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Med > Volume 79(4); 2010 > Article
집단으로 발생한 박새(Veratrum patulum) 중독 23예

요약

고산 지대에서 임의로 산나물을 채취하여 먹은 후 구역, 구토 등을 호소하며 저혈압 및 서맥을 보이는 경우 임상적으로 박새 중독을 의심하여야 하며, 진단 후에는 입원 상태에서 면밀한 생체 징후 감시와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회복될 수 있다. 저자들은 박새 잎을 섭취 후 집단으로 구토와 서맥, 저혈압 등의 중독 증상을 보인 23명의 환자들을 아트로핀 정맥 주사와 대증요법을 통해 치료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Veratrum patulum is a perennial plant with toxicity, which grows wild in the high mountain areas of Korea. Various types of steroidal alkaloids contained in Veratrum patulum are known to cause symptoms such as nausea, vomiting, bradycardia and hypotension. Twenty-three patients were admitted to our center with chief complaints of nausea and vomiting after ingesting leaves of Veratrum patulum. The mean age of the group was 44 years old and was comprised of 19 males and 4 females. Some patients showed hypotension and bradycardia with symptoms such as dizziness. Ten patients with severe bradycardia coupled with other symptoms received atropine administration. Nausea and vomiting were improv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nti-emetics. Blood pressure and the pulse rate were all normalized on the day after admission, and all of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any symptoms.

서 론

박새(Veratrum patulum)는 백합과(Liliaceae family) 여로속(Veratrum genus)에 속하는 다년초로 우리나라의 다습한 고산 초원 지대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독성이 있는 풀이다(그림 1)1). 우리나라 중부 지방에서 박새 새순이 나올 5월 즈음에 몸에 좋은 산나물로 알려진 같은 백합과에 속하는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로 오인하여 먹고 중독되는 사고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2,3). 저자들은 박새잎을 섭취 후 집단으로 구토와 서맥, 저혈압 등의 중독 증상을 보인 23명의 환자들을 아트로핀 정맥주사와 대증요법을 통해 치료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종교 수련회에 참가한 23명의 성인 남녀들이 산에서 채취한 박새 잎으로 쌈을 싸 먹은 지 30분에서 2시간 정도 경과 후부터 발생한 심한 구역 및 구토를 주증상으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4세였고, 19명이 남성, 4명이 여성이었다. 내원 당시 평균 혈압은 95/55 mmHg로 낮았으며, 가장 낮은 환자는 70/45 mmHg이었다. 일부 혈압이 낮은 환자들은 현기증을 동반하였다. 내원 당시 평균 심박수는 분당 53회로 감소되어 있었으며 심전도 소견은 동서맥(그림 2)이 18명으로 가장 많았다.
모든 환자에게 적절한 수액 요법을 포함한 대증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10명의 환자들은 내원 당시 혹은 입원 기간 중 저혈압과 심한 서맥으로 인한 현기증을 호소하여 아트로핀을 정맥주사하였다. 혈압이 평균보다도 낮았던 15명의 환자들은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지 않고도 수액 요법과 대증치료만으로 평균 16시간 후에 혈압이 정상화되었다. 구역과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은 항구토제 등과 같은 대증 요법으로 호전되었으며, 평균 11시간 만에 위장관 증상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대부분 환자들의 혈액검사는 특이소견 없었고, 1명의 환자에서 AST 124 IU/L, ALT 219 IU/L로 상승 소견을 보였으나, HBeAg (+), anti-HBe (-), HBV-DNA 5.8×107 copies/mL 소견 보여, 만성 활동성 B형 간염에 의한 것으로, 박새 중독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다.
내원 다음날 평균 혈압은 117/74 mmHg, 평균 심박수는 분당 61회로 모두 정상화되었으며, 위장관 증상 및 현기증을 호소하는 환자없이 모두 완전히 회복되어 퇴원하였다(표 1).

고 찰

박새(Veratrum patulum)는 원줄기의 높이가 150 cm 안팎으로 곧게 자라고 속은 비어 있는 둥근 나무 모양의 풀이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세로로 주름이 지며 큰 것은 길이 30 cm, 너비 20 cm 안팎까지 자라며, 밑부분의 잎은 옆초만으로써 원줄기를 둘러싼다(그림 1)1). 여로속(Veratrum genus) 식물들은 200여 종 이상의 steroidal alkaloids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 이 중 veratrine이 독성의 주요 원인 물질로서 폭넓게 연구되었다5).
Veratrum alkaloids는 골격근과 신경 및 심장 세포의 선택적인 전압 작동 나트륨 통로(sodium voltage gated channels)에 결합하여 이들 세포의 칼슘과 나트륨에 대한 투과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탈분극을 유발한다. 이러한 기전으로 veratrum alkaloids가 좌심실 후벽 심장 수용체(cardiac receptor)와 심장정맥굴(coronary sinus)의 압력 수용체(baroreceptor)에 작용하여 서맥과 저혈압을 일으키고 미주 신경의 다발성 탈분극을 일으킴으로써 서맥, 저혈압, 무호흡 증상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 가지 반응을 Bezold-Jarisch reflex라고 부른다6-8). 또한 신경 세포들의 탈분극을 일으켜 착감각(paresthesia), 저린감(numbness),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9-11). 앞서 언급한 veratrum alkaloids의 항고혈압 효과에 주목하여 1940~1950년대 서양에서 혈압 강하제로 연구되기도 하였으나 좁은 치료 지수(therapeutic index)와 부작용으로 인해 퇴출되었다12,13). 이와 더불어 이러한 veratrum alkaloid를 포함한 식물의 우연한 섭취로 인해 중독 증상을 일으킨 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1,14) 우리나라에서도 식용초로 오인하여 섭취한 중독 사례들이 보고되었다2,3).
Veratrum alkaloids의 주된 중독 증상은 복통을 동반한 오심, 구토이며11,14) 그 외 착감각9), 저린감10), 두통9,14), 발한9,11), 침분비(salivation)15), 근 쇠약(muscle weakness)16) 등이 있으며 순환기 계통 증상으로는 서맥, 저혈압, 굴심방(sino-atrial) 또는 방실 차단(atrio-ventricular block) 등이 알려져 있다9,15). 이러한 증상 발현은 섭취 후 보통 30분에서 4시간 이내에 시작되고9,10), 치료하지 않을 경우 5~10일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11). 현재 특정 veratrum alkaloids를 검출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17) 실제 임상에서 사용하기에는 제한이 있으므로18), 임상적으로 중독이 의심될 때에는 일차적으로 섭취한 식물을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혈압 및 맥박 등의 심장 감시(cardiac monitoring)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가 주된 치료이며, 진단 초기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을 이용한 오염 제거(decontamination)가 도움이 되기도 한다9,14,15). 구역,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에는 metoclopramide와 같은 항구토제를 투여하고10,14), 서맥, 저혈압 등의 순환기계 합병증에 대해서는 각각 아트로핀과 수액요법, 혈압 상승제(vasopres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9). QT 간격 연장을 동반한 환자에서 다량 섭취 후 발생한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으로 인해 심폐 소생술까지 시행한 예가 보고되기도 하였지만3), 순환기 계통의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 24~48시간 이내에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이번 증례의 경우 모든 환자들이 구역과 구토를 동반하였고, 저혈압과 서맥이 있었던 15명 중 대부분인 14명의 환자에서 내원 당시부터 저혈압과 서맥을 동반하였다. 그러나 1명은 섭취 후 6시간 경과 후에서야 저혈압과 서맥이 발생하였고, 또한 내원 당시 생체 징후는 정상이었으나 내원 6시간 후 실신한 경우도 있었으며, 박새 잎을 1잎 소량 섭취한 2명의 환자에서도 저혈압과 서맥, 구토 증상이 있었다. 그러므로 박새 잎을 소량 섭취했다 하더라도 입원하여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부 환자에서는 섭취 후 지연된 시간에도 저혈압과 서맥이 나타나거나 미주 신경 자극 증상으로 인한 실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을 취하여야 한다. 섭취 후 24시간 동안은 생체징후의 주기적인 측정과 환자 상태의 면밀한 감시가 필요하고, 서맥이나 저혈압이 발생하는 경우 아트로핀 또는 혈압 상승제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

REFERENCES

1. Rim KH, Chung BS. Anatomical study of Veratrum coreanum Loes: Fil and veratrum plants. J of Plant Biol 6:18–20, 1963.


2. Lee NS. A taxonomic study of Korean veratrum. Korean J Plant Tax 15:49–65, 1985.


3. 신상윤, 이은규, 최재웅, 조용범, 유승기. 일가족에서 발생한 박새풀 중독의 5예. 대한내과학회지 70(Suppl):S212–S215, 2006.
crossref pmid pmc

4. Grancai D, Grancaiova Z. Veratrum alkaloids: I. Ceska Slov Farm 43:147–154, 1994.
pmid

5. Gaillard Y, Pepin G. LC-EI-MS determination of veratridine and cevadine in two fatal cases of Veratrum album poisoning. J Anal Toxicol 25:481–485, 2001.
crossref pmid

6. Clozel JP, Pisarri TE, Coleridge HM, Coleridge JC. Reflex coronary vasodilatation evoked by chemical-stimulation of cardiac afferent vagal C fibers in dogs. J Physiol 428:215–232, 1990.
pmid pmc

7. Hainsworth R. Reflexes from the heart. Physiol Rev 71:617–658, 1991.
pmid

8. Aviado DM, Guevara Aviado D. The Bezold-Jarisch reflex: a historical perspective of cardiopulmonary reflexes. Ann N Y Acad Sci 940:48–58, 2001.
crossref pmid

9. Jaffe AM, Gephardt D, Courtemanche L. Poisoning due to ingestion of Veratrum viride (false hellebore). J Emerg Med 8:161–167, 1990.
crossref pmid

10. Schuetz E, Adams J. Multi-system toxicity from intentional hellebore ingestion. Clin Toxicol 36:454. 1998.


11. Quatrehomme G, Bertrand F, Chauvet C, Ollier A. Intoxication from Veratrum album. Hum Exp Toxicol 12:111–115, 1993.
crossref pmid

12. Currens JH, Myers GS, White PD. The use of protoveratrine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vascular disease. Am Heart J 46:576–592, 1953.
crossref pmid

13. Beasley J, Robinson K. Intolerance to veriloid. Br Med J 1:316–317, 1954.
crossref pmid pmc

14. Zagler B, Zelger A, Salvatore C, Pechlaner C, De Giorgi F, Wiedermann CJ. Dietary poisoning with Veratrum album: a report of two cases. Wien Klin Wochenschr 117:106–108, 2005.
crossref pmid

15. Prince LA, Stork CM. Prolonged cardiotoxicity from poison lilly(Veratrum viride). Vet Hum Toxicol 42:282–285, 2000.
pmid

16. Crummett D, Bronstein D, Weaver Z 3rd. Accidental Veratrum viride poisoning in three ‘ramp’ foragers. N C Med J 46:469–471, 1985.
pmid

17. Browne CA, Sim FR, Rae ID, Keeler RF. Isolation of teratogenic alkaloids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336:211–220, 1984.
crossref pmid

18. Magnani B, Woolf AD. Cardiotoxic plants. In: Brent J, Wallace KL, Burkhart KK, Phillips SD, Donovan W, eds. Critical care toxic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critically poisoned patient. 1325–1334. Philadelphia: Elsevier Mosby, 2005.


The Veratrum patulum Loesener fil plant.
/upload/thumbnails/kjm-79-4-417-13f1.gif
Figure 1.
Electrocardiogram showing sinus bradycardia (heart rate=37 beats/min).
/upload/thumbnails/kjm-79-4-417-13f2.gif
Figure 2.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23 patients with Veratrum patulum intoxication
No Sex Age Chief complaints* P/Hx No. of leaves BP1§ (mmHg) HR1ǁ (/min) ECG Treatment** Time for symptomatic improvement (h) Time for hemodynamic improvement (h) BP2†† (mmHg) HR2# (beats/min) Hospital stay (day) Mortality
1 M 36 N, V, Ver oMI 4 81/47 59 SB S.C 6 19 98/54 55 2 -
2 M 42 N, V, Ver 3 112/61 46 SB S.C 12 120/70 62 2 -
3 M 22 N 1 88/37 46 SB S.C/Atropine 12 12 120/65 62 2 -
4 F 38 N, V Tbc 5 69/46 57 SB S.C 12 18 110/70 65 2 -
5 M 60 N, V 2 116/72 48 SB S.C 5 140/90 72 2 -
6 M 46 N, V, Ver 3 78/35 80 NSR S.C 12 11 110/70 60 2 -
7 M 31 N, V 1 79/44 48 SB S.C 10 6 110/70 66 2 -
8 M 64 N, V, Ver HTN 3 95/54 40 SB, RBBB S.C/Atropine 12 21 120/70 47 2 -
9 M 33 N, V, Ver 3 122/66 73 NSR S.C 8 130/90 64 2 -
10 M 51 N, V, Ver 3 83/47 37 SB S.C/Atropine 12 15 110/70 60 2 -
11 M 33 N, V 5 90/43 46 SB S.C/Atropine 12 8 120/80 60 2 -
12 F 37 N, V 2 80/55 45 SB S.C/Atropine 15 20 110/70 49 2 -
13 M 55 N, V 3 80/48 40 SB S.C/Atropine 12 19 100/60 58 2 -
14 M 44 N, V, Ver, Num HTN 3 110/60 53 SB S.C 19 147/87 63 2 -
15 M 36 N, V, Ver 2 127/63 65 NSR S.C 22 22 110/70 64 2 -
16 F 43 N, V, Ver 4 78/47 65 NSR S.C/Atropine 22 20 100/70 66 2 -
17 M 36 N, V CHB 3 88/38 54 SB, RBBB S.C 12 18 105/68 50 2 -
18 M 57 N, V DM/HTN 2 119/66 57 SB S.C 6 120/70 70 2 -
19 M 60 N, V 6 104/73 53 SB S.C/Atropine 8 140/80 60 2 -
20 F 32 N, V Tbc 3 77/52 46 SB S.C/Atropine 7 19 100/60 50 2 -
21 M 49 N, V HTN 3 115/83 43 SB S.C 5 150/90 68 2 -
22 M 51 N, V, Ver, Epi 3 92/49 46 SB S.C/Atropine 10 12 100/80 64 2 -
23 M 45 N, V HTN 3 107/76 68 NSR S.C 8 130/90 60 2 -
Mean 44 3 95/55 53 11 16 117/74 61 2

* Epi, epigastric pain; N, nausea; Num, numbness; V, vomiting; Ver, vertigo

CHB, chronic viral hepatitis B; DM, diabetes mellitus; HTN, hypertension

No of leaves, number of ingested leaves of Veratrum patulum oMI, old myocardiac infarction; Tbc, old pulmonary tuberculosis

§ BP1, initial blood pressure

ǁ HR1, heart rate on admission

NSR, normal sinus rhythm; RBBB, right bundle branch block; SB, sinus bradycardia

** S.C., supportive care such as anti-emetics, hydration

†† BP2, blood pressure after hemodynamic improvement

# HR2, heart rate after hemodynamic improvement

TOOLS
METRICS Graph View
  • 5,751 View
  • 136 Download

Editorial Office
101-2501,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2271-6791    Fax: +82-2-790-0993    E-mail: kaim@kam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