%) 남성이 1,311명(56.5%)이었다. 평균 추정 사구체 여과율은 91.09 ± 26.96 mL/min/1.73 m2 (3.54-235.14 mL/min/1.73 m2), 평균 T3는 147.98 ± 28.75 ng/dL (11.01-614.00 ng/dL), 평균 free T4는 12.35 ± 3.16 pg/mL (0.97-61.30 pg/mL), 평균 TSH는 2.52 ± 3.50 mL/u (0.01-124 mL/u)이었다.
갑상선 기능 검사상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는 248명(10.7%),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는 19명(0.8%), 정상 환자는 2,052명(88.5%)이었다. 추정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신기능 분류는 I 군이(90 mL/min/1.73 m2 이상) 1,228명, II 군이(60 mL/min/1.73 m2 이상 90 mL/min/1.73 m2 미만) 925명, III 군이(60 mL/min/1.73 m2 미만) 102명, IV 군이(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 64명이었다.
신기능 분류에 따른 4개 군의 특징의 보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위험 요소로 알려진 age, sex, fasting glucose, triglyceride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에서 각 군 간에 불균등한 분포를 보으며(p value < 0.001), 특히 age, fasting glucsoe가 ESRD로 진행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TSH는 I 군(2.42 ± 2.00 mL/u), II 군(2.50 ± 4.40 mL/u) III 군(3.60 ± 7.02 mL/u), IV 군(3.06 ± 2.85)으로 III 군에서 유의하게 높으며(p valve: 0.007), free T4는 I 군(12.25 ± 3.35 pg/mL), II 군(12.76 ± 2.58 pg/mL), III 군(12.13 ± 4.50 pg/mL), IV 군(8.94 ± 2.02 pg/mL), T3는 I 군(151.47 ± 29.41 ng/dL), II 군(149.63 ± 22.63 ng/dL) III 군(122.79 ± 34.26 ng/dL), IV 군(97.35 ± 16.55 ng/dL)으로 IV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 value < 0.001).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I 군에서 135명(11.0%), II 군에서 89명(9.6%), III 군에서 16명(15.3%), IV 군에서 8명(12.5%)으로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다(p value: 0.250). 하지만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I 군에서 6명(0.5%), II 군에서 5명(0.5%), III 군에서 4명(3.9%), IV 군에서 4명(6.3%)으로 추정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유병률이 선형관계를 보이고 있었다(p value < 0.001, Fig. 1).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나이, 고지혈증(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당뇨(fasting glucose), 성별과 함께 사구체 여과율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나이(60세 < vs. ≧ 60세)에 따른 명백한 갑상선 기증 저하증 위험도는 1.625 (p value = 0.330), 성별(male vs. female)에 따른 위험도는 2.773 (p value = 0.042), fasting glucose (< 126 mg/dL vs. ≥ 126 mg/dL)에 따른 위험도는 0.585 (p value = 0.499), total cholesterol (< 240 mg/dL vs. ≥ 240 mg/dL)에 따른 위험도는 0.385 (p value = 0.362), triglyceride (< 200 mg/dL vs. ≥ 200 mg/dL)에 따른 위험도는 0.821 (p value = 0.797), 사구체 여과율(> 60 mL/ min/1.73 m2 vs. ≤ 60 mL/min/1.73 m2)에 따른 위험도는 9.002 (p value < 0.001), 사구체 여과율(per unit increased)에 따른 위험도는 0.981 (p value 0.010)으로 사구체 여과율과 성별이 유의하게 연관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고 찰

본 연구에서 신기능에 따른 갑상선 호로몬 수치 변화는 투석 치료를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이차적인 적응성 기능 저하증의 전형적인 low T3, T4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몇몇 연구에서 언급된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점진적인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 증가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만이 사구체 여과율 감소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 양상을 보였다.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전체 인구에서 3%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 여러 원인이 있으나 그중 아이오딘 결핍 및 자가 면역으로 인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12].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T3, T4의 감소를 TSH증가로 보상하고 있는 상태로 TSH가 증가되어 있으면서 T3, T4는 정상 범위인 경우를 말한다. 전체 인구에서는 3-8% [13-15], 60세 이상의 노인 및 여성에서는 20%의 유병률을 보이며 대부분의 아무 증상 없이 갑상선 초음파 상에는 미만성 저에코성 갑상선종, 항 갑상선 항체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16-18].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마찬가지로 아이오딘 결핍 및 자가면역으로 인한 경우가 흔하며 그 외에 약물 유발성 갑상선염, 방사선 치료 후 갑상선염, 아급성 갑상선염, 산후 갑상선염 등의 원인이 있다[19]. 자연 경과상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관상동맥 질환, 말초 동맥 질환과 연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내피세포 기능, 혈압, 지질대사에 영향을 주고 심혈관계 질환의 잠재적인 위험인자로 작용하여 그 예후와 치료 여부에 대하여 연구 중이다[20].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의 갑상선 기능 이상, 갑상선종,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가 높다는 것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사실이다[21-25]. 게다가 그중에서는 동반된 갑상선 호로몬 이상이 만성 신부전 환자의 독립적인 심혈관계 사망률 예측인자라는 연구결과도 있다[23-25]. 기저 병인으로는 아이오딘 대사 장애, 자가 면역성, 갑상선 호로몬 대사 장애 및 말초 감수성 변화 등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이오딘 배설 장애와 아이오딘 갑상선 침착이 갑상선종,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 증가의 원인이라는 가설이 유력하다. 과도한 아이오딘이 체내에 축적되면 일반적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유발되나 만성 질환 환자, 신생아, 정상 갑상선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환자에서는 Wolff-Chaikoff 효과가 계속 지속됨으로써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유발된다[26]. 또한 이러한 현상은 가역적인 상태로 아이오딘 섭취 제한에 갑상선 기능이 회복된다는 여러 연구결과가 있다[27].
최근에는 사구체 여과율에 반비례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가 증가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Michel 등의 연구에서는 투석 치료가 필요 없는 경한 만성 신부전에서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사구체 여과율 감소에 따라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Michel 등의 연구에서는 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가 제외되었으며 또한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 역시 제외되었다[28]. 이에 본 연구에서는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도 포함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두 군으로 나누어서 빈도를 구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inulin이나 iothalmate를 이용하여 정확한 사구체 여과율을 구하지 않고 추정 사구체 여과율을 이용하여 신기능을 추정하였다. 둘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원인 조사를 위한 자가항체 측정 및 요중 아이오딘 농도 등의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셋째, 환자들의 정확한 과거 질환(갑상선 질환) 및 현재 복용 중인 갑상선 질환 약물,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넷째, 타 연구와 비교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위험 요소인 성별비, 나이, 고지혈증, 당뇨 등이 각 군에 따라 불균등하여 이로 인해 선택 바이어스가 생길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에 따른 명백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 증가 소견은 관찰되었지만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빈도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이오딘 과다 섭취국으로 알려진 한국에서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만성 신부전 환자의 초진시에 갑상선 기능 장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진료 및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수정된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향후 만성 신부전에 동반된 갑상선종,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한 경과 및 치료 여부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Levey AS, Coresh J, Balk E, et al. National Kidney Foundation practice guideli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stratification. Ann Intern Med 2003;139:137–147.
crossref pmid

2. U.S. Renal Data SystemUSRDS 2009 annual data report: Atlas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end-stage ren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Bethesda: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07.


3. Kiberd B. The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c: stepping back and looking forward. J Am Soc Nephrol 2006;17:2967–2973.
crossref pmid

4. Amato AA, Santos GM, Neves F de A. Thyroid hormone ac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Curr Opin Endocrinol Diabetes Obes 2008;15:459–465; doi: 10.1097/MED.0b013e32830eb85e
crossref pmid

5. Kaptein EM, Quion-Verde H, Chooljian CJ, et al. The thyroid in end-stage renal disease. Medicine (Baltimore) 1988;67:187–197.
crossref pmid

6. Lo JC, Chertow GM, Go AS, Hsu CY. Increased prevalence of subclinical and clinical hypothyroidism in person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2005;67:1047–1052.
crossref pmid

7. Song IS, Kim KH, Oh SJ, Jung HS, Lee JH, Yoon KI. The effects of hemodialysis and kidney transplantation on the thyroid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Korean J Med 1996;51:79–87.


8. Lee HH, Kim DJ, Kim JA, et al. Change of the thyroid function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3;22:96–101.


9. Hollowell JG, Staehling NW, Flanders WD, et al. Serum TSH, T (4), and thyroid antibodie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1988 to 199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489–499.
crossref pmid

10. Surks MI, Ortiz E, Daniels GH, et al. Subclinical thyroid disease, scientific review and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JAMA 2004;291:228–238.
crossref pmid

11. Wilson GR, Curry RW Jr. Subclinical thyroid disease. Am Fam Physician 2005;72:1517–1524.
pmid

12. Garber JR, Hennessey JV, Lieberman JA 3rd, Morris CM, Talbert RL. Clinical update: managing the challenges of hypothyroidism. J Fam Pract 2006;55:S1–S8.
pmid

13. Canaris GJ, Manowitz NR, Mayor G, Ridgway EC. The Colorado Thyroid Disease Prevalence Study. Arch Intern Med 2000;160:526–534.
crossref pmid

14. Tunbridge WM, Evered DC, Hall R, et al. The spectrum of thyroid disease in a community: the Whickham survey. Clin Endocrinol (Oxf) 1977;7:481–493.
crossref pmid

15. Schectman JM, Kallenberg GA, Shumacher RJ, Hirsch RP. Yield of hypothyroidism in symptomatic primary care patients. Arch Intern Med 1989;149:861–864.
crossref pmid

16. Helfand M, Crapo LM. Screening for thyroid disease. Ann Intern Med 1990;112:840–849.
crossref pmid

17. Bagchi N, Brown TR, Parish RF. Thyroid dysfunction in adults over age 55 years: a study in an urban US community. Arch Intern Med 1990;150:785–787.
crossref pmid

18. Sawin CT, Chopra D, Azizi F, Mannix JE, Bacharach P. The aging thyroid. Increased prevalence of elevated serum thyrotropin levels in the elderly. JAMA 1979;242:247–250.
crossref pmid

19. Papi G, Uberti ED, Betterle C, et al. Subclinical hypothyroidism. Curr Opin Endocrinol Diabetes Obes 2007;14:197–208.
crossref pmid

20. Ripoli A, Pingitore A, Favilli B, et al. Does subclinical hypothyroidism affect cardiac pump performance? Evidence from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J Am Coll Cardiol 2005;45:439–445; Erratum in: J Am Coll Cardiol 2005;45:968.
crossref pmid

21. Lim VS. Thyroid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m J Kidney Dis 2001;38(4 Suppl 1):S80–S84.
crossref pmid

22. Zoccali C, Tripepi G, Cutrupi S, Pizzini P, Mallamaci F. Low triiodothyronine: a new facet of inflammation in end stage renal disease. J Am Soc Nephrol 2005;16:2789–2795.
crossref pmid

23. Zoccali C, Benedetto F, Mallamaci F, et al. Low triiodothyronine and cardiomyopathy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J Hypertens 2006;24:2039–2046.
crossref pmid

24. Zoccali C, Mallamaci F, Tripepi G, Cutrupi S, Pizzini P. Low triiodothyronine and survival in end-stage renal disease. Kidney Int 2006;70:523–528.
crossref pmid

25. Carrero JJ, Qureshi AR, Axelsson J, et al. Clinical and biochemical implications of low thyroid hormone levels (total and free forms) in euthyroid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J Intern Med 2007;262:690–701.
crossref pmid

26. Bando Y, Ushiogi Y, Okafuji K, Toya D, Tanaka N, Miura S. Non-autoimmune primary hypothyroidism in diabetic and non-diabetic chronic renal dysfunction. Exp Clin Endocrinol Diabetes 2002;110:408–415.
crossref pmid

27. Sanai T, Inoue T, Okamura K, et al. Reversible primary hypothyroidism in Japanese patients undergoing maintenance hemodialysis. Clin Nephrol 2008;69:107–113.
crossref pmid

28. Chonchol M, Lippi G, Salvagno G, Zoppini G, Muggeo M, Targher G.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lin J Am Soc Nephrol 2008;3:1296–1300.
crossref pmid pmc

Prevalence of hypothyroidism.
/upload/thumbnails/kjm-81-3-334-9f1.gif
Figure 1.
Table 1.
Determinants of overt hypothyroidism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Odds ratio (±95% CI) p value
Age (60 < vs. ≥ 60) 1.625 (0.600-4.397) 0.330
FBS (< 126 vs. ≥ 126) 0.585 (0.124-2.762) 0.499
TG (< 200 vs. ≥ 200) 0.821 (0.182-3.709) 0.797
TC (< 240 vs. ≥ 240) 0.385 (0.050-2.994) 0.362
GFR (60 > vs. ≤ 60) 9.002 (3.124-25.211) <0.001
GFR (per unit increased) 0.981 (0.966-0.995) 0.010
Sex (male vs. female) 2.773 (1.037-7.411) 0.042
TOOLS
METRICS Graph View
  • 6,234 View
  • 133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