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유두 괄약근 절개술과 아스피린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Aspirin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Med. 2011;81(2):190-19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1 August 1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이종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Correspondence to Jong Kyun Lee, M.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0 Irwon-dong, Gangnam-gu, Seoul 135-710, Korea   Tel: +82-2-3410-3409, Fax: +82-2-3410-6983, E-mail: leejk@skku.edu

Trans Abstract

Antiplatelet drugs are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bleedings. Aspirin is one of most popular medicine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has a high procedural risk of bleeding. However, there has been no evidence-based study about taking aspirin before and after EST. There are controversies in the guidelines from American Society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and Japan Gastroenterological Endoscopy Society. Continuous intake of aspirin before EST is recommended in Western guidelines. To the contrary, 3 to 7 days cessation of aspirin before EST is needed according to Japan guidelines. Until a well-organized study make definite evidence, personalized approach is prudent to decide to stop or continue to take aspirin before and after EST. (Korean J Med 2011;81:190-192)

유두 괄약근 절개술 후 출혈의 빈도는 출혈의 정의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다[1-4]. 내시경적으로 관찰되는 출혈도 있으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은 흑색변, 혈변, 토혈과 함께 혈색소 수치가 2 g/dL 이상 감소하거나 수혈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한다[5,6]. 시술 도중에도 발생하지만 일부에서는 수시간에서 1-2주까지도 나타날 수 있다. 잘 알려진 출혈의 위험인자로는 혈액응고장애, 혈소판 감소증, 시술 3일 이내 항응고제의 사용, 투석이 필요한 만성신부전, 유두주위 게실, Billroth II 위공장문합술 등의 환자 측면과 절개 방향과 범위, 예비 절개, 순수 절단 전류, 지퍼형 절개, 시술자의 숙련도 등 시술적인 측면이 있다.

최근에 심혈관 질환의 일차 혹은 이차 예방에 널리 쓰이는 항 혈소판제제와 각종 질환의 치료 및 증상 완화목적으로 널리 복용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도 위장관에서의 출혈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약에 의해서 괄약근 절개술 후 출혈의 위험도가 얼마나 증가하며 이 약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아직까지 명확한 근거는 없다.

아스리핀은 가장 널리 쓰이는 항혈소판제제이다. 하루 100 mg의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혈소판 효소인 COX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thromboxane A2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소판의 응집을 방해한다. 이러한 비가역적 억제 효과는 혈소판의 수명을 알려진 7-10일간 지속된다. 건강 성인에게서 출혈 시간과 혈소판 응집 검사를 아스피린 복용 후 시행하면 대개 3일 뒤에는 정상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종류의 항혈소판제제나 항응고제 등과 같이 아스피린을 복용하거나 신부전, 간경변증, 혈액응고장애, 혈소판 감소증 등과 같이 출혈성 위험이 높은 질환을 가진 환자가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출혈의 위험도는 더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피린과 괄약근 절개술에 대한 전향적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고 괄약근 절개술 시 아스피린 복용에 따른 상대 위험도에 대한 후향적 연구가 있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1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50명의 아스피린 또는 NSAIDS를 복용한 환자에서 5명의 출혈이 발생하여 아스피린이 출혈의 위험인자가 아니라고 보고했다[2]. 1990년부터 2001년까지 804명의 환자를 대상을 한 연구에서는 계속 아스피린을 복용한 124명, 1주일 전에 아스피린을 중단한 116명과 564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괄약근 절개술 후 출혈을 비교하였다[7]. 출혈 발생률이 9.7%, 9.5% 및 3.9%로 아스피린을 복용했거나 복용한 군에서 더 높았으며, 출혈에 대해서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결과 기저 질환과 아스피린이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두 연구 모두 연구 계획 및 방법에 따른 결론 도출에 한계가 있으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했다[8].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영국 및 일본 소화기 학회의 가이드 라인이 제시되었다[9-12]. 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 받는 환자는 1% 이상의 출혈 위험이 있으므로 출혈 고 위험군에 속한다. 미국 및 영국의 가이드 라인에서는 아스피린을 중단하지 말 것을 권유하였지만 일본의 가이드 라인에서는 3-7일 전에 아스피린을 중단하거나 혈전 색전증의 위험이 높으면 중단 후 heparinization 시행한 뒤 시행할 것을 권유한다.

이러한 임상 상황 속에서 아스피린 복용 환자에서 괄약근 절개술 후 출혈에 따른 위험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적절한 가이드를 제시를 위해서 필요하다. 황 등의 연구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 받은 1,0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적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고 최근에 발달된 기구에 의한 합병증을 보여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정확한 방법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여 많은 환자 수에 비해서 얻는 정보가 많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어떤 환자를 배제 하였는지가 기술되어 있지 않아서 간 경변증을 제외한 출혈 위험 질환에 대한 평가, 혈소판 수치에 따른 평가는 이루어 질 수가 없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많은 환자 수에 비해서 위험군이 13명밖에 되지 않고 출혈이 위험군에서 한 명도 없었다. 만약 1명의 출혈이 있었다면 두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올 수 있는 대상군 수의 불균형은 괄약근 절개술 전에 아스피린 사용의 위험에 대한 평가를 어렵게 한다.

몇 가지 연구 방법 상에 문제가 있어서 이 논문을 통해서 괄약근 절개술 전에 아스피린 사용에 의한 출혈 위험에 대한 평가는 어렵지만, 우리나라 현실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ferences

1. Cotton PB, Lehman G, Vennes J, et al. Endoscopic sphincterotomy complications and their management: an attempt at consensus. Gastrointest Endosc 1991;37:383–393.
2. Nelson DB, Freeman ML. Major hemorrhage from endoscopic sphincterotomy: risk factor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1994;19:283–287.
3. Vaira D, D'Anna L, Ainley C, et al. Endoscopic sphincterotomy in 1000 consecutive patients. Lancet 1989;2:431–434.
4. Andriulli A, Loperfido S, Napolitano G, et al. Incidence rates of post-ERCP complications: a systematic survey of prospective studies. Am J Gastroenterol 2007;102:1781–1788.
5. Freeman ML. Complications of endoscopic biliary sphincterotomy: a review. Endoscopy 1997;29:288–297.
6. Freeman ML, Nelson DB, Sherman S, et al. Complications of endoscopic biliary sphincterotomy. N Engl J Med 1996;335:909–918.
7. Hui CK, Lai KC, Yuen MF, Wong WM, Lam SK, Lai CL. Does withholding aspirin for one week reduce the risk of postsphincterotomy bleeding? Aliment Pharmacol Ther 2002;16:929–936.
8. Kimchi NA, Broide E, Scapa E, Birkenfeld S. Antiplatelet therapy and the risk of bleeding induced by gastrointestinal endoscopic procedur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Digestion 2007;75:36–45.
9. Eisen GM, Baron TH, Dominitz JA, et al.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anticoagulation and antiplatelet therapy for endoscopic procedures. Gastrointest Endosc 2002;55:775–779.
10. Zuckerman MJ, Hirota WK, Adler DG, et al. ASGE guideline: the management of low-molecular-weight heparin and nonaspirin antiplatelet agents for endoscopic procedures. Gastrointest Endosc 2005;61:189–194.
11. Ono S, Fujishiro M, Hirano K, et al. Retrospective analysis on the management of anticoagulants and antiplatelet agents for scheduled endoscopy. J Gastroenterol 2009;44:1185–1189.
12. Veitch AM, Baglin TP, Gershlick AH, Harnden SM, Tighe R, Cairns 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nticoagulant and antiplatelet 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procedures. Gut 2008;57:1322–132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