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79(5); 2010 > Article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치료

Abstract

Recently,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highly prevalent even in Korea, which has the potential to progress to cryptogenic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t is not only regarded as a hepatic compon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but also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and a marker for increase in cardiovascular disease. We should keep in mind the NAFLD is a “treatable and have to treat” disease to prevent early death from liver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Weight loss via lifestyle modification remains the most common and fundamental therapy advocated for reducing hepatic lipid in NAFLD.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exercise or physical activity beneficially modulates liver fat independent of weight loss. Although reduced total calorie intake potentially plays a role in the treatment of NAFLD, dietary macronutrient composition may also play a role. Low-carbohydrate and low-fructose diets are of particular benefit to reduce steatosis and improve biochemical tests. Polyunsaturated fatty acid (n3-PUFA)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may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increase liver fat. Limitation of Saturated fat and trans-fatty acids intake is very recommendable. Even lifestyle modifications continued to be the cornerstone of therapy in NAFLD, some insulin-sensitizing drug may be a more effective means in the treatment of NAFLD. Vitamin E and statins have demonstrated promising initial results in improving liver enzymes or features of liver histology. Bariatric surgery is very useful treatment option for morbidly obese NAFLD patients. However, weight loss medication is not recommended which have shown varying degrees of side effects for the treatment of NAFLD. (Korean J Med 79:481-489, 2010)

서 론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하, 지방간질환으로 함)은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서구 여러 나라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질환이며, 최근의 여러 보고에 의하면 간경변증, 간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질환이다1-7). 그러나 아직까지 일반 사람들이나 심지어 이러한 질환을 치료해야 되는 의사들도 “치료를 왜 해야 하는가? 혹은 치료를 꼭 해야만 하는가?” 라는 환자의 물음에 자신 있게 치료해야 한다고 대답하는 내과의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것은 지방간 질환이 천천히 나빠지고,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특성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직까지 치료의 당위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연구 결과)가 부족한 이유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간질환이 심한 간질환을 유발하고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것이 벌써 10년이 넘었다8).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지방간질환이 대사증후군의 일부분으로 생각되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는 실정이다9-12). 따라서 간질환의 진행, 심혈관 질환의 악화 등에 의한 유병률, 사망률을 억제하기 위해 지방간질환의 적절한 치료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방간질환의 적절한 치료 시작시점은 아직까지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면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간경변증이 없는 지방간염 환자가 주된 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단순 지방간과 지방간염을 조직검사 없이 감별하기가 쉽지 않으며, 지방간질환에 의한 간경변증도 치료 후에 호전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치료 시작시점을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13). 따라서 현재까지는 임상적으로 지방간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가능한 빠른 시기(단순지방간, 지방간염)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종설에서는 최근까지 지방간질환의 치료로 연구되었던 ‘생활습관의 개선’ 중에서 임상적으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체중감소, 운동, 식이요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약물치료’에서는 최근에 연구가 활발하였던 thiazolidinedione(TZD), vitamin-E, ursodeoxychilic acid (UDCA)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생활습관의 변화(life style modification)

1) 체중감소(weight loss)

지방간질환의 주된 발병기전은 간내 지방의 축적(steatosis)에서 출발한다14). 따라서 간내 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은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체중감소는 지방조직, 근육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간으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의 유입을 적게 하며, 간에서 새로운 지방산의 생산을 억제하여 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고 간기능(ALT)을 호전시킨다. 최근 간내 중성지방을 조직검사 없이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H-MR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체중이 약 2.6% 감소할 경우 간내 중성지방은 약 20%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어 체중의 감소와 간내 지방의 감소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5). 체중감소는 6개월 동안, 1주에 500 gm에서 1 kg을 감량하여 치료 시작 당시 체중의 10% 감량을 목표로 한다. 체중감소 효과는 연구에 따라 다른데, 적게는 3%에서 많게는 10%의 체중감소로 간내 중성지방의 감소와 간조직 검사에서 간내염증 및 섬유화의 호전을 보였다16-19). 너무 짧은 기간에 많은 양의 체중감소는 오히려 간내 염증이나 섬유화를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체중감소는 음식, 운동 등의 생활습관의 개선 혹은 체중감소를 위한 약물이나 수술(bariatric surgery)하는 방법이 있다.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한 체중감소는 가장 인체 생리에 맞으면서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적절한 치료방법이긴 하지만 치료 받은 환자의 80% 내외에서 1~3년 이내에 원래 체중으로 돌아와 체중감소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보고가 있었다20). 따라서 최근에는 영양사, 심리학자, 운동요법 트레이너(exercise supervisor) 등과 함께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행동치료를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지방간질환을 치료하자는 주장도 있는 실정이다21).
식이조절이나 운동은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고 여기서는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약물과 수술 요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체중감소 약물(weight loss medication)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약제는 orlistat (Xenical®), sibutramine(Reductil®), rimonabant (Acomplia®) 등이다.
Orlistat는 위와 췌장에서 분비되는 lipase를 억제하여 지방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중감소를 유도한다. 지방간질환에서 체중감소와 함께 ALT의 감소, 간내 지방의 감소, 섬유화 호전 등의 소견을 보이나 심한 지방변(steatorrhea), oily spotting 등으로 지속복용이 어렵고(compliance 감소) 장기간 복용 시에 지용성 비타민 결핍 등이 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22-24).
Sibutramine은 norepinephrine과 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을 억제하여 체중을 조절한다. 지방간질환에서 orlistat과 비슷한 효과를 얻었으나, 심혈관계 및 뇌혈관 질환의 부작용으로 유럽에서 사용이 금지되었고, 미국 FDA에서는 경과기간을 두고 사용하면서 관찰하기로 결정되었으나 회사에서 자진 철수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식약청에서도 처방을 규제하기로 하였다.
Rimonabant는 음식섭취와 체중조절에 관여하는 endocannabinoid(EC)계에서 cannabinoid-1 receptor (CB1)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여 체중을 감소시킨다25). 지방간질환에서 체중감소와 함께 중성지방의 감소, ALT의 호전 등을 보고한 연구가 있어 장기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었으나 최근 심한 정신 질환(우울증, 자살) 등의 부작용으로 연구가 중지되었다26-28). 현재 유럽에서는 사용이 중지되었고, 미국 FDA에서는 통과되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체중감소 약물을 이용한 지방간질환의 치료는 권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 수술 요법(bariatric surgery)

BMI (body mass index) > 35 kg/m2 이상인 환자가 대상이며, 가장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치료로 입증되어 있다29-32). 비만수술요법으로는 1) 조기포만감을 유도하여 음식섭취를 줄이는 시술(gastric banding) 2) 소장을 우회시켜 흡수 불량을 유도하는 시술(jejunoileal bypass) 3) 위 두 가지 모두의 효과를 얻기 위한 시술(Roux-en-Y gastric bypass, bilopancreatic diversion)이 있다.
최근에는 복강경을 이용한 gastric banding 시술이 덜 침습적이면서 수술 후 발생되는 영양결핍 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효과적인 수술법으로 알려져 있다33). 수술 후 장기간 관찰에서도 간내 지방뿐 아니라 섬유화도 80% 환자에서 호전되었다는 보고가 있다34).

2) 식이조절(diet)

식이조절을 통한 지방간질환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저칼로리 식이(hypocaloric diet)이다. 단기간의 저칼로리 식이라도 체중 변화 없이 간내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켜 간기능의 호전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35). 기본적으로 섭취하던 양에서 매일 500~1,000 칼로리를 적게 조정하거나, 영양사와 상의하여 비만한 여자는 1,000~1,200, 남자는 1,200~1,600 칼로리를 유지하게 하여 체중감소를 유도한다16,36,37).
지방간질환에서 탄수화물(carbohydrates)이 전체 칼로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을수록 간내 지방이 감소하고 간기능이 호전된다는 연구가 있으나, 극단적인 탄수화물의 감소보다는 전체 칼로리의 50~60%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38). 저탄수화물 식이는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탄수화물 섭취가 많은 나라에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는 환자들에게 저녁식사에서 ‘밥’ 양을 반으로 줄일 것을 권한다. 탄수화물 중에서 최근 문제가 되는 것은 과당(fructose)이다39). 과당은 포도당(glucose)이나 자당(sucrose)보다 인슐린 분비가 적어 간내 지방의 축적을 증가시킨다40). 과당은 대부분의 음료수나 과자 등의 인스턴트 식품에 맛을 내는 성분(high-fructose corn syrup, HFCS)으로 이러한 식품들의 과다 섭취는 지방간 질환을 유발하거나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섬유화를 악화시킬 수 있다41,42).
고지방(high-fat diet) 식이는 잘 알려진 대로 간내 지방을 증가시키고 지방간염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43). 포화지방(saturated fat)은 당뇨, 심혈관 질환,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동물실험에서 SREBP, ER stress 등을 촉진시켜 간세포에 염증이나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4). 그러나 사람에서 포화지방 식이에 의한 간내 지방의 증가는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것은 포화지방의 증가와 그에 따른 칼로리의 증가에 의한 영향을 완전히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트랜스 지방산(trans-fatty acid)은 한 개 이상의 이중 결합(double bond)을 갖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액체 상태의 불포화 지방산을 반고체 상태로 만들 때 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소를 첨가(hydrogenation)해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인공적인 지방산이다. 대표적으로 쇼트닝(shortening oil, 경화유), 마가린(margarine) 등이다. 이들은 주로 튀김, 마요네즈, 수프, 케이크, 쿠키, 아이스크림, 햄, 소시지 등을 만들 때 이용되며, 당뇨, 심혈관 질환 유발과 관련이 입증되어 있다45). 실험동물에서는 트랜스 지방산의 과다한 섭취가 간내 지방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사람에서의 직접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견과류나 생선에 많은 오메가-3 혹은 n-3고도 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과 올리브, 해바라기씨 등에 많은 단일 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은 지방간질환에서 지방산의 생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하여 간내 지방 축적을 예방한다46-48). 최근 한 연구에서 매일 2 gm의 n-3 PUFA를 복용한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내 지방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49). MUFA의 섭취는 복부 지방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킨다는 보고가 있었다50). 그렇지만 지방간질환 환자들에게 치료 목적으로 이러한 n-3 PUFA 등의 지속적인 투약은 제조 회사마다 순도나 용량 등이 일정하지 않고, 아직도 명백한 증거가 부족해 좀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 후에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간질환에서 식이 단백질(protein)에 의한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고단백식이가 고칼로리/고지방 식이보다는 간내 지방침착이 적었고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51).
결론적으로 지방간질환 환자는 저칼로리의 저탄수화물, 저지방 음식을 기본으로, n-3 PUFA나 MUFA 등이 많이 포함된 식품의 섭취를 늘리고, 포화지방산, 트랜스 지방산, HFCS 등이 많이 포함된 음식은 피해야 한다52).

3) 운동(physical activity, exercise)

지방간질환의 치료에서 중요한 체중감소를 위해서는 식이조절과 함께 운동(exercise)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동이 부족한 사람이나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서 지방간의 유병률이 높았고, 식이조절을 통한 체중감소 없이 운동만으로도 간내 지방의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의 호전 등을 보인 연구 결과가 있었다53-56). 우리가 흔히 하는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은 지방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유리지방산의 생성을 감소시켜 간으로 지방산의 유입을 감소시키고, 간내에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지방산의 산화(mitochondrial β-oxidation)를 증가시켜 중성지방이 만들어지는 양을 줄인다57). 또한, 중성지방을 배출시키는 VLDL의 분비를 촉진하여 간 밖으로 중성지방의 배출을 돕는다. 결과적으로, 내장지방(visceral adipose tissue)의 부피(volume)가 줄고 간내 중성지방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운동의 강도나 시간 등은 ACS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에서 권고한 심폐 단련(cardiorespiratory fitness) 프로그램을 제안한다58). 1) 운동 빈도: 3~5일/주 2) 강도: 최대 심박수(HRmax)의 55/65~90% 혹은 최대 산소 흡수 능력(V·O2R)의 40/50~85% 3) 시간: 하루에 20~60분을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운동 4) 운동 방식: 큰 근육들을 사용하는 리드미컬하고 유산소 성격의 모든 운동, 예) 걷기-하이킹, 달리기-조깅, 자전거타기, 에어로빅 댄스, 조정(rowing), 계단 오르기, 수영, 스케이트 타기 등이다. 일반적으로 중간 이상의(최대 심박수의 60~70% 정도) 강도로 주(week)에 150분 이상의 운동을 권한다. 운동의 종류는 유산소 전신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역기 등을 이용해서 근육운동을 하는 저항력 훈련(resistance training)도 체중감소 없이 지방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9). 또한 지속적인 저강도의 신체 활동(정원가꾸기, 가사노동, 요가 등)이나 최대한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아주 짧은 시간(약 10~ 30초) 동안 5~8회 반복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있다58-60).
운동만으로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최소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운동이 필요하며, 식이조절 없이 운동만으로 체중을 줄여서 지방간을 치료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우며 지속하기도 매우 어렵다58). 따라서 각자에 맞는 지속 가능하고 재미있는 운동을 선택하여 식이조절과 병행하여 꾸준히 할 수 있도록 운동 트레이너와 영양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21,57).

2. 약물치료(insulin sensitizers, anti-oxidants, lipid-lowering agents, and others)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지방간질환의 가장 중요한 치료는 ‘생활습관의 개선’에 의한 치료지만, 운동, 식이조절, 체중감량 등에 오랜 시간과 많은 참을성을 필요로 하여 치료성공 가능성이 떨어진다. 또한 치료에 성공하였던 대부분의 환자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의 생활습관으로 돌아갈 정도로 지속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약물을 이용한 지방간질환의 치료를 시도하게 되었다. 단편적으로 많은 연구가 되었지만,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서는 최근까지 비교적 안전하고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약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인슐린 저항성 개선 약물(insulin sensitizers)

대표적인 약물로 thiazolidinediones (TZDs, rosiglitazone, pioglitazone) 등과 metformin이다.
TZDs는 PPAR-γ agonist로 지방조직과 근육, 간에서 인슐린저항성 개선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adipokine 분비를 촉진하여 간내 지방을 감소시키고, 동물실험에서 간내 섬유화를 유발하는 간 성상세포의 활성화와 콜라젠 합성을 억제시키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61). 1999년 rosiglitazone, pioglitazone 등이 당뇨 치료 목적으로 허가를 받았으며 2001년부터 지방간질환 특히 지방간염에 대한 치료제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초기 연구에서는 1년 치료로 조직검사에서 간내 지방, 염증, 섬유화 등에서 모두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지방 및 염증 소견은 호전되었으나 섬유화의 호전은 없었다는 연구가 대부분이다62-64). 또한 1년간 치료 후에 중단하면 짧은 시간에 다시 치료 전 상태로 돌아가는 단점이 있어 장기 치료가 필요한 약제로 생각되었다65). 그러나 Ratziu 등은 지방간염 환자에서 rosiglitazone으로 2년간 치료한 후에도 간내 지방의 감소 및 염증 등은 1년 치료와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여, 장기 치료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였다66). TZDs의 부작용으로는 체중 증가(70% 환자에서 2~6 kg)가 가장 흔하며, 하지 부종, 근육 경련, 장기간 사용 시에 골절 위험의 증가와 함께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등이 보고되어 있다. Rosiglitazone (상용량 8 mg, Avandia®)과 pioglitazone (30~45 mg, Actos®)은 작용기전이 거의 동일 하지만 rosiglitazone은 울혈성 심부전을 경험했다는 보고가 있는데 반해서, pioglitazone은 혈중 HDL을 높이고 LDL은 감소시키며, 오히려 심혈관계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조직검사에서 확인된 지방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rosiglitazone 4 mg (일반적인 지방간염 치료 용량의 1/2)으로 단기간 사용하였더니 경미한 체중 증가와 함께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ALT의 호전을 경험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치료 기간, 치료 용량,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인자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지만, 더 좋은 약제가 나오거나 혹은 지방간질환의 새로운 병리기전이 나타나기 전까지 TZDs는 인슐린 저항성이 확인된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매우 유용한 약물로 생각된다67). 최근 rosiglitazone은 우리나라 식약청에서 부작용 우려에 따른 사용 중지 권고가 있어 앞으로 지방간질환 치료제로 선택에 제한을 받게 되었다.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metformin은 간과 근육에서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고, 간내 AMPK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켜 간에서 새로운 지방의 생산을 억제하여 지방간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68,69). 초기에는 당뇨병을 동반한 지방간질환 환자의 치료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도 간내 지방의 감소, ALT의 정상화를 보였다70). 그러나 metformin (1,500~2,000 mg)의 치료 효과에 대한 보고는 연구자마다 다르며, 장기 치료도 단기 치료보다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연구도 있다71). 따라서 현재까지는 당뇨가 있는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다른 치료와 함께 병합 치료제의 한 가지로 metformin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항산화제(anti-oxidants)와 간세포 보호제

항산화제는 지방간질환을 악화시키는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감소시키고 간내 염증을 줄일 것으로 생각되어 사용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약제는 치료효과를 입증할 만한 대규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비타민 E (알파 토코페롤)는 소규모 연구에서 지방간 치료에 효과가 없다는 보고와 함께 장기간 사용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가 있어 지방간질환의 치료에 적절치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72). 그러나 최근 지방간염 환자에서 비타민 E와 pioglitazone의 효과를 비교한 장기간의 연구에서 비타민 E가 pioglitazone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부작용도 적다는 보고가 있었다73). 이러한 연구가 몇 차례 더 발표된다면, 앞으로 비타민 E가 지방간질환의 치료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세포 보호제로 대표적인 약물이 UDCA (urosodeoxycholic acid)다. UDCA는 여러가지 기전으로 지방간질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고, 특히 고용량을 장기간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 때문에 지방간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연구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였으며, 최근 고용량(23~28 mg/kg)의 UDCA 치료에서도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74,75). 그렇지만, 장기간 서서히 진행하는 지방간질환의 특성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작용기전이 다양한 UDCA를 아직도 많은 수의 지방간 연구자들이 완전히 포기하지 못하고 처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UDCA의 단독치료보다는 pioglitazone 등이나 다른 약제들과의 병합치료를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76).

3) 고지혈증 치료제(lipid-lowering agents)

과거에는 gemfibrozil, fenofibrate 등의 fibrate 계열의 약제가 연구되었으나, 최근에는 HMG-CoA reductase인 statin (atorvastatin, pravastatin, rosuvastatin)이 주목을 받고 있다. Statin이 지방간질환에서 ALT를 정상화시키고 간내 지방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반대로 간기능 이상을 초래한다는 보고도 있어 사용이 조심스러웠다77,78). 그러나 최근에는 statin 복용으로 인한 간기능 악화는 단순히 경미한 ALT의 상승뿐이고 심한 간손상은 거의 없으므로 약간의 ALT 상승에도 지속 처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79). 현재까지는 지방간질환 치료에서 statin에 대한 결정적이고 결론을 내릴 만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고지혈증을 동반한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다른 약제와 병합투여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기타 약제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losartan 등)는 지방간염 환자에서 간내 섬유화와 염증을 줄여준다는 연구가 있어 고혈압이 동반된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약제이다80).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오메가-3 fatty acid)는 ALT 및 중성지방을 낮추어 주고 간내 지방을 감소시킨다49). 그러나 아직 치료제로 단독으로 처방하기에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결 론

단순지방간, 지방간염은 치료가 가능한 만성질환이다. 지방간의 치료는 단기적으로는 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개선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을 예방하여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반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생활습관의 변화를 통한 체중감소, 운동, 식이조절이 치료의 근간을 이루며, 약물치료는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기저 질환이 동반된 경우나 지방간염으로 진단된 경우에 추천되며 고도비만이 동반된 환자는 비만수술이 효과적이다.
앞으로 치료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힘든 운동이나 식이요법 등을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학제적인(multi-disciplinary) 치료가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장기 치료에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제가 개발될 것을 기대해 본다.

REFERENCES

1. Clark JM, Brancati FL, Diehl AM. The prevalence and etiology of elevated aminotransferase levels in the United States. Am J Gastroenterol 98:960–967, 2003.
crossref pmid

2. Falck-Ytter Y, Younossi ZM, Marchesini G, McCullough AJ. Clinical features and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steatosis syndromes. Semin Liver Dis 21:17–26, 2001.
crossref pmid

3. Park SH, Jeon WK, Kim SH, Kim HJ, Park DI, Cho YK, Sung IK, Sohn CI, Keum DK, Kim BI.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terol Hepatol 21:138–143, 2006.
crossref pmid

4. Starley BQ, Calcagno CJ, Harrison S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a weighty connection. Hepatology 51:1820–1832, 2010.
crossref pmid

5. Kawada N, Imanaka K, Kawaguchi T, Tamai C, Ishihara R, Matsunaga T, Gotoh K, Yamada T, Tomita Y. Hepatocellular carcinoma arising from non-cirrhotic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J Gastroenterol 44:1190–1194, 2009.
crossref pmid

6. Michitaka K, Nishiguchi S, Aoyagi Y, Hiasa Y, Tokumoto Y, Onji M. Etiology of liver cirrhosis in Japan: a nationwide survey. J Gastroenterol 45:86–94, 2010.
crossref pmid

7. Oh KC, Park SH, Park JC, Jin DK, Park CS, Kim KO, Jang HJ, Lee JY, Park CH, Han TH, Yoo KS, Kim JH, Kim DJ, Lee MS, Park CK. Is the prevalence of cryptogenic hepatocellular carcinoma increasing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45:45–51, 2005.
pmid

8. Ekstedt M, Franzén LE, Mathiesen UL, Thorelius L, Holmqvist M, Bodemar G, Kechagias S.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NAFLD and elevated liver enzymes. Hepatology 44:865–873, 2006.
crossref pmid

9. Targher G, Bertolini L, Poli F, Rodella S, Scala L, Tessari R, Zenari L, Falezza 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risk of future cardiovascular events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es 54:3541–3546, 2005.
crossref pmid

10. Kim HJ, Kim HJ, Lee KE, Kim DJ, Kim SK, Ahn CW, Lim SK, Kim KR, Lee HC, Huh KB, Cha BS. Metabolic significa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nonobese, nondiabetic adults. Arch Intern Med 164:2169–2175, 2004.
crossref pmid

11. Choi SY, Kim D, Kang JH, Park MJ, Kim YS, Lim SH, Kim CH, Lee H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rel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o carotid atherosclerosis. Korean J Hepatol 14:77–88, 2008.
crossref pmid

12. Targher G, Day CP, Bonora 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363:1341–1350, 2010.
crossref pmid

13. Kral JG, Thung SN, Biron S, Hould FS, Lebel S, Marceau S, Simard S, Marceau P. Effects of surgical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on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Surgery 135:48–58, 2004.
crossref pmid

14. Day CP, James OF. Steatohepatitis: a tale of two "hits"? Gastroenterology 114:842–845, 1998.
crossref pmid

15. Tamura Y, Tanaka Y, Sato F, Choi JB, Watada H, Niwa M, Kinoshita J, Ooka A, Kumashiro N, Igarashi Y, Kyogoku S, Maehara T, Kawasumi M, Hirose T, Kawamori R. Effects of diet and exercise on muscle and liver intracellular lipid contents and insulin sclsitiv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90:3191–3196, 2005.
crossref pmid

16. Ueno T, Sugawara H, Sujaku K, Hashimoto O, Tsuji R, Tamaki S, Torimura T, Inuzuka S, Sata M, Tanikawa K. Therapeutic effects of restricted diet and exercise in obese patients with fatty liver. J Hepatol 27:103–107, 1997.
crossref pmid

17. Palmer M, Schaffner F.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hepatic abnormalities in overweight patients. Gastroenterology 99:1408–1413, 1990.
pmid

18. Kantartzis K, Thamer C, Peter A, Machann J, Schick F, Schraml C, Königsrainer A, Königsrainer I, Kröber S, Niess A, Fritsche A, Häring HU, Stefan N. High cardiorespiratory fitness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he reduction in liver fat during a lifestyle interventio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ut 58:1281–1288, 2009.
crossref pmid

19. Hickman IJ, Jonsson JR, Prins JB, Ash S, Purdie DM, Clouston AD, Powell EE. Modest weight loss and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results in sustained improvements in alanine aminotransferase, fasting insulin, and quality of life. Gut 53:413–419, 2004.
crossref pmid pmc

20. Franz MJ, VanWormer JJ, Crain AL, Boucher JL, Histon T, Caplan W, Bowman JD, Pronk NP. Weight-loss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weight-loss clinical trials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 J Am Diet Assoc 107:1755–1767, 2007.
crossref pmid

21. Bellentani S, Dalle Grave R, Suppini A, Marchesini G. Behavior therapy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need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epatology 47:746–754, 2008.
crossref pmid

22. Harrison SA, Ramrakhiani S, Brunt EM, Anbari MA, Cortese C, Bacon BR. Orlistat in the treatment of NASH: a case series. Am J Gastroenterol 98:926–930, 2003.
crossref pmid

23. Zelber-Sagi S, Kessler A, Brazowsky E, Webb M, Lurie Y, Santo M, Leshno M, Blendis L, Halpern Z, Oren R.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orlistat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lin Gastroenterol Hepatol 4:639–644, 2006.
crossref pmid

24. Harrison SA, Fecht W, Brunt EM, Neuschwander-Tetri BA. Orlistat for overweight subject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Hepatology 49:80–86, 2009.
crossref pmid

25. Després JP, Golay A, Sjöström L. Effects of rimonabant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patients with dyslipidemia. N Engl J Med 353:2121–2134, 2005.
crossref pmid

26. Banasch M, Goetze O, Schmidt WE, Meier JJ. Rimonabant as a novel therapeutic option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Liver Int 27:1152–1155, 2007.
crossref pmid

27. Van Gaal LF, Scheen AJ, Rissanen AM, Rössner S, Hanotin C, Ziegler O. Long-term effect of CB1 blockade with rimonabant on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two year results from the RIO-Europe study. Eur Heart J 29:1761–1771, 2008.
crossref pmid

28. Pi-Sunyer FX, Aronne LJ, Heshmati HM, Devin J, Rosenstock J. Effect of rimonabant, a cannabinoid-1 receptor blocker, on weight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RIO-North Americ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5:761–775, 2006.
crossref pmid

29. Dixon JB, Bhathal PS, Hughes NR, O'Brien P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mprovement in liver histological analysis with weight loss. Hepatology 39:1647–1654, 2004.
crossref pmid

30. O'Brien PE, Dixon JB, Laurie C, Skinner S, Proietto J, McNeil J, Strauss B, Marks S, Schachter L, Chapman L, Anderson M.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obesity with 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 or an intensive medical program: a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144:625–633, 2006.
crossref pmid

31. Mathurin P, Hollebecque A, Arnalsteen L, Buob D, Leteurtre E, Caiazzo R, Pigeyre M, Verkindt H, Dharancy S, Louvet A, Romon M, Pattou F. Prospective study of the long-term effects of bariatric surgery on liver injury in patients without advanced disease. Gastroenterology 137:532–540, 2009.
crossref pmid

32. Liu X, Lazenby AJ, Clements RH, Jhala N, Abrams GA. Resolution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s after gastric bypass surgery. Obes Surg 17:486–492, 2007.
crossref pmid

33. Chapman AE, Kiroff G, Game P, Foster B, O'Brien P, Ham J, Maddern GJ. 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urgery 135:326–351, 2004.
crossref pmid

34. de Almeida SR, Rocha PR, Sanches MD, Leite VH, da Silva RA, Diniz MT, Diniz Mde F, Rocha AL. Roux-en-Y gastric bypass improves th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of morbid obesity. Obes Surg 16:270–278, 2006.
crossref pmid

35. Kirk E, Reeds DN, Finck BN, Mayurranjan SM, Patterson BW, Klein S. Dietary fat and carbohydrates differentially alter insulin sensitivity during caloric restriction. Gastroenterology 136:1552–1560, 2009.
crossref pmid pmc

36. Okita M, Hayashi M, Sasagawa T, Takagi K, Suzuki K, Kinoyama S, Ito T, Yamada G. Effect of a moderately energy-restricted diet on obese patients with fatty liver. Nutrition 17:542–547, 2001.
crossref pmid

37. Huang MA, Greenson JK, Chao C, Anderson L, Peterman D, Jacobson J, Emick D, Lok AS, Conjeevaram HS. One-year intense nutritional counseling results in histologic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pilot study. Am J Gastroenterol 100:1072–1081, 2005.
crossref pmid

38. Hollingsworth KG, Abubacker MZ, Joubert I, Allison ME, Lomas DJ. Low-carbohydrate diet induced reduction of hepatic lipid content observed with a rapid non-invasive MRI technique. Br J Radiol 79:712–715, 2006.
crossref pmid

39. Kawasaki T, Igarashi K, Koeda T, Sugimoto K, Nakagawa K, Hayashi S, Yamaji R, Inui H, Fukusato T, Yamanouchi T. Rats fed fructose-enriched diets have characteristics of nonalcoholic hepatic steatosis. J Nutr 139:2067–2071, 2009.
crossref pmid

40. Ouyang X, Cirillo P, Sautin Y, McCall S, Bruchette JL, Diehl AM, Johnson RJ, Abdelmalek MF. Fructose consumption as a risk factor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Hepatol 48:993–999, 2008.
crossref pmid pmc

41. Assy N, Nasser G, Kamayse I, Nseir W, Beniashvili Z, Djibre A, Grosovski M. Soft drink consumption linked with fatty liver in the absence of traditional risk factors. Can J Gastroenterol 22:811–816, 2008.
pmid pmc

42. Abdelmalek MF, Suzuki A, Guy C, Unalp-Arida A, Colvin R, Johnson RJ, Diehl AM. Increased fructos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fibrosis severity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atology 51:1961–1971, 2010.
crossref pmid pmc

43. Westerbacka J, Lammi K, Hakkinen AM, Rissanen A, Salminen I, Aro A, Yki-Jarvinen H. Dietary fat content modifies liver fat in overweight nondiabetic subjects. J Clin Endocrinol Metab 90:2804–2809, 2005.
crossref pmid

44. Funaki M. Saturated fatty acids and insulin resistance. J Med Invest 56:88–92, 2009.
crossref pmid

45. Micha R, Mozaffarian D. Trans fatty acids: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heart disease and diabetes. Nat Rev Endocrinol 5:335–344, 2009.
crossref pmid

46. Clarke SD. Nonalcoholic steatosis and steatohepatitis: I. molecular mechanism for polyunsaturated fatty acid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1:G865–G869, 2001.
pmid

47. Xu J, Cho H, O'Malley S, Park JH, Clarke SD. Dietary polyunsaturated fats regulate rat liver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1 and -2 in three distinct stages and by different mechanisms. J Nutr 132:3333–3339, 2002.
pmid

48. Garg A. High-monounsaturated-fat diets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Am J Clin Nutr 67:S577–S582, 1998.
pmid

49. Spadaro L, Magliocco O, Spampinato D, Piro S, Oliveri C, Alagona C, Papa G, Rabuazzo AM, Purrello F. Effects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ubjec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g Liver Dis 40:194–199, 2008.
crossref pmid

50. Paniagua JA, Gallego de la Sacristana A, Romero I, Vidal-Puig A, Latre JM, Sanchez E, Perez-Martinez P, Lopez-Miranda J, Perez-Jimenez F. Monounsaturated fat-rich diet prevents central body fat distribution and decreases postprandial adiponectin expression induced by a carbohydrate-rich diet in insulin-resistant subjects. Diabetes Care 30:1717–1723, 2007.
crossref pmid

51. Tremblay F, Lavigne C, Jacques H, Marette A. Role of dietary proteins and amino acids in the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Annu Rev Nutr 27:293–310, 2007.
crossref pmid

52. Sullivan S. Implications of die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urr Opin Gastroenterol 26:160–164, 2010.
crossref pmid pmc

53. Church TS, Kuk JL, Ross R, Priest EL, Biltoft E, Blair SN. Association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to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130:2023–2030, 2006.
crossref pmid

54. Perseghin G, Lattuada G, De Cobelli F, Ragogna F, Ntali G, Esposito A, Belloni E, Canu T, Terruzzi I, Scifo P, Del Maschio A, Luzi L. Habitual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intrahepatic fat content in humans. Diabetes Care 30:683–688, 2007.
crossref pmid

55. St George A, Bauman A, Johnston A, Farrell G, Chey T, George J. Independent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atology 50:68–76, 2009.
crossref pmid

56. Johnson NA, Sachinwalla T, Walton DW, Smith K, Armstrong A, Thompson MW, George J. Aerobic exercise training reduces hepatic and visceral lipids in obese individuals without weight loss. Hepatology 50:1105–1112, 2009.
crossref pmid

57. Johnson NA, George J. Fitness versus fatness: moving beyond weight los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atology 52:370–381, 2010.
crossref pmid

58. Donnelly JE, Blair SN, Jakicic JM, Manore MM, Rankin JW, Smith BK.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weight loss and prevention of weight regain for adults. Med Sci Sports Exerc 41:459–471, 2009.
crossref pmid

59. Zelber-Sagi S, Nitzan-Kaluski D, Goldsmith R, Webb M, Zvibel I, Goldiner I, Blendis L, Halpern Z, Oren R. Role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population-based study. Hepatology 48:1791–1798, 2008.
crossref pmid

60. Burgomaster KA, Howarth KR, Phillips SM, Rakobowchuk M, Macdonald MJ, McGee SL, Gibala MJ. Similar metabolic adaptations during exercise after low volume sprint interval and traditional endurance training in humans. J Physiol 586:151–160, 2008.
crossref pmid pmc

61. Galli A, Crabb DW, Ceni E, Salzano R, Mello T, Svegliati-Baroni G, Ridolfi F, Trozzi L, Surrenti C, Casini A. Antidiabetic thiazolidinediones inhibit collagen synthesis and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in vivo and in vitro. Gastroenterology 122:1924–1940, 2002.
crossref pmid

62. Neuschwander-Tetri BA, Brunt EM, Wehmeier KR, Oliver D, Bacon BR. Improve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fter 48 weeks of treatment with the PPAR-gamma ligand rosiglitazone. Hepatology 38:1008–1017, 2003.
crossref pmid

63. Promrat K, Lutchman G, Uwaifo GI, Freedman RJ, Soza A, Heller T, Doo E, Ghany M, Premkumar A, Park Y, Liang TJ, Yanovski JA, Kleiner DE, Hoofnagle JH. A pilot study of pioglitazone treatment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epatology 39:188–196, 2004.
crossref pmid

64. Belfort R, Harrison SA, Brown K, Darland C, Finch J, Hardies J, Balas B, Gastaldelli A, Tio F, Pulcini J, Berria R, Ma JZ, Dwivedi S, Havranek R, Fincke C, DeFronzo R, Bannayan GA, Schenker S, Cusi K. A placebo-controlled trial of pioglitazone in subject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 Engl J Med 355:2297–2307, 2006.
crossref pmid

65. Lutchman G, Modi A, Kleiner DE, Promrat K, Heller T, Ghany M, Borg B, Loomba R, Liang TJ, Premkumar A, Hoofnagle JH. The effects of discontinuing pioglitazone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epatology 46:424–429, 2007.
crossref pmid

66. Ratziu V, Charlotte F, Bernhardt C, Giral P, Halbron M, Lenaour G, Hartmann-Heurtier A, Bruckert E, Poynard T. Long-term efficacy of rosiglitazone in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results of the fatty liver improvement by rosiglitazone therapy (FLIRT 2) extension trial. Hepatology 51:445–453, 2010.
crossref pmid

67. Harrison SA. Thiazolidinedione therapy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go, stop, or proceed with caution? Hepatology 51:366–369, 2010.
crossref pmid

68. Zhou G, Myers R, Li Y, Chen Y, Shen X, Fenyk-Melody J, Wu M, Ventre J, Doebber T, Fujii N, Musi N, Hirshman MF, Goodyear LJ, Moller DE. 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mechanism of metformin action. J Clin Invest 108:1167–1174, 2001.
crossref pmid pmc

69. Lin HZ, Yang SQ, Chuckaree C, Kuhajda F, Ronnet G, Diehl AM. Metformin reverses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leptin-deficient mice. Nat Med 6:998–1003, 2000.
crossref pmid

70. Marchesini G, Brizi M, Bianchi G, Tomassetti S, Zoli M, Melchionda N. Metformin in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Lancet 358:893–894, 2001.
crossref pmid

71. Nair S, Diehl AM, Wiseman M, Farr GH Jr, Perrillo RP. Metformin in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pilot open label trial. Aliment Pharmacol Ther 20:23–28, 2004.
crossref pmid

72. Miller ER 3rd, Pastor-Barriuso R, Dalal D, Riemersma RA, Appel LJ, Guallar E. Meta-analysis: high-dosage vitamin E supplementation may increase all-cause mortality. Ann Intern Med 142:37–46, 2005.
crossref pmid

73. Sanyal AJ, Chalasani N, Kowdley KV, McCullough A, Diehl AM, Bass NM, Neuschwander-Tetri BA, Lavine JE, Tonascia J, Unalp A, Van Natta M, Clark J, Brunt EM, Kleiner DE, Hoofnagle JH, Robuck PR. Pioglitazone, vitamin E, or placebo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 Engl J Med 362:1675–1685, 2010.
crossref pmid pmc

74. Lindor KD, Kowdley KV, Heathcote EJ, Harrison ME, Jorgensen R, Angulo P, Lymp JF, Burgart L, Colin P. Ursodeoxycholic acid for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Hepatology 39:770–778, 2004.
crossref pmid

75. Leuschner UF, Lindenthal B, Herrmann G, Arnold JC, Rossle M, Cordes HJ, Zeuzem S, Hein J, Berg T. High-dose ursodeoxycholic acid therapy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Hepatology 52:472–479, 2010.
crossref pmid

76. Kashi MR, Torres DM, Harrison SA. Current and emerging therapie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emin Liver Dis 28:396–406, 2008.
crossref pmid

77. Ekstedt M, Franzén LE, Mathiesen UL, Holmqvist M, Bodemar G, Kechagias S. Statin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chronically elevated liver enzymes: a histopathological follow-up study. J Hepatol 47:135–141, 2007.
crossref pmid

78. Bhardwaj SS, Chalasani N. Lipid-lowering agents that cause drug-induced hepatotoxicity. Clin Liver Dis 11:597–613, 2007.
crossref pmid pmc

79. Lewis JH, Mortensen ME, Zweig S, Fusco MJ, Medoff JR, Belder R. Efficacy and safety of high-dose pravastatin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well-compensated chronic liver disease: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trial. Hepatology 46:1453–1463, 2007.
crossref pmid

80. Yokohama S, Yoneda M, Haneda M, Okamoto S, Okada M, Aso K, Hasegawa T, Tokusashi Y, Miyokawa N, Nakamura K. Therapeutic efficacy of an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epatology 40:1222–1225, 2004.
crossref pmid

TOOLS
METRICS Graph View
  • 6,862 View
  • 186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