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80(4); 2011 > Article
확장 범주 뇌사자의 신장이식 성적

요약

목적:

신장이식 대기자에 비해 장기 공여자의 수는 매우 부족하다. 확장 범주 뇌사자 신장이식이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시행한 확장 범주 뇌사자 신장이식을 대상으로 이식신 기능 및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77예의 뇌사자 신장이식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사자의 나이, 장기 적출 전 크레아티닌 청소율, 고혈압 병력, HLA 불일치 개수 및 뇌사자의 사망 원인에 따른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KONOS의 확장 범주 공여자 정의에 따라 두 군(확장 범주, 표준 범주 공여자)으로 나누어 이식 수술 후 36개월까지의 신장 기능과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뇌사자의 나이가 많거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낮은 경우 및 고혈압 병력이 있거나 뇌혈관 질환이 사망 원인이었던 경우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낮았다. 수술 후 36개월까지의 신장 기능을 비교하였으며,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의미있게 낮았다(49.8 ± 22.7 vs. 75.0 ± 28.6, p < 0.05). 그러나 이식신 기능 부전과 이식신 생존율 및 환자 생존율에서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KONOS 기준의 확장 범주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신 기능은 표준 범주 공여자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이식 후 3년까지의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은 표준 범주 공여자와 차이가 없었다. 공여자가 부족한 현실에서 확장 범주 뇌사자는 공여자군을 늘일 수 있는 받아들인 만한 대안으로 생각된다.

Abstract

Background/Aims: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was established in 2000, and the KONOS criteria for expanded-criteria donors (ECD) have since been applied to kidney allocation from deceased donors. The outcome of cadaveric kidney transplantation from ECD according to KONOS criteria has not been investigated.

Methods:

Seventy-seven cadaveric kidney transplant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9 were recruited retrospectively. Factors that influence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of graft kidneys up to 3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were evaluated. Postoperative renal function and allograft and patient survival in the ECD group (n = 28)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standard-criteria donor (SCD) group (n = 49).

Results:

The GFR of graft kidneys was different according to donor GFR, age, hypertension history, and cause of brain death. In the ECD group, GFR was lower than that in the SCD group by KONOS criteria. No differences in allograft or patient survival were observed until 3 year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Conclusions:

Cadaveric kidney transplantation using the ECD by KONOS criteria is acceptable in term of graft and 3-year patient survival, although the GFR was lower in the ECD than in the SCD group. (Korean J Med 2011;80:408-418)

서 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신장 이식 대기자에 비해 장기 공여자의 수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국내에서도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신장 이식 대기자 수도 해마다 증가하여 2009년에는 8,488명에 이르고 있다[1].
신이식 수요의 증가에 따라 예전에는 공여자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던 뇌사자에 대해서도 이식을 고려하고 있다. 선택 기준을 넓힌 확대된 공여자 선택기준을 적용하여 공여자 부족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이식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확장 범주 공여자의 기준은 연구에 따라 다르다. 국립장기이식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에서는 확장범주 공여자의 기준으로 공여자의 나이가 60세 이상, 심정지 공여자, 저혈압이 3회 이상, 혈청 크레아티닌이 3 mg/dL 이상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60 mL/min 이하, 2회 이상의 소변검사에서 단백뇨가(++)이상이었던 다섯 가지의 경우 중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2]. 미국장기이식센터(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UNOS)에서는 공여자의 나이가 60세 이상인 경우, 나이가 50세에서 59세이면서 고혈압이 있거나, 뇌사의 원인이 뇌혈관 질환인 경우 또는 장기 적출 전 마지막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dL 이상인 경우 중 두 가지 이상을 동반한 경우로 정의하였다[3,4].
Nyberg 등[5]은 뇌사자의 나이, 뇌사자의 고혈압 유무와 이환 기간, 장기 적출 전 마지막 크레아티닌 청소율, 인백혈구 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 불일치 개수 그리고 뇌사의 원인에 따라 뇌사자의 점수체계를 만들어 확장 범주 공여자와 표준 범주 공여자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Ojo 등[6]은 확장 범주 공여자의 기준으로 공여자의 나이가 55세 이상, 공여자의 고혈압 병력기간이 10년 이상, 공여자의 당뇨 병력기간이 10년 이상, 심정지 공여자 그리고 냉허혈 시간이 36시간을 넘는 경우의 다섯 가지 기준 중 한 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를 확장 범주 공여자로 정의하였다. 이처럼 확장 범주 공여자의 정의는 보고에 따라 다양하며, 특히 UNOS 기준에 따른 확장 범주 공여자의 신장 이식 성적은 표준 범주와 비교하였을 때 이식 후 신장 기능과 생존율에서 차이가 있다는 많은 보고가 있다[7-10]. 하지만 KONOS에 의한 확장 범주 공여자의 기준에 따른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 변화와 이에 따른 이식 성적에 대한 보고는 현재까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시행한 사체 신이식을 대상으로 신이식 수술 후 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공여자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KONOS에 의한 기준과 그 외의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사체 신이식 수술 후 이식신 기능을 후향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또한 KONOS 기준에 따라 공여자를 구분한 뒤 이식신과 환자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

2003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한 81예의 뇌사자 신장 이식 수술 중 뇌사자 정보가 누락된 4예를 제외한 7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뇌사 환자와 수혜자들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공여자 및 수혜자의 신장 기능은 아래와 같이 나이에 따라 12세 이상인 경우는 Cockcroft-Gault 공식으로, 12세 미만인 경우는 Schwartz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Cockcroft-Gault equation=(140-Age)×Weight72×Serum Creatinine
(× 0.85 in female, Age [yr], Weight [kg], Serum creatinine [mg/dL])
Schwartz fomula=k×HeightSerum Creatinine
(k = 0.55 in child or adolescent girl, 0.70 in adolescent boy, Height [cm], Serum creatinine [mg/dL])
이식신 기능 부전(delayed graft function, DGF)은 수술 후 7일 이내에 투석 치료를 필요로 했던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식신 기능 소실은 유지 투석 치료를 시작했거나, 환자가 사망한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장기 적출 전 크레아티닌 청소율, 뇌사자의 나이, 고혈압 병력 및 이환 기간, HLA 불일치 개수 및 뇌사자의 사망 원인에 따른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의 변화를 수술 후 1개월, 6개월, 12개월, 24개월 그리고 36개월의 시점에서 비교하였다. 또한 KONOS, UNOS 그리고 Nyberg 등의 확장 범주 공여자 정의에 따라 두 집단의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을 비교하였고,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SPSS version 17을 사용하였다. 뇌사자 인자에 따른 수술 후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T-test 및 ANOVA를 사용하였고, 이식신 기능 부전 발생률은 chi-square test를 사용했으며, 이식신 생존율과 환자 생존율은 chi-square test 및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사용하였다. p 값이 0.05 미만일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결 과

뇌사자의 평균 나이는 40.8세였고, 남자가 54명 여자가 23명으로 남자가 많았다. 뇌사자 중 고혈압의 병력이 있는 경우는 20명(26%)이었다. 뇌사자의 평균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81.4 mL/min이었고, 뇌사의 원인으로는 뇌혈관 질환이 41명(53.2%)이었다.
수혜자의 평균 나이는 42.0세였고, 남자가 31명 여자가 46명이었다. 평균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는 21.0 kg/m2였다. 말기 신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사구체 신염이 54명(70.1%)으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이 9명(11.7%), 당뇨병이 5명(6.5%), 낭성 신질환이 2명(2.6%)이었으며, 그 외의 경우가 7명(9.1%)이었다. 이식 수술 전 평균 투석 기간은 87.3개월이었고, 재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3예(3.9%)였다. 수술 전 검사상 HLA 불일치는 평균 3.51개였고, 냉허혈 시간은 284분이었다(Table 1).

뇌사자의 인자에 따른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 변화

뇌사자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60 mL/min 이하였을 때 1개월, 6개월 그리고 12개월에서 신기능이 낮게 유지되었고, 36개월에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p = 0.056, Table 2).
뇌사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이식 후 6개월과 36개월의 신기능이 낮았다(Table 3).
공여자에서 고혈압이 없었던 경우에서 이식 수술 후 6개월과 36개월에 신장 기능이 좋았다. 고혈압이 있었던 집단을 고혈압의 이환 기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고혈압의 이환 기간이 길수록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좋지 않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12개월, p = 0.074, Table 4).
공여자와 수혜자간의 HLA 불일치 개수에 따른 이식 수술 후 신장기능은 관찰기간 동안 차이가 없었다(Table 5).
공여자의 사망 원인이 뇌경색 등 뇌혈관 질환인 경우가 그 외 사망 원인에 비해 36개월의 신장 기능이 좋지 않았다(Table 6).

KONOS 기준에 의한 수술 후 신기능 비교

전체 77명의 뇌사자 중 나이가 60세 이상인 경우는 2명,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60 mL/min 또는 혈청 크레아티닌이 3 mg/dL 이상인 경우가 25명, 저혈압이 3회 이상 있었던 경우가 2명, 단백뇨가 2회 이상 있었던 경우가 3명이었고, 심정지 공여자는 없었다(Table 7).
KONOS 기준에 따른 확장 범주 공여자는 28명이었고, 표준 범주 공여자는 49명이었다. 두 집단간의 수혜자의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이식 전 투석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공여자의 경우 확장 범주 공여자의 평균 나이가 46.2세로 표준 범주 공여자의 37.8세보다 많았고(p = 0.022), 평균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46.9 mL/min 및 101.1 mL/min로 확장 범주 공여자에서 낮았다(p < 0.001). 두 집단간의 성별, 고혈압 병력 유무, 이식 수술 전 냉허혈 시간, HLA 불일치 개수과 사망 원인은 차이가 없었다(Table 8).
DGF는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6명(21.4%), 표준 범주 공여자군에서 5명(10.2%)이 발생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신장 기능은 전 기간에 걸쳐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낮게 측정되었고, 24개월째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9). 이식신의 소실은 10명에서 발생하였고,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3명(10.7%), 표준 범주 공여자군에서 7명(14.3%)이었다. 이식신 소실 원인은 급성 거부 반응이 1명, 만성 이식신 기능 부전이 5명 그리고 환자가 사망한 경우가 4명이었으며, 두 집단간의 이식신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1). 사망한 4명의 환자는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2명(3.6%), 표준 범주 공여자군에서 2명(6.1%)이 발생하였고, 이 중 감염으로 인한 경우가 2명, 폐흡인으로 인한 사망이 1명 그리고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경우가 1명이었다. 두 집단의 환자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Fig. 2).

UNOS 및 Nyberg 기준에 의한 수술 후 신기능 비교

UNOS 정의에 따른 확장 범주 공여자군은 12명이었고, 표준 범주 공여자군은 65명이었다. 두 집단간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은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낮았고, 24개월째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GF,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에서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Table 10).
Nyberg 기준에서는 공여자 점수가 0점에서 19점인 A와 B군을 표준 범주 공여자로, 20점에서 39점인 C와 D군을 확장 범주 공여자로 정의하고 있다[5]. 이 기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면 확장 범주 공여자군이 27명이고, 표준 범주 공여자군이 50명이었다. 두 집단간의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은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낮았고, 24개월째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GF,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에서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Table 11).
KONOS, UNOS 그리고 Nyberg 등의 세 가지 기준에 따른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은 36개월까지의 관찰기간 동안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낮았다. KONOS 기준에 의한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은 다른 두 가지 기준에 따라 집단을 분류했을 때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Fig. 3A and Fig. 3B).

고 찰

이상적인 신이식 공여자의 선택 기준은 나이가 16세에서 45세 사이, 냉허혈 시간이 24시간 이하, 전신적인 감염이 없고, 악성 종양이 없는 경우, 당뇨나 고혈압이 없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3 mg/dL 이하 등으로 알려져 왔다[11]. 하지만 신장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예전에는 장기 공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뇌사 공여자에 대해 확장 범주 공여자의 개념을 도입하여 장기 공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2002년에 UNOS에서는 뇌사자의 나이가 60세 이상인 경우나, 나이가 50세에서 59세이면서 고혈압인 경우, 뇌사의 원인이 뇌혈관 질환인 경우 또는 장기 적출 전 마지막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dL 이상인 경우 중 두 가지 이상을 동반한 경우로 확장 범주 공여자를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이식 대기자들은 이식 대기 명단에 등록하면서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을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해 미리 결정을 하여 이식 대기 기간을 줄이고 있다[12]. 많은 연구에서 UNOS의 정의에 따른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이 확장 범주 공여자에서 의미있게 낮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Nyberg 등[5]은 공여자의 나이가 많거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낮은 경우, 공여자가 고혈압 병력이 있고, 그 이환 기간이 긴 경우, HLA 불일치 개수가 많은 경우 혹은 공여자가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한 경우에서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좋지 않고, 이에 따른 이식신 생존율도 확장 범주 공여자 집단에서 낮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 성적이 표준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이식보다 좋지 않지만, 투석 치료를 계속하면서 표준 범주 공여자로부터 이식 기회를 기다리는 경우보다는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을 받는 것이 더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또한 투석 치료를 하는 경우보다 삶의 질이 좋다는 점이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에 대한 타당성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10,13-16].
KONOS에서는 다섯 가지 기준으로 신장 공여에 대한 확장 범주 공여자를 정의하고 있다. 그 중 나이, 크레아티닌 청소율 및 심정지 뇌사자에 대한 항목은 다른 연구에서도 이미 확장 범주 공여자의 항목으로 정의하고 있다. 뇌사자의 저혈압 병력이 3회 이상이었거나, 단백뇨가 2회 이상 있었던 경우에 대한 정의는 KONOS에만 존재하는 확장 범주 공여자의 항목이다. Ojo 등[6]은 확장 범주 뇌사자를 정의하면서 나이와 고혈압 병력 그리고 심정지 환자를 항목에 포함시켰고, 그 외에도 뇌사자의 당뇨병력이 10년이 넘거나 냉허혈 시간이 36시간이 넘는 경우를 확장 범주 공여자로 정의하여 두 집단에서 이식신 생존율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공 등[17]이 2001년에 확장 범주 공여자를 공여자의 나이, 뇌사자가 집중 치료실에 머물렀던 기간, 고혈압 병력, 심폐소생술을 20분 이상 시행했던 경우, 저혈압이 있었던 경우, 고용량의 강심제를 사용했던 경우, 혈청 크레아티닌이 2.5 mg/dL 이상이었던 경우 그리고 냉허혈 시간이 12시간을 넘는 경우 중 한 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식신 생존율에 영향을 미쳤던 인자가 심폐소생술을 20분 이상 시행한 경우, 저혈압이 있었던 경우, 혈청 크레아티닌이 2.5 mg/dL 이상이었던 경우로 보고하였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이식신 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박 등[18]은 2009년에 Nyberg에 의한 뇌사자 점수 체계를 이용하여 이식 수술 후 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였고, 확장 범주 공여자군에서 2년 후의 사구체 여과율이 낮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뇌사자의 크레아티닌 청소율에 따른 이식 후 신장 기능을 살펴보면 KONOS의 기준에 따라 60 mL/min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60 mL/min 이상인 군에서 수술 후 36개월까지의 변화에서 신기능이 더 높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yberg 등[5]은 뇌사자의 수술 전 신장 기능을 크레아티닌 청소율에 따라 < 50, 50~74, 75~99, ≥ 100의 네 집단으로 나누었고, 수술 전 공여자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높을수록 수술 후 6개월째의 수혜자의 신장 기능이 좋았다고 보고하였다.
뇌사자의 나이에 따른 이식 후 신장 기능 변화는 많은 연구에서 뇌사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신장 기능이 좋지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12,19-21]. 나이에 대한 기준은 연구에 따라 다양한데, Chavalitdhamrong 등[22]은 공여자의 나이를 50~59세, 60~69세, 70세 이상으로 나누었을 경우, 70세 이상에서 이식 1년 후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유의하고 높았고, 이식신과 환자 생존율에서도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KONOS나 UNOS에서는 60세 이상을 확장 범주 공여자로 정의하고 있고, Nyberg 등[5]은 이를 좀더 세분화하여 30세 미만인 그룹에서부터 70세 이상인 그룹까지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뇌사자 수가 적어서 나이에 따른 분류는 Nyberg 등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분석을 시행하였고, 뇌사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신장 기능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UNOS에서는 확장 범주 공여자의 기준으로 뇌사자의 고혈압 병력이 있는 경우가 포함되어 있고, Port 등[23]은 이 기준에 따라 공여자에서 고혈압이 있을 경우 이식신 소실의 위험도가 높고, 이 경우 3년까지의 이식신 생존율이 낮다고 보고하였다. Ojo 등[6]은 뇌사 공여자의 고혈압 이환 기간이 10년이 넘는 경우를 확장 범주 공여자의 기준으로 포함시켰고, 이 경우 이식신 생존율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보고하였다. Nyberg 등[5]은 이를 좀 더 세분화하여 고혈압이 없었던 경우와 고혈압이 있었던 경우 중 이환 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와 5년 이상인 경우로 나누어서 기준을 정의하였고, 고혈압의 유무가 이식 6개월 후의 신장 기능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고하였다. KONOS의 확장 범주 공여자 정의에는 뇌사자의 고혈압 병력 유무에 따른 기준은 없으나, 본 연구에서도 뇌사자의 고혈압 병력이 있었던 집단에서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고혈압의 이환 기간이 길수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낮았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이는 적은 표본수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HLA 불일치 개수가 많을수록 이식 후 신장 기능과 이식신 생존율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본 연구에서는 HLA 불일치 개수에 따라서 이식 수술 후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 등[18]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의 뇌사자 신장 이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HLA 불일치 개수에 따라서는 6개월째 이식신 기능에 차이가 없어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대상의 수가 적었던 것과 짧은 추적기간 및 면역 억제 치료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뇌사자의 사망 원인이 뇌혈관 질환일 경우 DGF 발생 빈도가 높고[24], 수술 후 이식신 기능과 이식 신 생존율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19,23]. 본 연구에서도 뇌사자의 사망 원인이 뇌혈관 질환인 군에서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이 좋지 않았다.
공여자의 인자에 따른 확장 범주 공여자의 정의는 연구에 따라 다양하다. 대부분 UNOS에 의한 기준에 따라 뇌사자의 수술 전 인자와 이에 따른 확장 범주 공여자에 대한 수술 후 성적을 보고하고 있다[7-9,13,23]. Nyberg 등은 이러한 기준을 점수화하여 확장 범주 공여자와 표준 범주 공여자로 구분하였고, 이후 여러 연구에서 이러한 기준에 따라 이식 후 신기능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18,19,25]. UNOS와 Nyberg 등의 확장 범주 공여자 기준에 따라 이식 후 경과를 보면, 확장 범주 공여자에서 신장 기능이 좋지 않았다. 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UNOS와 Nyberg 등의 정의에 따라 이식 수술 후 36개월까지의 이식신 기능을 살펴보면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 KONOS 기준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다른 두 기준에 따른 이식신 기능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슷한 패턴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은 표준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이식과 비교시 이식신과 환자 생존율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10,13,19,22].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여자의 인자에 따른 이식신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또한 KONOS의 확장 범주 공여자 정의에 따라서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UNOS와 Nyberg 기준에 의해서도 생존율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가 생존율을 분석하기에는 분석 기간이 짧고(3년까지의 생존율), 샘플의 수가 적은 것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수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박 등[18]은 뇌사자 신이식 수술 후 6개월 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나이와 이식 전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이 통계적인 의미가 있었으나 뇌사자의 단백뇨에 의해서는 6개월 신기능에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KONOS에서 정의한 확장범주 공여자는 뇌사자의 나이, 크레아티닌 청소율 혹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단백뇨의 유무, 저혈압의 유무, 심정지 환자의 다섯 가지 기준에 따라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 범주 공여자 집단 기준 중 상대적으로 크레아티닌 청소율 혹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에 따른 대상자가 많았고, 다른 원인에 의한 확장 범주 공여자는 수가 적었다. 따라서 저혈압 병력이나 단백뇨에 따른 신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고, 이에 따른 신장 이식에 영향을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신장 이식 대기자의 수가 늘어감에 따라 확장 범주 공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이 증가하고 있다. KONOS의 확장 범주 공여자 정의는 이식 수술 후 신장 기능을 예측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식신 생존율과 환자 생존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향후 더 많은 자료를 통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이성우, 박재윤, 정종철 등. 우리나라 신대체 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지 2010;29:742–751.
crossref pmid

2.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장기이식업무규정 및 지침 [Internet]. Seoul: KONOS, c2010 [cited 2010 Jun 22]. Available from: http://www.konos.go.kr/doc/work.konos (2009. 3).hwp


3.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ation Network (OPTN). Policies; Organ Distribution; Allocation of Deceased Kidneys [Internet]. Richmond: OPTN, c2010 [cited 2010 Jun 22]. Available from: http://optn.transplant.hrsa.gov/PoliciesandBylaws2/policies/pdfs/policy_7.pdf


4. Rosengard BR, Feng S, Alfrey EJ, et al. Report of the crystal city meeting to maximize the use of organs recovered from the cadaver donor. Am J Transplant 2002;2:701–711.
crossref pmid

5. Nyberg SL, Matas AJ, Kremers WK, et al. Improved scoring system to assess adult donors for cadaver renal transplantation. Am J Transplant 2003;3:715–721.
crossref pmid

6. Ojo AO, Hanson JA, Meier-Kriesche H, et al. Survival in recipients of marginal cadaveric donor kidneys compared with other recipients and wait-listed transplant candidates. J Am Soc Nephrol 2001;12:589–597.
pmid

7. Sung RS, Guidinger MK, Leichtman AB, et al. Impact of the expanded criteria donor allocation system on candidates for and recipients of expanded criteria donor kidneys. Transplantation 2007;84:1138–1144.
crossref pmid

8. Stratta RJ, Rohr MS, Sundberg AK, et al. Increased kidney transplantation utilizing expanded criteria deceased organ donors with results comparable to standard criteria donor transplant. Ann Surg 2004;239:688–695; discussion 695-697.
crossref pmid pmc

9. Schold JD, Howard RJ, Scicchitano MJ, Meier-Kriesche HU. The expanded criteria donor policy: an evaluation of program objectives and indirect ramifications. Am J Transplant 2006;6:1689–1695.
crossref pmid

10. Merion RM, Ashby VB, Wolfe RA, et al. Deceased-donor characteristics and the survival benefit of kidney transplantation. JAMA 2005;294:2726–2733.
crossref pmid

11. Alexander JW, Zola JC. Expanding the donor pool: use of marginal donors for solid organ transplantation. Clin Transplant 1996;10:1–19.
pmid

12. Persson MO, Persson NH, Källán R, Ekberg H, Hermerén G. Kidneys from marginal donors: views of patients on informed consent. Nephrol Dial Transplant 2002;17:1497–1502.
crossref pmid

13. Snoeijs MG, Schaubel DE, Hené R, et al. Kidneys from donors after cardiac death provide survival benefit. J Am Soc Nephrol 2010;21:1015–1021.
crossref pmid pmc

14. Wolfe RA, Ashby VB, Milford EL, et al. Comparison of mortality in all patients on dialysis, patients on dialysis awaiting transplantation, and recipients of a first cadaveric transplant. N Engl J Med 1999;341:1725–1730.
crossref pmid

15. McDonald SP, Russ GR. Survival of recipients of cadaveric kidney transplants compared with those receiving dialysis treatmen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1991-2001. Nephrol Dial Transplant 2002;17:2212–2219.
crossref pmid

16. Oniscu GC, Brown H, Forsythe JL. Impact of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on survival in patients listed for transplantation. J Am Soc Nephrol 2005;16:1859–1865.
crossref pmid

17. 공필성, 최인석, 이광웅 등. 사체신이식에서 이식신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체공여자의 위험인자 분석. 대한외과학회지 2001;60:281–287.
crossref pmid

18. 박선주, 김양욱, 윤영철, 강선우, 복춘희, 김영훈. 뇌사자 점수 체계를 이용한 이식신 기능 평가. 대한이식학회지 2009;23:36–42.
crossref pmid pmc

19. Plata-Munoz JJ, Vazquez-Montes M, Friend PJ, Fuggle SV. The deceased donor score system in kidney transplants from deceased donors after cardiac death. Transpl Int 2010;23:131–139.
crossref pmid

20. Vianello A, Mastrosimone S, Calconi G, et al. Influence of donor age on cadaver kidney graft function and survival: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Nephron 1993;65:541–548.
crossref pmid

21. Cantarovich D, Giral-Classe M, Le Sant JN, et al. Renal transplantation from cadaver donors over 60 years old. Clin Transpl 1994;237–242.
pmid

22. Chavalitdhamrong D, Gill J, Takemoto S, et al. Patient and graft outcomes from deceased kidney donors age 70 years and older: an analysis of the organ procurement transplant network/united network of organ sharing database. Transplantation 2008;85:1573–1579.
crossref pmid

23. Port FK, Bragg-Gresham JL, Metzger RA, et al. Dono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reduced graft survival: an approach to expanding the pool of kidney donors. Transplantation 2002;74:1281–1286.
crossref pmid

24. Irish WD, McCollum DA, Tesi RJ, et al. Nomogram for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delayed graft function in adult cadaveric renal transplant recipients. J Am Soc Nephrol 2003;14:2967–2974.
crossref pmid

25. Messina M, Fop F, Gallo E, Tamagnone M, Segoloni GP. Analysis of four scoring systems and monocentric experience to optimize criteria for marginal kidney transplantation. Transplant Proc 2010;42:2209–2213.
crossref pmid

Graft survival after transplantation. ECD, expandedcriteria donor; SCD, standard-criteria donor.
/upload/thumbnails/kjm-80-4-408-8f1.gif
Figure 1.
Patient survival after transplantation. ECD, expandedcriteria donor; SCD, standard-criteria donor.
/upload/thumbnails/kjm-80-4-408-8f2.gif
Figure 2.
(A) Comparisons of recipient estimated GFR among KONOS, UNOS, and Nyberg criteria in the expanded-criteria donors. No differences in GFR were observed when the KONOS criteria were compared with the UNOS and Nyberg criteria. (B) Comparisons of recipient estimated GFR among KONOS, UNOS, and Nyberg criteria in the standard-criteria donor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FR when the KONOS criteria were compared with the UNOS and Nyberg criteria.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KONOS,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UNOS,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upload/thumbnails/kjm-80-4-408-8f3.gif
Figure 3.
Table 1.
Recipient and donor characteristics in 77 cadaveric renal transplants
n = 77 (%)
Recipient characteristics
 Age at transplant (yr, mean ± SD) 42.0 ± 11.3
 Gender (male : female) 31:46
 BMI (kg/m2) 21.0 ± 3.0
 Primary cause of ESRD
  Glomerulonephritis 54 (70.1)
  Hypertension 9 (11.7)
  Diabetes mellitus 5 (6.5)
  Cystic kidney disease 2 (2.6)
  Others 7 (9.1)
 Dialysis duration before transplantation (mon) 87.3 ± 53.6
 Secondary transplant 3 (3.9)
Donor characteristics
 Age (yr, mean ± SD) 40.8 ± 15.6
 Gender (male : female) 54:23
 History of hypertension 20 (26)
 Estimated GFR (mL/min) 81.4 ± 30.9
 Pre-retrieval serum creatinine (mg/dL) 1.20 ± 0.64
 Cold ischemic time (min) 283.7 ± 147.0
 Numbers of HLA-mismatch 3.51 ± 1.66
 CVA as cause of death 41 (53.2)

BMI, body mass index; CVA, cerebrovascular accident;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HLA, human leukocyte antige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Recipient estimated GFR by donor GFR at 1, 6, 12, 24 and 3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Donor GFR ≤ 60 mL/min > 60 mL/min p-value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62.4 ± 19.9
(n = 25)
76.2 ± 23.5
(n = 51)
0.014
6 months 56.7 ± 17.6
(n = 25)
73.0 ± 19.1
(n = 50)
0.001
12 months 59.5 ± 23.3
(n = 21)
72.3±21.2
(n = 49)
0.027
24 months 55.6 ± 22.4
(n = 18)
68.2 ± 29.1
(n = 34)
0.109
36 months 52.7 ± 20.8
(n = 13)
72.0 ± 31.0
(n = 21)
0.056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Recipient estimated GFR by donor age at 1, 6, 12, 24 and 3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Age (yr) < 30 30~39 40~49 50~59 > 60 p-value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77.0 ± 24.8
(n = 16)
80.0 ± 14.8
(n = 13)
79.3 ± 17.7
(n = 19)
61.3 ± 24.6
(n = 26)
37.9 ± 14.3
(n = 2)
0.005
6 months 76.4 ± 21.6
(n = 16)
76.2 ± 14.8
(n = 13)
67.8 ± 16.6
(n = 19)
58.2 ± 20.4
(n = 26)
52.1
(n = 1)
0.015
12 months 80.3 ± 26.4
(n = 16)
73.7 ± 17.0
(n = 10)
66.5 ± 19.8
(n = 18)
60.8 ± 21.3
(n = 25)
53.6
(n = 1)
0.071
24 months 75.2 ± 33.8
(n = 15)
69.4 ± 31.9
(n = 8)
55.8 ± 21.4
(n = 14)
56.9 ± 19.9
(n = 16)
- 0.161
36 months 92.0 ± 19.3
(n = 8)
70.3 ± 25.9
(n = 5)
63.2 ± 20.7
(n = 11)
41.5 ± 21.8
(n = 10)
- 0.001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SD, standard deviation.

Table 4.
Recipient estimated GFR by donor hypertension history at 1, 6, 12, 24 and 3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HTN history None Yes p-value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73.3 ± 22.2 (n = 56) 67.1 ± 25.9 (n = 20) 0.303
6 months 71.1 ± 18.4 (n = 55) 58.0 ± 21.7 (n = 20) 0.011
12 months 71.0 ± 21.9 (n = 51) 61.8 ± 23.1 (n = 19) 0.13
24 months 65.0 ± 28.7 (n = 39) 59.9 ± 23.7 (n = 14) 0.553
36 months 72.7 ± 27.8 (n = 21) 51.6 ± 26.5 (n = 13) 0.037

HTN duration Yes: duration unknown or ≤ 5 yr > 5 yr p-value

1 month 69.8 ± 25.8 (n = 18) 42.5 ± 7.0 (n = 2) 0.164
6 months 60.3 ± 21.6 (n = 18) 37.1 ± 2.3 (n = 2) 0.156
12 months 65.0 ± 22.1 (n = 17) 34.2 ± 10.5 (n = 2) 0.074
24 months 59.9 ± 23.7 (n = 14) - -
36 months 51.6 ± 26.5 (n = 13) - -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HTN, hypertensio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5.
Recipient estimated GFR by numbers of HLA mismatches at 1, 6, 12, 24 and 3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Numbers of HLA mismatches 0 1~2 3~4 5~6 p-value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72.7 ± 21.5 (n = 7) 68.0 ± 19.6 (n = 11) 73.3 ± 22.2 (n = 35) 70.8 ± 27.6 (n = 23) 0.924
6 months 65.0 ± 15.5 (n = 7) 64.7 ± 16.5 (n = 11) 67.9 ± 20.7 (n = 34) 69.3 ± 22.5 (n = 23) 0.919
12 months 65.2 ± 20.0 (n = 6) 60.2 ± 21.3 (n = 10) 69.1 ± 22.3 (n = 32) 72.1 ± 24.3 (n = 22) 0.565
24 months 68.1 ± 36.8 (n = 5) 65.6 ± 20.9 (n = 6) 64.0 ± 30.6 (n = 25) 61.1 ± 23.1 (n = 17) 0.960
36 months 85.6 ± 18.4 (n = 4) 58.4 ± 26.9 (n = 4) 65.3 ± 31.0 (n = 11) 58.0 ± 28.7 (n = 11) 0.393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HLA, human leukocyte antige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6.
Recipient estimated GFR by cause of death at 1, 6, 12, 24 and 3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Cause of death Non-CVA CVA p-value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73.1 ± 26.1
(n = 35)
70.3 ± 20.7
(n = 41)
0.577
6 months 72.3 ± 19.4
(n = 34)
63.7 ± 19.9
(n = 41)
0.064
12 months 72.6 ± 24.0
(n = 33)
64.8 ± 20.7
(n = 37)
0.145
24 months 70.1 ± 28.3
(n = 25)
57.9 ± 25.6
(n = 28)
0.104
36 months 75.6 ± 27.6
(n = 15)
56.0 ± 27.4
(n = 19)
0.048

CVA, cerebrovascular accident;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SD, standard deviation.

Table 7.
Numbers of expaned-criteria donors according to the KONOS criteria
Variables n = 32 (%)
Age ≥ 60 2 (2.6)
GFR ≤ 60 mL/min or serum creatinine ≥ 3.0 mg/dL 25 (32.5)
Hypotensive episode ≥ 3 2 (2.6)
Proteinuria (++) ≥ 2 3 (3.9)
Non-heart beating donor 0 (0)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KONOS,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Table 8.
Baseline characteristics for the expanded-criteria and standard-criteria donor groups according to KONOS criteria
ECD (n = 28) SCD (n = 49) p-value
Recipient characteristics
 Age at transplant (yr, mean ± SD) 42.3 ± 12.5 41.7 ± 10.7 0.852
 Gender (male : female) 10 : 18 21 : 28 0.539
 BMI (kg/m2) 21.2 ± 2.6 21.0 ± 3.3 0.812
 Dialysis duration before transplantation (mon) 82.8 ± 62.2 89.9 ± 48.6 0.577
 Primary transplant (%) 28 (100) 46 (93.9) 0.297
Donor characteristics
 Age (yr, mean ± SD) 46.2 ± 12.6 37.8 ± 16.4 0.022
 Gender (male : female) 18 : 10 36 : 13 0.397
 History of hypertension (%) 9 (7.3) 11 (12.7) 0.351
 Estimated GFR (mL/min) 46.9 ± 16.4 101.1 ± 31.5 <0.001
 Cold ischemic time (min) 298 ± 55 275 ± 143 0.514
 Numbers of HLA-mismatch 3.25 ± 1.74 3.65 ± 1.54 0.294
 CVA as cause of death 18 (64.3) 23 (46.9) 0.142
 Duration after renal transplantation (mon) 38.9 ± 25.3 35.6 ± 21.3 0.547

BMI, body mass index; CVA, cerebrovascular accident; ECD, expanded criteria donor;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HLA, human leukocyte antigen; KONOS,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SCD, standard criteria donor; SD, standard deviation.

Table 9.
Transplantation outcomes according to KONOS criteria
Variables ECD SCD p-value
n = 28 (%) n = 49 (%)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60.9 ± 20.1 (n = 28) 78.0 ± 22.8 (n = 48) 0.002
6 months 57.7 ± 18.0 (n = 27) 73.1 ± 19.1 (n = 48) 0.001
12 months 60.5 ± 23.1 (n = 23) 72.4 ± 21.4 (n = 47) 0.036
24 months 56.8 ± 22.4 (n = 20) 67.8 ± 29.5 (n = 33) 0.155
36 months 49.8 ± 22.7 (n = 14) 75.0 ± 28.6 (n = 20) 0.010
Delayed graft function 6 (21.4) 5 (10.2) 0.194
Graft survival rate 25 (89.3) 42 (85.7) 0.739
Patient survival rate 27 (96.4) 46 (93.9) 1.000

ECD, expanded-criteria donor; KONOS,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SCD, standard-criteria donor; SD, standard deviation.

Table 10.
Transplantation outcomes according to UNOS criteria
Variables ECD SCD p-value
n = 12 (%) n = 65 (%)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48.6 ± 19.6 (n = 12) 76.0 ± 21.3 (n = 64) < 0.001
6 months 47.8 ± 22.7 (n = 11) 71.0 ± 17.6 (n = 64) < 0.001
12 months 49.0 ± 21.6 (n = 11) 72.0 ± 20.9 (n = 59) 0.001
24 months 51.5 ± 27.3 (n = 7) 65.5 ± 27.2 (n = 46) 0.208
36 months 34.2 ± 24.3 (n = 6) 71.2 ± 25.6 (n = 28) 0.003
Delayed graft function 3 (25.0) 8 (12.3) 0.363
Graft survival rate 10 (83.3) 7 (89.2) 0.625
Patient survival rate 11 (91.7) 62 (95.4) 0.500

ECD, expanded-criteria donor; SCD, standard-criteria donor; SD, standard deviation; UNOS,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Table 11.
Transplantation outcomes according to Nyberg criteria
Variables ECD SCD p-value
n = 27 (%) n = 50 (%)

Estimated GFR (mean ± SD)
1 month 59.3 ± 24.8 (n = 27) 78.5 ± 19.3 (n = 49) < 0.001
6 months 57.3 ± 20.0 (n = 26) 73.0 ± 18.0 (n = 49) 0.001
12 months 60.4 ± 21.6 (n = 25) 73.0 ± 21.9 (n = 45) 0.024
24 months 54.4 ± 19.7 (n = 16) 67.7 ± 29.4 (n = 37) 0.105
36 months 42.2 ± 19.3 (n = 12) 76.9 ± 25.8 (n = 22) < 0.001
Delayed graft function 4 (14.8) 7 (14.0) 1.000
Graft survival rate 24 (88.9) 44 (88.0) 1.000
Patient survival rate 26 (96.3) 47 (94.0) 1.000

ECD, expanded-criteria donor; SCD, standard-criteria donor; SD, standard deviation; UNOS,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TOOLS
METRICS Graph View
  • 6,418 View
  • 113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