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79(6); 2010 > Article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 받은 고령 환자들의 최근 10년간 임상양상의 변화

요약

목적:

우리나라에서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이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10년간 PCI를 시행받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들의 임상양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PCI를 시행받은 65세 이상의 3,209명 [남성:여성 1950명(71.4±5.21세):1,359명(72.5±5.47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네 군 간의 임상적 특징, 성별 간의 차이, 관상동맥 조영술 및 PCI 소견의 차이, 시술 후 1년 이내 주요 심장 사고의 발생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지난 10년간 PCI를 시술 받은 고령 환자의 성비는 지속적으로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남성(60.8%):여성(39.2%)]. 평균 연령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위험인자의 경우 고혈압의 유병률은 증가하였으며(p=0.028), 흡연은 감소하였다(p=0.002). 1년 이내 주요 심장 사고의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4), 남성은 여성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001). PCI 후 1년 이내의 주요 심장 사고는 105명(3.27%)에서 발생하였다. 주요 심장 사고의 발생 예측인자로는 여성(p=0.001), 75세 이상의 고령(p=0.008), 고혈압(p=0.049), 당뇨병(p=0.004), 흡연(p=0.009), 시술 후 낮은 TIMI flow (p=0.048) 등이었다.

결론:

PCI를 시술 받은 고령 환자의 평균 연령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고혈압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흡연은 감소하였다. 1년 이내 주요 심장 사고의 발생과 관련된 유의한 인자들은 여성, 고령, 고혈압, 당뇨병, 흡연, 시술 후 낮은 TIMI flow 등이었다.

Abstract

Background/Ai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changes in the clinical patterns of Korean patients over 65 years ofage who receiv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n the past 10 years.

Methods:

In total, 3,209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male:female; 1,950 (71.4±5.21 years):1,259 (72.5±5.47 years)] who underwentPCI between June 1999 and June 2009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ime period. Clinical characteristics,gender differences,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during a 1-year follow-up periodwere compared among the four groups.

Results:

The gender ratio was male-dominant and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over the observed time period [male(60.8):female (39.2%)], but the age increased [1999-2001:2002-2004:2005-2007:2008-2009=71.2±5.11:71.4±5.26:71.9±5.25:72.6±5.57 years; p=0.001].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creased over time (p=0.028), but smoking decreased (p=0.002).Hypertension was the major risk factor for males, whereas obesity was the major risk factor for female patients. MACE-free 1-yearsurvival increased over the observed period (p=0.014). Males had higher survival rates than females (p=0.007). MACE developedin 105 (3.27%) patients during the 1-year follow-up period and predictiv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MACE were being female(p=0.001), old age (p=0.008), hypertension (p=0.049), diabetes mellitus (p=0.004), smoking (p=0.009), and low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TIMI) flow (p=0.048) by a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The age of elderly patients undergoing PCI an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creased, whereas smoking decreasedover the last 10 years. Predictive factors for patients developing MACE during the one-year follow-up were associated withfemale gender,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smoking, old age, and low TIMI flow. (Korean J Med 79:661-672, 2010)

서 론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는 급속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는 실정이다. 2010년 3월 4일 대한민국 통계청이 발표한 ‘2009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09년 대한민국 국민 중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5,193,000명으로 전체 인구 48,747,000명 중 차지하는 비율이 10.7%를 기록하였다1). 이와 같이 고령 인구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 인구의 건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 생활수준 향상 및 평균 연령 상승에 따라 노인인구의 주요 사망 원인 질환의 비율도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2008년도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10만 명당 901.8명의 사망률을 보여 순환기계통 질환이 1위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허혈성 심장 질환은 30년 전만 하더라도 비교적 드문 질환이었지만 현재는 순환기 질환으로 입원하는 환자 중 가장 많은 원인이 되고 있어, 고혈압, 심부전증, 부정맥과 함께 가장 많이 접하는 질환이 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심혈관계 질환 중 허혈성 심장 질환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이 시술되고 있으며, 그 시술 건수는 최근 10년 사이에 6배 이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PCI를 시행하는 빈도도 증가하고 있고, 고령화 사회로 급속히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허혈성 심장병의 발생 위험인자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치료 및 임상 경과를 평가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고령의 남성 및 여성 환자의 위험인자 변화 추이 및 유병률을 분석하고, PCI 시술 1년 후 임상경과를 관찰하여 예후 예측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고령 환자의 허혈성 심장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허혈성 심장 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1999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에서 PCI를 받았던 65세 이상의 3,425명의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고, 정확한 자료 분석이 가능하였던 3,20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71.9±1.39세였으며, 남성은 1,950명(71.4±5.21세), 여성은 1,259명(72.5±5.47세)이었다.

2. 방법

기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1999년 6월 1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기간에 따라서 1999년 6월~2001년 12월, 2002년 1월~2004년 12월, 2005년 1월~2007년 12월, 2008년 1월~2009년 6월 등 4개의 군으로 구분하였다. 각 군 간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위험인자(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 연령, 비만)의 유무 여부를 통하여 위험도별 분류를 시행하였다. 위험도 기준은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분류 기준에 준하여 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조절 및 예방 가능한 인자에 대해 구분하였다. 고혈압의 경우 2010 AHA 가이드라인3)에 따라 수축기 혈압의 경우 140 mmHg 이상을 고도위험군, 130~139 mmHg 사이를 중도위험군, 130 mmHg 미만을 저위험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완기 혈압의 경우 90 mmHg 이상을 고도위험군, 85~89 mmHg 사이를 중도위험군, 85 mmHg 미만을 저위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위험도는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위험도 간에 높은 쪽의 위험도를 택하였다. 당뇨병은 2010년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가이드라인4)에 의하여 HbA1c≧6.5%, 공복 혈당≧126 mg/dL, 75 g 경구당부하검사상 혈중 혈당≧200 mg/dL 이상, 다음, 다뇨, 다갈 등의 고혈당 증상과 임의의 혈당≧200 mg/dL 중 1개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상지질혈증의 허혈성 심장 질환에 대한 위험도 기준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 ATP III) 가이드라인5)에 따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은 70 mg/dL 미만을 저위험군, 71~130 mg/dL를 중등도위험군, 130 mg/dL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나누었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은 40 mg/dL 미만을 고도 위험군, 41~60 mg/dL를 중등도 위험군, 61 mg/dL 이상을 저위험군으로 나누었으며,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은 200 mg/dL 미만을 저위험군, 201~239 mg/dL를 중등도위험군, 240 mg/dL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환자군은 모두 PCI를 시행받았으므로 NCEP ATP III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위험군에 해당되어, 고위험군 중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한 군으로 분류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71 mg/dL 이상의 중등도위험군 이상이거나, Triglyceride 200 mg/dL 이상이면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40 mg/dL 미만인 환자군을 이상지질혈증 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2008 American College of Cardioolgy/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CC/ADA) 가이드라인6)을 바탕으로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도를 가지고 있는 환자군의 목표 지질 농도 도달 여부를 확인하였다. 비만도는 내원 당시 측정한 키와 몸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측정하였다. BMI score 24.9 kg/m2 이하의 정상 체중을 저위험군, 25~29.9 kg/m2 사이의 경도비만을 중도위험군, 30 kg/m2 이상의 고도비만을 고도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7). 허혈성 심장 질환의 중증도 평가를 위해 시술 당시의 진단명에 따라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SAP),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 UAP),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non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등의 순서로 중증도를 구분하였다. 시술 후 임상경과를 평가하기 위해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병변 분류8), 침범한 혈관의 개수 및 삽입된 스텐트 개수를 파악하였고, 시술 성공 여부 및 시술 후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TIMI) flow9)를 분석하였다. 이 환자들의 시술 후 1년 동안 심장 사망, 심근경색증, 재관류술 등의 주요 심장 사고(major adverse cardiac event, MACE)를 관찰하였다.

3. 통계 분석

모든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7.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PC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연속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군 간 비교는 비연속 변수의 경우 카이-제곱 교차분석(Chi-square test), 연속 변수의 경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개 이상의 독립 변수에 대한 분석은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를 우선하여 이용하였으며, 이때 상호작용효과의 유의 여부에 따라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MACE에 대해 유효 위험인자의 분석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p 값은 0.05 미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1. 임상적 특징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남성의 비율이 여성의 비율보다 높았으나, 시간에 따른 성비의 의미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남성(60.8%): 여성(39.2%), p=0.204]. 그러나 평균 연령의 경우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1999~2001년: 2002~2004년: 2005~2007년: 2008~2009년=71.2±5.11세: 71.4±5.26세: 71.9±5.25세: 72.6±5.57세, p=0.001). 위험인자의 유병률의 경우 고혈압은 시간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28), 당뇨병은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흡연의 경우는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002). 진단의학 검사실 소견에서 apoprotein (Apo) A1, ApoB, HDL-C, TC, 중성 지방(triglyceride, TG),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등은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며, BMI도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원 당시 수축기 혈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87), 이완기 혈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술 후 1년 생존율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14, 표 1).
기간별로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평균 연령은 남녀간에 기간의 변화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p=0.204), 흡연(p=0.029)과 BMI (p=0.016) 등은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전체 연령군에서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던 고혈압의 경우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74). 시술 후 생존율에 있어서는 기간에 따라서 성별간의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고 여성에서 낮았다(p=0.007, 표 2).

2. 관상동맥 조영술 및 중재술 소견

관상동맥 조영술 당시 진단명은 4군을 비교하면 STEMI와 UAP는 각각 50.9%에서 26.5%, 35.1%에서 32.4%로서 빈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NSTEM와 SAP은 각각 7.5%에서 26.3%, 6.5%에서 14.8%로 증가하고 있다(p=0.001). 표적 혈관은 좌전하행지(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 우관상동맥(right coronary artery, RCA), 좌회선지(left circumflex artery, LCX), 좌주간지(left main stem, LMS) 순서로 이환되었으며, 기간에 따른 순서의 변화는 없었다. 삽입한 스텐트는 1999~2001년에는 모든 환자에서 일반 금속 스텐트(bare metal stent, BMS)를 시술하였으나, 이후 약물 용출 스텐트(drug eluting stent, DES)의 시술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2008~2009년에는 DES의 시술률이 79.8%로 증가하였다(p=0.002, 표 3).
시술 후 1년간 MACE 발생 없는 생존률은 1999~2001년(96.7%)에 비해 2008~2009년(97.8%)로 호전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p=0.014). 기간 및 성별에 따른 MACE 발생 없는 생존률을 비교하였을 때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높았다(p=0.007, 표 2, 표 4).

3. 임상 경과 관찰

관상동맥 중재술 후 1년 이내에 105명(3.27%)에서 MACE가 발생하였으며, 남성 48명(45.7%), 여성 57명(54.3%)이었고, 평균 연령은 73.3±6.34세로서 생존한 군의 평균 연령(71.8±5.26세)보다 많았다(p=0.004). 고혈압(p=0.002), 당뇨병(p=0.003), 흡연(p=0.001)의 유병률은 MACE가 발생한 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BMI 및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검사실 소견(TC, LDL-C, TG, HDL-C, hsCRP)에서는 양군에
의미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은 양 군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에서 주요 이환된 혈관은 양 군에서 모두 LAD, RCA, LCX, LMS 순서이었으며, 의미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진단명에 있어서도 양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131), 시술 후 TIMI flow는 MACE가 발생한 군에서 TIMI flow가 더 낮았다(p=0.001, 표 5).

4. 주요 심장 사고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

관찰 기간에 따른 MACE의 위험인자의 변화는 1999~2001년은 이환된 혈관(p=0.001), 시술 후 TIMI flow (p=0.001), 내원 당시 낮은 수축기 혈압(p=0.039), 2002~2004년은 여성(p=0.003), 고령(p=0.044), 당뇨병(p=0.041), 흡연(p=0.032), 2005~2007년은 여성(p=0.001), 고혈압(p=0.007), 당뇨병(p=0.012), 흡연(p=0.043), 시술 후 낮은 TIMI flow (p=0.027), 시술 당시 낮은 수축기 혈압(p=0.011), 2008~2009년은 고령(p=0.024) 등이 유의한 MACE의 위험인자였다(표 6).
전체 대상 고령 환자에서 PCI를 시술 받고 1년 이내에 MACE 발생에 관련성이 있는 전반적인 위험인자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 고혈압(140/90 mmHg 이상), 당뇨병, 흡연, 75세 이상의 고령 및 시술 당시 TIMI flow 2점 이하 등이 1년 이내에 MACE의 발생에 관여하는 유의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표 7).

고 찰

최근 10년간 PCI를 시행받은 65세 이상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의 임상양상의 변화 및 치료의 차이와 PCI 소견의 변화 등을 확인하였고, 1년 이내 MACE가 발생한 환자군을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군의 평균 연령 및 고혈압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흡연은 감소하고 있었다. 여성, 고령, 고혈압, 당뇨병, 흡연, PCI 시술 후 낮은 TIMI flow 등이 MACE 발생의 유의한 예측인자이었다.
2007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1998년에는 전체 사망자 240,254명 중 57,439명(23.9%), 1999년에는 전체 사망자 246,539명 중 57,531명(23.3%), 2000년에는 전체 사망자 247,346명 중 58,554명(23.7%)이 순환기계 질환으로 사망하였고, 이 중 1998년 13.2%, 1999년 15.2%, 2000년 17.5%가 허혈성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었으나, 이는 2000년 이후에는 심장 질환으로인한 사망자 중 허혈성 심장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2004년에는 22%, 2005년은 24%, 2006년에 이르러서는 25%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심장 질환은 한국인 4대 사망원인 중 하나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이 급증하고 있고,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의 허혈성 심장 질환이 성인 사망률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10,11). 이에 따라 허혈성 심장 질환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2005년 대한 순환기학회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전국 40여개 대학 병원에서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의 현황에 대한 등록 연구(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KAMIR)가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허혈성 심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2).
지난 10년간 한국에서 PCI를 시술받은 고령 환자에서 남녀 간의 주요 위험인자는 고혈압이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었으나, 기간에 따른 남녀 간의 유병률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령 환자에서 SAP와 NSTEMI 환자는 증가하였고 UAP와 STEMI 환자는 감소하였다. 남성에서는 고혈압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였으며, 여성에서는 비만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였다. 여성에서는 폐경기 이후 발생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 등의 호르몬의 변화와 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체지방 비율이 높은 점이 비만의 원인으로 보고하였다13,14). 시술 후 1년 이내 주요 심장 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0% 정도 높았고, 이는 KAMIR의 연구 결과와 해외에서 보고된 바와 비슷하다2,15-20).
1년 이내 주요 심장 사고로 사망하는 환자군과 생존한 군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사망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사망한 환자군은 생존한 군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망한 군의 임상 진단명에서 심근경색증의 비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1년 이내 주요 심장 사고가 발생하는 환자들에서 고혈압, 당뇨병, 흡연의 유병률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시술 당시 TIMI flow가 낮은 환자들에서도 주요 심장 사고 발생이 높았다. 이를 통하여 75세 이상의 고령, 여성, 고혈압, 당뇨병, 흡연, 시술 당시 TIMI flow 2점 이하 등을 보이는 환자들은 시술 후에도 MACE 발생률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년 동안 관찰 기간에 따른 MACE 위험인자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여성, 흡연, 당뇨병, 고혈압, 시술 당시 낮은 TIMI flow 및 낮은 수축기 혈압 등이 위험인자이었다. 각 기간에 따라 위험인자의 분포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다변량 분석을 통해 위험인자로 확인된 인자들 범위 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Radovanvic과 Erne21)이 1997년부터 2009년까지 31,010명의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던 AMI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Switzerland) study에서도 이와 비슷한 보고를 하였으며, 위험인자로서 평균 연령은 65세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75세 이상이 유의한 위험인자였던 것에 비하여 낮은 연령대를 보였다. 그러나 MACE의 위험인자는 외국의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22,23). Yoo 등24)과 Seldis 등25)은 10년 이상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길어질 경우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장병증 등의 합병증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PCI 시술 후 더 불량한 예후에 영향을 주어 MACE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한 바 있다. AHA 가이드라인4)에서는 수축기 혈압을 130 mmHg 미만으로 조절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ACC/ADA 가이드라인7)에서는 ApoB는 80 mg/dL 미만, Non-HDL은 100 mg/dL 미만으로 조절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KAMIR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인에서 발생하는 69%의 환자에서 NCEP ATP III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이상지질혈증이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26). 따라서 고령 환자에서 철저한 혈압, 혈당 및 혈중 지질 농도의 조절은 생존율 향상에 필요하며, 시술 당시 높은 TIMI flow를 획득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27).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PCI 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점 둘째, 실제 PCI를 받았던 환자들 중 추적 관찰이 되지 않은 환자들이 3,425명 중 216명(6.3%)으로서 비교적 많았다는 점 셋째, 단일 센터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지역적 특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다. 그러나 10년이라는 비교적 오랜 기간 임상양상의 변화 및 관상동맥 중재술 소견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시술 후 1년 이내 MACE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고령의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에서 생존율의 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조절하여야 할 인자를 확인한 점 등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의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에서 주요 위험인자 중 고혈압, 비만이 최근 10년 사이에 10% 정도의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구미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28-30). 따라서 PCI를 시술받은 한국인 고령 환자에서 적절한 약물 치료와 식이 조절 및 꾸준한 운동으로 혈압,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 등을 조절하고, 금연을 할 수 있도록 환자들에게 교육하고 관리하는 일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남성에서는 고혈압, 여성에서는 비만이 증가하는 위험인자이어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를 시행함으로써 고령 환자의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Korea National Stat Office. Social indicators in Korea. 2009.


2. Cho JM, Kim CJ, Shin WS, Cho EJ, Park CS, Kim PJ, Lee JM, Ihm SH, Rhim HY, Chang K, Moon KW, Kim YJ, Jung HO, Kim HY, Park JW, Jin SW, Jeon HK, Oh YS, Yoo KD, Jeon DS, Baek SH, Lee GW, Youn HJ, Lee MY, Chung WS, Park JC, Seung KB, Rho TH, Kim CM, Park IS, Chae JS, Kim JH, Choi KB, Hong SJ.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in Korean patients hospitalized for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J Med 73:142–150, 2007.


3. Rosendorff C, Black HR, Canno CP, Gersh BJ, Gore J, Izzo JL Jr, Kaplan NM, O'Connor CM, O'Gara PT, Oparil S.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for High Blood Pressure Research and the Councils on Clinical Cardiology and Epidemiology and Prevention. Circulation 115:2761–2788, 2007.
crossref pmid

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33(Suppl 1):S62–S69, 2010.


5. Grundy SM, Cleeman JI, Merz CN, Brewer HB Jr, Clark LT, Hunninghake DB, Pasternak RC, Smith SC Jr, Stone NJ.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s. Circulation 110:227–239, 2004.
crossref pmid

6. Brunzell JD, Davidson M, Davidson M, Furberg CD, Goldberg RB, Howard BV, Stein JH, Witztum JL. Lipoprote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ardiometabolic risk: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 Diabetes Care 31:811–822, 2008.
crossref pmid

7. Lee YE, Park JE, Hwang JY, Kim WY. Comparison of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the 1998-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orean J Nutr 42:631–638, 2009.
crossref

8. Anderson JL, Adams CD, Antman EM, Bridges CR, Califf RM, Casey DE Jr, Chavey WE 2nd, Fesmire FM, Hochman JS, Levin TN, Lincoff AM, Peterson ED, Theroux P, Wenger NK, Wright RS, Smith SC Jr, Jacobs AK, Adams CD, Anderson JL, Antman EM, Halperin JL, Hunt SA, Krumholz HM, Kushner FG, Lytle BW, Nishimura R, Ornato JP, Page RL, Riegel B. ACC/AHA 2007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non-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Revise the 2002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Non-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the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and the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endors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and the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J Am Coll Cardiol 50:E1–E157, 2007.
crossref

9. Chesebro JH, Knatterud G, Roberts R, Borer J, Cohen LS, Dalen J, Dodge HT, Francis CK, Hillis D, Ludbrook P.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TIMI) trial, phase I: a comparison between 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and intravenous streptokinase: clinical findings through hospital discharge. Circulation 76:142–154, 1987.
crossref pmid

10. Kim W, Jeong MH, Yeom JH, Kim JH, Rhew JY, Ahn YK, Cho JG, Park JC, Kang JC. A cas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an eighteen-year-old male patient. Korean J Med 63:572–576, 2002.


11. Lim SY, Jeong MH, Yang BR, Kim KH, Shon IS, Hong YJ, Park HW, Kim JH, Kim W, Ahn YK, Cho JG, Park JC, Kang JC. Long-term clinical outcomes after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lder than 75 years. Korean Circ J 35:613–619, 2005.


12. Lee KH, Jung MH, Ahn YK, Kim JH, Chae SC, Kim YJ, Seong IW, Hong TJ, Choi DH, Cho MC, Kim CJ, Chung WS, Jang YS, Cho JG, Park SJ. Sex differences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arly management in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Korean Circ J 37:64–71, 2007.
crossref

13. Sutton-Tyrrell K, Zhao X, Santoro N, Lasley B, Sowers M, Johnston J, Mackey R, Matthews K. Reproductive hormones and obesity: 9 years of observation from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Am J Epidemiol 171:1203–1213, 2010.
crossref pmid pmc

14. Carney PI. Obesity and reproductive hormone levels in the transition to menopause. Menopause 17:678–679, 2010.
crossref pmid

15. Bagur R, Bertrand OF, Rodés-Cabau J, Rinfret S, Larose E, Tizón-Marcos H, Gleeton O, Nguyen CM, Roy L, Costerousse O, De Larochellière R. Comparison of outcomes in patients > or = 70 years versus <70 years after transradial coronary stenting with maximal antiplatelet therapy for acute coronary syndrome. Am J Cardiol 104:624–629, 2009.
crossref pmid

16. Fang J, Alderman MH. Gender differences of revascularization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 J Cardiol 97:1722–1726, 2006.
crossref pmid

17. Aggarwal A, Dai D, Rumsfeld JS, Klein LW, Roe MT. Incidence and predictors of stroke associated with percutaneous coronar intervention. Am J Cardiol 104:349–353, 2009.
crossref pmid

18. Yang B, Choi MJ, Jeong MH, Kim JH, Park WS, Park OY, Kim IS, Rhew JY, Kim W, Ahn YK, Cho JG, Park JC, Ahn BH, Kim SH, Kang JC. The effect of gender on short-and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Korean octogenarians. Korean Circ J 32:864–871, 2002.


19. Lee YS, Jeong MH, Kim KH, Kang DG, Yun KH, Lee SH, Lim SY, Hong SN, Park HW, Hong YJ, Kim JH, Kim W, Ahn YK, Cho JG, Park JC, Kang JC. The relationship between hemoglobin A1c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in nondiabetic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underwent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Korean Circ J 35:369–374, 2005.


20. Kuch B, Wende R, Barac M, von Scheidt W, Kling B, Greschik C, Meisinger C. Prognosis and outcomes of elderly (75-84years)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1-2years after the event: AMI-elderly study of the MONICA/KORA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Int J Cardiol 2010 [Epub ahead of print].
crossref pmid

21. Radovanvic D, Erne P. AMIS Plus: Swiss registry of acute coronary syndrome. Heart 96:917–921, 2010.
crossref pmid

22. Frye RL, August P, Brooks MM, Hardison RM, Kelsey SF, MacGregor JM, Orchard TJ, Chaitman BR, Genuth SM, Goldberg SH, Hlatky MA, Jones TL, Molitch ME, Nesto RW, Sako EY, Sobel BE. A randomized trial of therapies for type 2 diabet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N Engl J Med 360:2503–2515, 2009.
crossref pmid pmc

23. Andron M, Perry RA, Egred M Alahmar AE, Grayson AD, Shaw M, Roberts E, Palmer ND, Stables RH. The impact of diabetes mellitus on two-year mortality following contempor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mplications for revascularization practice. J Interv Cardiol 22:420–426, 2009.
crossref pmid

24. Yoo WS, Kim HJ, Kim D, Lee MY, Chung HK. Early detection of a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J Intern Med 24:183–189, 2009.
crossref pmid pmc

25. Sedlis SP, Jurkovitz CT, Hartigan PM, Goldfarb DS, Lorin JD, Dada M, Maron DJ, Spertus JA, Mancini GB, Teo KK, O’Rourke RA, Boden WE, Weintraub WS. Optimal medical therapy with or withou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chronic kidney disease. Am J Cardiol 104:1647–1653, 2009.
crossref pmid pmc

26. Yoon YE, Rivera JJ, Kwon DA, Chae IH, Jeong MH, Rha SW, Blumenthal RS, Nasir K, Chang HJ.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anel III guidelines performance role in preventing myocardial infarction in a large cohort without a history of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study. Prev Cardiol 12:109–113, 2009.
crossref

27. Savic L, Mrdovic I, Perunicic J, Asanin M, Lasica R, Marinkovic J, Vasiljevic Z, Ostojic M.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occurrence of acute heart failure after successful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 Invasive Cardiol 22:307–311, 2010.
pmid

28. Saguner AM, Dür S, Perrig M, Schiemann U, Stuck AE, Bürgi U, Erne P, Schoenenberger AW. Risk factors promoting hypertensive crise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Am J Hypertens 23:775–780, 2010.
crossref pmid

29. Bejan-Angoulvant T, Saadatian-Elahi M, Wright JM, Schron EB, Lindholm LH, Fagard R, Staessen JA, Gueyffier F.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patients 80 years and older: the lower the bett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Hypertens 28:1366–1372, 2010.
crossref pmid

30. Shenoy C, Orshaw P, Devarakonda S, Harjai KJ. Occurrence, predictors, and outcomes of post-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rombocytopenia In an unselected population. J Interv Cardiol 22:156–162, 2009.
crossref pmid

Table 1.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our observation periods
1999. 6. 1~2001. 12. 31
(n=279)
2002. 1. 1~2004. 12. 31
(n=876)
2005. 1. 1~2007. 12. 31
(n=1277)
2008. 1. 1~2009. 6. 30
(n=777)
p-value
Gender (M/F) 178 (63.8%)/ 521 (59.5%)/ 796 (62.3%)/ 455 (58.6%)/ 0.204
101 (36.2%) 355 (40.5%) 481 (37.7%) 322 (41.4%)
Age (years) 71.2±5.11 71.4±5.26 71.9±5.25 72.6±5.57 0.001
Hypertension (n, %) 81 (55.9) 414 (55.6) 661 (55.7) 437 (62.2) 0.028
Diabetes (n, %) 36 (25.5) 249 (33.6) 388 (32.6) 249 (35.4) 0.137
Smoking (n, %) 43 (32.1) 203 (28.2) 428 (36.1) 179 (25.5) 0.002
BMI (kg/m2) 24.1±3.42 24.3±3.17 24.0±3.23 24.2±3.69 0.346
HbA1c (%) 6.6±1.32 6.6±1.39 6.5±1.46 6.5±1.27 0.452
ApoA1 (mg/dL) 119.1±26.10 119.7±25.74 121.1±25.09 120.9±26.38 0.575
ApoB (mg/dL) 95.3±25.48 95.4±25.05 94.1±25.18 95.6±25.59 0.667
TC (mg/dL) 182.5±41.27 181.6±42.68 185.0±43.20 183.5±48.79 0.485
HDL-C (mg/dL) 45.8±12.30 45.1±12.37 45.2±11.87 45.3±13.17 0.883
LDL-C (mg/dL) 124.5±36.17 118.0±36.25 120.3±33.73 122.1±38.25 0.090
Triglycerides (mg/dL) 126.3±139.60 124.8±104.87 116.8±80.57 123.5±95.66 0.303
hsCRP (mg/dL) 0.9±2.04 1.2±2.82 1.1±2.56 1.1±2.83 0.525
Systolic BP (mmHg) 132.6±22.99 127.9±22.80 129.1±22.45 127.5±19.23 0.087
Diastolic BP (mmHg) 77.8±13.99 76.8±13.43 79.3±13.67 77.7±13.44 0.001
MACE-free survival (n, %) 148 (96.7) 781 (96.8) 1133 (95.1) 682 (97.8) 0.014

BMI, body mass index; HbA1c, hemoglobin A1c; ApoA1, apolipoprotein A1; ApoB, apolipoprotein B;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P, blood pressure;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

Table 2.
Gender differences in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1999. 6. 1-2001. 12.31 (n=279)
2002. 1. 1-2004. 12.31 (n=876)
2005. 1. 1-2007. 12.31 (n=1277)
2008. 1. 1-2009. 6.30 (n=777)
p-value
Male Female Male Female Male Female Male Female
Gender (M/F) 178 (63.8%) 101 (36.2%) 521 (59.5%) 355 (40.5%) 796 (62.3%) 481 (37.7%) 455 (58.6%) 322 (41.4%) 0.204
Age (yrs) 71.2±5.34 71.3±4.70 71.0±5.04 71.9±5.53 71.7±5.23 72.1±5.28 72.4±5.62 72.9±5.49 0.681
Hypertension (n, %) 58 (56.9) 23 (53.5) 281 (59.4) 133 (48.9) 470 (61.8) 191 (44.7) 299 (69.7) 138 (50.4) 0.174
Diabetes (n, %) 28 (27.7) 8 (20.0) 167 (35.3) 82 (30.7) 275 (36.1) 113 (26.4) 173 (40.3) 76 (27.7) 0.463
Smoking (n, %) 39 (40.6) 4 (10.5) 186 (40.3) 17 (6.6) 393 (51.9) 35 (8.2) 166 (38.8) 13 (4.7) 0.029
BMI (kg/m2) 24.1 ±3.49 24.2±3.42 24.0±3.03 25.1±3.41 23.3±2.95 25.5±3.28 23.5±3.29 25.6±4.03 0.016
HbA1c (%) 6.6±1.37 6.6±1.22 6.5±1.32 6.6±1.47 6.5±1.51 6.5±1.39 6.5±1.25 6.4±1.32 0.548
ApoAl (mg/dL) 119.5±26.17 118.5±26.13 118.2±25.50 121.7±26.00 121.7±25.60 120.1 ±24.18 120.6±27.08 121.4±25.33 0.294
ApoB (mg/dL) 95.0±26.04 96.0±24.48 95.2±25.21 95.8±24.82 94.0±25.96 94.5±23.20 95.1±25.84 96.5±25.13 0.044
TC (mg/dL) 183.5±43.26 180.8±37.63 185.2±44.94 176.4±38.69 186.8±42.52 182.0±44.24 181.4±51.26 186.8±44.68 0.042
HDL-C (mg/dL) 45.7±12.07 46.1±12.78 44.2±11.65 46.4±13.24 44.6±11.57 46.3±12.31 44.3±12.44 46.9±14.10 0.741
LDL-C (mg/dL) 122.6±35.36 128.0±37.58 117.0±36.83 119.5±35.40 119.6±38.60 121.4±36.21 122.5±40.36 121.5±34.88 0.731
Triglycerides (mg/dL) 117.8±73.23 141.5±211.76 131.0±117.05 115.8±83.74 117.3±84.78 116.0±72.92 120.5±97.85 128.1±92.25 0.053
hsCRP (mg/dL) 0.7±1.44 1.4±2.83 1.2±2.71 1.4±3.01 1.1 ±2.72 1.2±2.05 1.0±2.51 1.4±3.38 0.530
Systolic BP (mmHg) 130.8±24.12 136.1±20.60 126.0±21.82 130.9±23.98 128.4±21.24 130.2±24.26 127.4±18.94 127.6±19.65 0.215
Diastoic BP (mmHg) 77.8±15.77 78.0±10.09 75.8±13.30 78.4±13.51 78.8±13.02 80.2±14.64 77.9±13.58 77.3±13.26 0.193
MACE-free 1-year survival (n, %) 98 (95.1) 50 (100) 492 (98.2) 289 (94.4) 737 (96.7) 396 (92.1) 418 (97.9) 264 (97.8) 0.007

BMI, body mass index; HbA1c, hemoglobin Aic; ApoAl, apolipoprotein Al; ApoB, apolipoprotein B;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P, blood pressure;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

Table 3.
Clinical diagnosis,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prognosis
1999. 6. 1~2001. 12. 31
(n=279)
2002. 1. 1~2004. 12. 31
(n=876)
2005. 1. 1~2007. 12. 31
(n=1277)
2008. 1. 1~2009. 6. 30
(n=777)
p-value
Diagnosis 0.001
 STEMI (n, %) 142 (50.9) 366 (41.8) 405 (31.7) 206 (26.5)
 NSTEMI (n, %) 21 (7.5) 93 (10.6) 209 (16.4) 204 (26.3)
 SAP (n, %) 18 (6.5) 75 (8.6) 173 (13.5) 115 (14.8)
 UAP (n, %) 98 (35.1) 342 (39.0) 490 (38.4) 252 (32.4)

Infarct related artery 0.001
 LM (n, %) 1 (0.4) 7 (0.8) 32 (2.5) 34 (4.4)
 LAD (n, %) 146 (52.3) 482 (55.2) 697 (55.3) 495 (64.2)
 LCX (n, %) 45 (16.1) 130 (14.9) 196 (15.5) 94 (12.2)
 RCA (n, %) 87 (31.2) 253 (29.0) 334 (26.5) 148 (19.2)

Stent 0.002
 BMS (n, %) 279 (100) 664 (75.8) 272 (21.3) 157 (20.2)
 DES (n, %) 0 (0) 212 (24.2) 1,005 (78.7) 620 (79.8)

TIMI flow grade
 0 (n, %) 3 (2.7) 23 (3.3) 23 (2.0) 61 (8.9)
 1 (n, %) 3 (2.7) 10 (1.4) 11 (0.9) 15 (2.2)
 2 (n, %) 25 (22.3) 58 (8.3) 134 (11.4) 98 (14.3)
 3 (n, %) 81 (72.3) 605 (86.8) 1,003 (85.3) 511 (74.5)

MACE-free survival (n, %) 148 (96.7) 781 (96.8) 1,133 (95.1) 682 (97.8) 0.014

STEMI,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acute non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AP, stable angina pectoris;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LM, left main artery; 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CX, left circumflex artery; RCA, right coronary artery; BMS, bare metal stent; DES, drug eluting stent; TIMI,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

Table 4.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prognosis according to clinical diagnosis
1999. 6. 1-2001. 12. 31 2002. 1. 1-2004. 12. 31 2005. 1. 1-2007. 12. 31 2008. 1. 1-2009. 6. 30 p-value
(n=279)
(n=876)
(n=1277)
(n=777)
STEM NSTEMI UAP SAP STEMI NSTEMI UAP SAP STEM NSTEMI UAP SAP STEMI NSTEMI UAP SAP 0.888
Infarct-related artery
 LM (n,%) 1(0.7) 0(0.0) 0(0.0) 0(0.0) 2(0.5) 3(3.2) 2(0.6) 0(0.0) 10(2.5) 6(2.9) 15(3.1) 1(0.6) 10(4.9) 7(3.5) 12(4.8) 5(4.4)
 LAD (n,%) 73(51.4) 10(47.6) 55(56.1) 8(44.4) 194(53.2) 48(51.6) 195(57.4) 45(60.0) 208(52.0) 117(56.3) 271(56.0) 101(59.8) 119(58.0) 133(65.8) 161(64.4) 82(71.9)
 LCX (n,%) 18(12.7) 6(28.6) 18(18.4) 3(16.7) 55(15.1) 13(14.0) 50(14.7) 12(16.0) 54(13.5) 37(17.8) 81(16.7) 24(14.2) 21(10.2) 30(14.9) 32(12.8) 11(9.6)
 RCA (n,%) 50(35.2) 5(23.8) 25(25.5) 7(38.9) 113(31.0) 29(31.2) 93(27.4) 18(24.0) 128(32.0) 48(23.1) 115(23.8) 43(25.4) 55(26.8) 32(15.8) 45(18.0) 16(14.0)
Stent (BMS/DES) 142(100%)/ 21(100%)/ 98(100%)/ 18(100%)/ 289(79.0)/ 64(68.8%)/ 258(75.4%)/ 53(70.7%)/ 89(22.0%)/ 44(21.1%)/ 110(22.4%)/ 29(16.8%)/ 56(27.2%)/ 42(20.6%)/ 41(16.3%)/ 18(15.7%)/ 0.403
0(0%) 0(0%) 0(0%) 0(0%) 77(21.0%) 29(31.2%) 84(24.6%) 22(29.3%) 316(78.0%) 165(78.9%) 380(77.6%) 144(83.2%) 150(72.8%) 162(79.4%) 211(83.7%) 97(84.3%)
Diameter (mm) 2.98±0.35 2.92±0.25 2.96±0.38 2.94±0.39 3.13±0.30 3.12±0.27 3.17±0.37 3.18±0.37 3.20±0.37 3.21±0.46 3.23±0.42 3.25±0.47 3.25±0.42 3.16±0.36 3.22±0.39 3.19±0.36 0.512
Length (mm) 17.0±4.76 18.85±6.11 16.75±5.22 17.66±4.71 21.53±6.26 23.44±7.02 22.24±6.33 22.90±6.95 24.22±5.99 24.07±6.18 24.26±6.36 23.82±6.68 22.99±6.16 24.00±7.15 23.52±6.89 25.44±17.12 0.097
MACE-free survival (n, %) 73(93.6) 11(100) 55(100) 9(100) 333(95.4) 85(97.7) 301(98.0) 62(96.9) 371(94.9) 190(95.0) 428(96.0) 144(92.9) 191(97.4) 180(98.4) 220(97.8) 91(97.8) 0.782

STEMI,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acute non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SAP, stable angina pectoris; LM, left main artery; 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CX, left circumflex artery; RCA, right coronary artery; BMS, bare metal stent; DES, drug eluting stent;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

Table 5.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ACE during 1-year clinical follow-up
MACE (-)
(n=3104, 96.7%)
MACE (+)
(n=105, 3.3%)
p-value
Gender (M/F) 1745 (63.6%)/999 (36.4%) 48 (45.7%)/57 (54.3%) 0.001
Age (years) 71.8±5.26 73.3±6.34 0.004
Hypertension (n, %) 1538 (58.2) 79 (75.2) 0.002
Diabetes (n, %) 891 (33.8) 64 (61.0) 0.003
Smoking (n, %) 827 (31.7) 52 (49.5) 0.001
BMI (kg/m2) 24.1±3.36 24.6±3.13 0.276
Dyslipidemia (n, %) 1745 (85.3) 73 (86.9) 0.962
ApoA1 (mg/dL) 120.0±25.65 120.0±23.52 0.992
ApoB (mg/dL) 95.0±25.28 93.0±25.15 0.509
HbA1c (%) 6.5±1.38 6.6±1.34 0.390
HDL-C (mg/dL) 45.1±12.37 44.8±10.52 0.841
LDL-C (mg/dL) 120.7±37.71 114.0±30.22 0.05
TC (mg/dL) 183.3±44.38 184.0±43.14 0.890
TG (mg/dL) 120.8±92.96 117.7±78.75 0.734
hsCRP (mg/dL) 1.1±2.72 1.2±2.45 0.789
Systolic BP (mmHg) 128.9±21.59 121.9±27.17 0.008
Diastolic BP (mmHg) 78.5±13.39 75.0±17.89 0.013
Clinical diagnosis 0.131
 STEMI (n, %) 968 (35.3) 46 (43.8) 0.101
 NSTEMI (n, %) 466 (17.0) 15 (14.3) 0.092
 SAP (n, %) 306 (11.2) 15 (14.3) 0.087
 UAP (n, %) 1,004 (36.6) 29 (27.6) 0.124
Infarct-related artery 0.664
 LAD (n, %) 1,571 (57.7) 51 (50.0) 0.551
 LCX (n, %) 400 (14.7) 16 (15.7) 0.627
 LM (n, %) 65 (2.4) 4 (3.9) 0.812
 RCA (n, %) 683 (25.1) 31 (30.4) 0.711
TIMI flow 0.001
 0 (n, %) 103 (4.0) 6 (6.5) 0.001
 1 (n, %) 35 (1.4) 4 (4.3) 0.005
 2 (n, %) 306 (12.0) 4 (4.3) 0.002
 3 (n, %) 2,108 (82.4) 77 (83.7) 0.374

MACE, major adverse cardial event; BMI, body mass index; ApoA1, apolipoprotein A1; ApoB, apolipoprotein B; HbA1c, hemoglobin A1c;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TC,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P, blood pressure; STEMI,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acute non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AP, stable angina pectoris;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CX, left circumflex artery; LM, left main artery; RCA, right coronary artery; TIMI, Thrombolysis In Mycocardiac Infarction.

Table 6.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ACE during 1-year clinical follow-up
1999. 6. 1-2001. 12. 31
2002. 1. 1-2004. 12. 31
2005. 1. 1-2007. 12. 31
2008. 1. 1-2009. 6. 30
MACE (-) MACE (+) p-value MACE (-) MACE (+) p-value MACE (-) MACE (+) p-value MACE (-) MACE (+) p-value
(n=148) (n=5) (n=781) (n=26) (n=1133) (n=59) (n=682) (n=15)
Gender (M/F) 98 (66.2%) / 5 (100.0%)/ 0.113 492 (63.0%)/ 9 (34.6%)/ 0.003 737 (65.0%)/ 25 (42.4%)/ 0.001 418 (61.3%)/ 9 (60.0%)/ 0.919
50 (33.8%) 0 (0.0%) 289 (37.0%) 17 (65.4%) 396 (35.0%) 34 (57.6%) 264 (38.7%) 6 (40.0%)
Age (years) 70.5±5.01 75.0 ±4.52 0.052 71.4 ±5.20 73.5 ±6.90 0.044 71.8 ±5.18 72.5 ±6.13 0.328 72.5 ±5.42 75.7 ±6.50 0.024*
Hypertension (n, %) 73 (57.5) 2 (40) 0.439 400 (56.1) 13 (59.1) 0.158 636 (56.8) 45 (76.2) 0.007 429 (62.9) 7 (46.7) 0.199
Diabetes (n, %) 30 (24.4) 1 (20) 0.822 242 (34.1) 16 (81.0) 0.041 377 (33.6) 47 (82.5) 0.012 242 (35.5) 10 (66.7) 0.863
Smoking (n, %) 39 (33.1) 2 (40) 0.747 199 (28.7) 17 (89.5) 0.032 415 (37.1) 42 (76.4) 0.043 174 (25.6) 4 (26.7) 0.922
Clinical diagnosis 0.174 0.272 0.506 0.944
 STEMI (n, %) 73 (49.3) 5 (100) 333 (42.6) 16 (61.5) 371 (32.7) 20 (33.9) 191 (28.0) 5 (33.3)
 NSTEMI (n, %) 11 (7.4) 0 (0) 85 (10.9) 2 (7.7) 190 (16.8) 10 (16.9) 180 (26.4) 3 (20.0)
 SAP (n, %) 9 (6.1) 0 (0) 62 (7.9) 2 (7.7) 144 (12.7) 11 (18.6) 91 (13.3) 2 (13.3)
 UAP (n, %) 55 (37.2) 0 (0) 301 (38.5) 6 (23.1) 428 (37.8) 18 (30.5) 220 (32.3) 5 (33.3)
Infarct-related artery 0.001 0.804 0.620 0.948
 LAD (n, %) 83 (56.1) 2 (40) 429 (55.1) 15 (57.7) 628 (56.1) 26 (45.6) 431 (63.7) 8 (57.1)
 LCX (n, %) 25 (16.9) 1 (20) 120 (15.4) 2 (7.7) 173 (15.5) 11 (19.3) 82 (12.1) 2 (14.3)
 LM (n, %) 0 (0) 1 (20) 7 (0.9) 0 (0) 27 (2.4) 2 (3.5) 31 (4.6) 1 (7.1)
 RCA (n, %) 40 (27.0) 1 (20) 221 (28.4) 9 (34.6) 289 (25.8) 18 (31.6) 133 (19.6) 3 (21.4)
TIMI flow 0.001 0.521 0.027 0.758
 0 (n, %) 2 (1.9) 1 (20) 22 (3.3) 1 (5.9) 20 (1.8) 9 (15.2) 59 (8.8) 2 (13.3)
 1 (n, %) 2 (1.9) 2 (40) 9 (1.3) 1 (5.9) 10 (0.9) 7 (11.8) 14 (2.1) 1 (6.7)
 2 (n, %) 23 (22.1) 0 (0) 56 (8.2) 2 (11.8) 133 (12.0) 0 (0) 95 (14.2) 2 (13.3)
 3 (n, %) 77 (74.0) 2 (40) 588 (87.1) 13 (76.5) 945 (85.0) 43 (72.8) 498 (74.7) 10 (66.7)
BMI (kg/m2) 24.4±3.53 22.19±0.01 0.543 24.3 ±3.18 23.1 ±3.10 0.419 23.9 ±3.24 25.1 ±2.97 0.038* 24.2 ±3.70 23.3 ±4.23 0.569
HbA1c (%) 6.5±1.29 6.15 ±1.00 0.543 6.6 ±1.38 6.7 ±1.05 0.739 6.5 ±1.45 6.8 ±1.51 0.267 6.5 ±1.27 6.4 ±1.31 0.842
Dyslipidemia (n, %) 101 (89,4) 3 (75.0) 0.368 508 (86.0) 22 (95.7) 0.184 718 (87.7) 36 (83.7) 0.446 453 (86.9) 12 (85.7) 0.893
ApoA1 (mg/dL) 116.7±23.72 111.6 ±21.41 0.670 119.0 ±25.49 113.1 ±24.49 0.271 121.2 ±25.44 125.4 ±22.69 0.284 119.8 ±26.51 116.6 ±23.06 0.646
ApoB (mg/dL) 95.0±25.20 86.0±14.08 0.430 95.6 ±24.92 89.7 ±27.84 0.287 94.2 ±25.21 24.0 ±26.38 0.961 95.4 ±25.84 99.4±18.72 0.623
TC (mg/dL) 181.6±38.22 188.75 ±32.04 0.713 181.5 ±43.05 182.2 ±44.67 0.938 185.0 ±43.59 188.4 ±43.72 0.621 183.2 ±48.16 172.2 ±43.25 0.399
HDL-C (mg/dL) 46.8±13.54 45.5 ±11.98 0.843 44.8 ±12.07 46.9 ±9.05 0.394 45.1 ±11.83 43.0 ±11.23 0.241 45.0±13.23 47.0±10.10 0.562
LDL-C (mg/dL) 125.7±35.54 95.7 ±45.02 0.103 118.6 ±36.91 113.2 ±19.69 0.482 120.8 ±38.03 113.5 ±32.81 0.208 121.7 ±38.48 122.0 ±31.66 0.978
Triglyceride (mg/dL) 116.3 ±72.09 137.25 ±148.76 0.585 125.4±107.07 121.3 ±109.93 0.856 117.3 ±80.97 108.8 ±57.07 0.501 122.0 ±97.25 133.8 ±53.32 0.651
hsCRP (mg/dL) 0.9±2.02 0.3 ±0.30 0.516 1.2 ±2.90 1.5 ±1.92 0.646 1.1 ±2.58 1.1 ±3.02 0.980 1.1 ±2.84 1.4 ±1.47 0.772
Systolic BP (mmHg) 134.3 ±23.44 109.2 ±21.65 0.039* 128.2 ±22.62 120.7 ±27.76 0.107 129.7 ±22.09 121.7 ±28.44 0.011* 127.5 ±19.16 128.0 ±23.39 0.931
Diastoic BP (mmHg) 79.2±13.94 74.2 ±9.60 0.481 77.1 ±13.22 73.7 ±18.85 0.218 79.6 ±13.35 76.1 ±18.86 0.069 77.8 ±13.41 73.4 ±15.37 0.203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STEMI,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acute non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AP, stable angina pectoris; UAP, unstable angina pectoris; LA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CX, left circumflex artery; LM, left main artery; RCA, right coronary artery; BMI, body mass index; HbA1c, hemoglobin A1c; ApoA1, apolipoprotein A1; ApoB, apoli-poprotein B;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P, blood pressure.

Table 7.
Multivariabl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MACE during 1-year clinical follow-up
Confidence Interval
Odds ratio Lower Upper p-value
Female 2.187 1.984 2.218 0.001
Diabetes 2.478 2.231 2.614 0.004
Older age (75 years) 2.732 2.413 3.137 0.008
Smoking 3.658 3.427 3.894 0.009
Low TIMI flow (2) 1.403 1.219 4.235 0.048
Hypertension (140/90 mmHg) 1.551 1.351 4.517 0.049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TIMI,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TOOLS
METRICS Graph View
  • 6,757 View
  • 138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